• 제목/요약/키워드: bee venom aqua-acupuncture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7초

급성 족관절 염좌에 대한 봉약침 효과-무작위대조시험, 이중맹검 (The Effect of Bee Venom Acupuncture(BVA) on acute Ankle Sprain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double blinding - Pilot study)

  • 송호섭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16
    • /
    • 2005
  • Objective :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BVA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cute ankle sprain. Design :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of BVA was conducted. Setting : The study was done in the Kyungwon University Seoul Hospital from August 1st, 2004 to June 15th, 2005. Patients : 30 patients diagnosed with acute ankle sprain, especially 2nd degree on the Ankle grade pain chart(AGPC) participated in the study,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and B) randomly by a coordinator flipping a coin. Group A and B were relevant to control and BVA group respectively, of which a coordinator never informed any other participant involved. Eventually 13 of 17 in group A and 11 of 13 in Group B finished all the process of the clinical trial. Intervention : In both group A and B, The Procedure of acupuncture treatment was made similar by appearance that four acupoints such as 坵墟(GB40), 中封(LR4), 商丘(SP5), 解谿(ST41) of the injured side were selected and Normal saline aqua-acupuncture(control, as a placebo) or BVA was done and then acupuncture at 坵墟(GB40), 中封(LR4), 商丘(SP5), 解谿(ST41), 足三里(ST36), 陽陵泉(G34) of the affected side was given again. the needles were retained for 20 minutes under the infrared rays. The treatment was given daily for a week. Outcome Measures : Ankle-Hindfoot Scale (AHS) and Visual Analogue Scale(VAS) were followed by three treatments. Statistical Analysis : Analysis regarding variations in AHS and VAS is carried out by applying Mann-Whitney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sign test with level of significance at 5%. Results : At the end of the treatment,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VAS and AHS as well, while at the 3rd day only a VA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ach group, both VAS and AH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along with duration of treatment. Conclusions : BVA was thought to be effective alternatives for relieving symptoms of acute ankle sprain, although further study was needed on the large scale.

봉독의 주요성분인 Melittin과 MCDP이 비만세포주에서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microarray 분석 (cDNA microarray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melittin and mast cell degranulation peptide in human mast cell strain)

  • 소재진;우현수;김창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37-51
    • /
    • 2005
  • 비만세포는 염증 및 알레르기 반응과 관련하여 우리 몸에서 주요한 작용을 하는 세포이다. 봉독은 현재까지 진통기전에 관련된 모델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항염증이나 항알러지반응 둥에서 면역세포와 관련 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는 봉독의 주요성분인 melittin과 MCD Peptide가 비만세포주에서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향후 유전자 언구에 관련한 기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비만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실험을 거쳐서 얻은 유효농도에서 각각 melittin과 MCD Peptide를 처치하고, 이때 변화하는 유전자의 발현양상을 microarray분석기법을 통하여 정보를 얻었다. 실험적 통계에 의하여 global M이 1 또는 -1 이상인 것을 유의한 것으로 보았을 때, melittin에서는 모두 7개 의 유전자가 항진되고, 8개의 유전자가 어제되었다. MCDP에서는 7개의 유전자가 항진되고 17개의 유전자가 억제되었다. 이들 유전자들이 주로 관련하는 체내의 작용은 세포내에서 단백결합, lymphocyte 기능의 활성화, macrophage 항원관련 및 세포핵의 수용체, GABA A receptor 관련물질, cAMP 반응요소와 연관된 단백질, 보체계 8번 및 B-cell 관련물질, 다낭성 신질환에 관련된 단백물질, 염증관련물질, 혈액응고에 영향을 주는 단백물질등과 연관이 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하여 동복에서의 주요약리작용을 담당하는 melittin과 MCD peptide의 작용기전을 밝히는데 보다 유용한 자료를 얻을 수 있었으며, 향후에 봉독의 주요성분 및 전체봉 독액이 항알레르기반응이나 항염증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류마티스성 슬관절염(膝關節炎)의 침구치료(鍼灸治療)에 관한 문헌고찰 (Acupuncture Therapy Literature Study on the Knee Rheumatoid Arthritis)

  • 김무진;윤종화;김경호;이승덕;김갑성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91-201
    • /
    • 2005
  • 1. 역절풍(歷節風) 침구치료(鍼灸治療)에 사용된 경락(經絡)은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이 가장 많고,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 수(手) 양명대장경(陽明大腸經)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음경(陰經)에 비해 양경(陽經)이 훨씬 많이 나타났다. 2. 역절풍(歷節風) 침구치료(鍼灸治療)에 사용된 경락별(經絡別) 경혈수(經穴數)는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이 가장 많고, 족궐음담경(足厥陰膽經),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역절풍(歷節風) 치료에 사용된 각 경락(經絡)별로 빈도수가 높은 경혈을 살펴보면 폐경(肺經)은 척택(尺澤), 심경(心經)은 소해(少海), 심포경(心包經)은 대릉(大陵), 각경(脚經)은 삼음교(三陰交)과 음릉천(陰陵泉), 신경(腎經)은 태계(太谿), 간경(肝經)은 슬관(膝關), 대장경(大腸經)은 곡지(曲池), 소장경(小腸經)은 후계(後谿), 삼초경(三焦經)은 천정(天井), 위경(胃經)은 족삼리(足三里), 방광경(膀胱經)은 위중(委中), 담경(膽經)은 환도(環跳)와 양릉천(陽陵泉), 임맥(任脈)은 관원(關元), 독맥(督脈)은 대추(大椎), 경외기혈(經外奇穴)에는 슬안(膝眼)의 사용빈도가 높았다. 4. 전체 경혈(經穴) 중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경혈(經穴)은 환도(環跳)와 양릉천(陽陵泉)으로 각각 37회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足三里(32), 곡지(曲池)(창)(漲), 위중(委中)(23), 절골(絶骨)(17), 양보(陽輔), 합곡(合谷)이 각 15회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5. 다용(多用)된 경혈(經穴)들의 주치효능(主治效能)에 따라 거풍습(祛風濕)하며 청혈열(淸血熱) 화습담(化濕痰)등의 작용으로 경맥(經脈)을 소통시키고 기혈(氣血)을 조화시킴으로써 류마티스성(性) 슬관절(膝關節) 염을(炎) 치료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