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ny flavor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8초

젖산발효가 땅콩유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actic-fermentation on the Quality of Peanut Milk)

  • 이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9-443
    • /
    • 2001
  • The effect of fermentation of peanut milk with lactic acid bacteria on n-hexanal content was investigated. Changes in pH, titratable acidity and viable cell populations indicated that Streptococcu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was adapted better than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during fermentation. Analysis of headspace volatiles revealed that n-hexanal, which is one of the compounds responsible for undesirable green/beany flavor in peanut milk, completely disappeared as a result of fermentation. S.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was more effective than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in reducing the n-hexanal conten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water sorption between fermented and unfermented peanut milk.

  • PDF

전자렌지를 이용한 초미세 대두분말두부의 신속제조 (Rapid Preparation of Soybean Curd Using of Ultra Fine Soy Powder by Microwave Oven)

  • 김순동;김미경;김미향;이명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5-49
    • /
    • 1994
  • The rapid preparaton method of soybean curd with ultra fine soy powder at home was investigated. The microwave oven of this study used common microwave attached sensor for the volume and temperature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microwave oven was maintained at 98, not boiling over. It took 9 minutes to make 300g of soybean curd, 10 minutes to make 600g, 14 minutes to make 900g, and 17 minutes to make 1200g. Beany flavor and trypsin inhibitor could be removed by this conditon. It took only 5 min to make coaguation of the curd by glucono-$\delta$-lactone.

자기소화 시간에 따른 호모 Extract의 성분과 풍미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Flavor of Yeast Extracts during the Autolysis of Baker's Yeast)

  • 이철호;박장열;정경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1-187
    • /
    • 1981
  • 효모를 자기소화시켜 효모 extract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자기소화 extract의 화학적 조성 및 관능검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자기소화가 진행될수록 조단백질, 아미노대 질소, 아미노산 등의 농도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2. 효모 extract에서 15가지 아미노산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이들 아미노산중 glutamic acid, alanine 및 lysine이 특히 많았으며 이 세가지 아미노산이 전 아미노산의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3. 복합 2점 비교시험에 의하면 효모 extract의 맛은 자기소화 시간 16시간까지 현저히 변하였으며 16시간과 48시간 사이에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Profile method로서 호모 extract의 관능검사를 한 결과, 냄새의 종류로 8가지 표현과 맛의 종류 6가지 표현을 얻었고 그 표현에 대한 강도와 폭을 자기 소화 시간별로 QDA method로 나타내었다. 자기소화가 경과됨에 따라 간장냄새 및 메주냄새등은 효모냄새, 맥아냄새 및 구수한 냄새로, 또한 간장맛 등에서 쇠고기 국맛과 감주맛 등으로 맛이 강하여졌다. 이러한 현상은 QDA chart의 형태와 면적의 변화로 표현될수 있었다. 자기소화가 진행될수록 냄새 (aroma)의 폭(amplitude)보다는 맛(taste)의 폭이 더 민감한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이것은 aroma grade index와 taste grade index에 의하여 정량적으로 표시될 수 있었다.

  • PDF

Lactose와 효모의 첨가가 대두요구르트 발효 중 젖산균의 생육특성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actose and Yeast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Sensory Characteristics during the Fermentation of Soy Yogurts)

  • 박미정;이숙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33-538
    • /
    • 1997
  • 대두요구르트의 발효 중 젖산균에 의한 산생성을 증가시키고 관능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장엽콩 및 진품콩으로 만든 두유에 lactose를 첨가한 후 L. bulgaricus로 단독배양 및 L. bulgaricus와 K. lactis를 혼합배양하여 pH, 산생성, 젖산균과 효모의 생육특성, 그리고 관능적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대두요구르트는 lactose의 첨가에 의해 pH 감소와 산생성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단독배양이 혼합배양보다 pH 감소와 산생성 효과가 더 컸는데 단독배양시에는 24시간, 혼합배양시에는 36시간까지 발효시켰을 경우 시판요구르트의 pH와 비슷하였다. 젖산균수는 lactose를 첨가 하지 않은 경우에는 혼합배양한 시료군의 젖산균수가 단독배양한 시료군보다 많았으나 lactose를 첨가한 시료군에 있어서는, 단독배양한 시료군의 젖산균수가 혼합배양한 시료군보다 약간 더 많았다. 콩비린내는 장엽과 진품 모두 두유보다 대두요구르트로 제조되었을 때 콩비린내가 감소하였으며, 콩품종 간에는 진품 시료군이 장엽시료군보다 콩비린내가 더 적게 났다. 신맛은 lactose 4%를 첨가하여 36시간 혼합배양한 시료들이 신맛이 강하여 적당하지 않다고 평가되었고, lactose 2%를 첨가한 시료군이 lactose 4%를 첨가한 시료군보다 더 적당하다고 평가되었으며, 특히 lactose 2%를 첨가한 진품시료군과 우유요구르트와는 유의차가 없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단독배양한 모든 시료군과 lactose 2%를 첨가하여 36시간 혼합배양한 장엽 및 진품시료들이 우유요구르트와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두유에 lactose를 첨가하여 대두요구르트를 만드는 것은 첨가된 lactose의 분해로 인해 생성된 glucose와 galactose가 젖산균의 작용을 활발하게 하여 산생성이 증가되고, 신맛이 증가되며, 젖산균수가 증가되었다고 생각된다. 단독배양의 경우는 lactose 2% 또는 4%를 첨가한 모든 시료군들이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좋다고 평가된 반면, 혼합배양의 경우는 lactose 2%를 첨가한 시료군들이 전반적으로 좋다고 평가되었다. 그러나 입자상태와 입안촉감은 우유요구르트와 시료군간에 유의차가 있으므로 앞으로의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청국장 숙성중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Flavor of Chungkookjang During Fermentation)

  • 최성희;지영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29-234
    • /
    • 1989
  • 균주에 따른 청국장 발효중의 향기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증자대두에 Bacillus subtilis 와 Bacillus natto균을 각각 접종시켜 청국장을 만들어 연속 증류 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향기성분을 추출 농축하고 GC와 GC-MS를 이용하여 향기물질을 분석 동정하였다. 그 결과 증자대두의 중요한 성분으로 3-methyl-1-butanol, 2-methylpropanoic acid 및 1-octen-3-ol 등이 밝혀졌고, B. subtilis균을 접종한 청국장은 숙성중에 이들 화합물들이 대체로 남아 있었으나, trimethylpyrazine, tetramethylpyrazine 등 7종류의 alkylpyrazine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B. natto균을 접종한 청국장은 증자대두의 중요한 성분들은 대체로 감소하고 alkylpyrazine 류 특히 tetramethylpyrazine 류는 숙성중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lkylpyrazine 류는 대두 냄새를 masking 하고 청국장의 향기에 크게 기여함을 알았다. 또 이들 향기성분들의 함량차는 두 가지 균을 접종한 청국장이 각각 다른 향기를 내는 요인이 되는 것 같다.

  • PDF

미생물에서 얻어지는 대두단백응고효소의 성질 및 대두 치즈화 식품(커드)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ybean Protein Cogaulating Enzyme from Microorganism and the Soy Cheese-Like Food (Curd))

  • Pyo, Byoung-Sik;Oh, Young-Jun;Park, Yang-Won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73-979
    • /
    • 1994
  • Microorganisms, including the strain IJ-3 isolated from soil, were found to secrete an extracellular soybean protein coagulating enzyme and the strain, IJ-3 was identified as Genus Bacillus according to the Bergey's manual . The enzyme coagulated protein in soymilk , thus forming a curd at pHs 5.8-6.4 and at 55-75℃. The optimum temperature for soybean protein coagulating activity was 65-75℃ and the enzyme was stable at temperature below 50℃ and was found to be stable with about 60-100% of the original activity at a with pH ranges(pH6-7). The molecular weight of enzyme was estimated to be 28,000 by SDS-PAGE. The curd formed with the enzyme from Bacilus sp. IJ-3 has a smooth texture, and a mild taste without any bitterness or a beany flavor.

  • PDF

대두발아에 의한 콩우유의 과당과 관능적품질의 변화 (Changes in Oligosaccharides and Sensory Quality of Soymilk During Germination)

  • 김우정;윤석권;이춘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82-387
    • /
    • 1986
  • $25^{\circ}C$에서 5일간 발아시킨 대두로 콩우유를 제조한후 발아가 콩우유의 당과 향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일간 발아시켰을때 단백질의 수율이 약간 증가함과 동시에 stachyose와 raffinose는 급격한 감소를 보여 콩우유의 화학적 품질 향상을 보여 주었다. 또한 2일 발아시 불쾌한 콩비린맛과 풀맛 그리고 콩비린 냄새가 최소치에 도달하였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가장 높았다. 구수한 냄새와 맛은 5일간의 발아 과정에서 전체적인 기호도의 변화와 유사한 변화 경향을 보여 주었다.

  • PDF

Microencapsulation of Water-Soluble Isoflavone and Physico-Chemical Property in Milk

  • Seok, Jin-Seok;Kim, Jae-Soon;Kwak, Hae-S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5호
    • /
    • pp.426-431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ddition of water-soluble isoflavone into milk by means of microencapsulation technique. The yield of microencapsulation, sensory attributes, and capsule stability of water-soluble isoflavone microcapsules in milk were measured. Coating materials used was polyglycerol monostearate (PGMS), and core material was water-soluble isoflavone. The encapsulation yield of water-soluble isoflavone with PGMS was 67.2% when the ratio of coating material to core material was 15 : 1. The rate of water-soluble isoflavone release from capsules was 18, 19, and 25% when stored at 4,20, and $30^{\circ}C$ for 12 days in milk, respectively. In sensory evaluation, beany flavor and color of microencapsuled water-soluble isoflavone added mil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uncapsuled water-soluble isoflavone added milk, however, bitter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vitro study, micro-capsules of water-soluble isoflavone in simulated gastric fluid with the range of 3 to 6 pHs were released 3.0∼15.0%, however, the capsules in simulated intestinal fluid with pH 7 were released 95.7% for 40 min incubation time.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at PGMS as coating materials was suitable for the microencapsulation of water-soluble isoflavone, and the capsule containing milk was almost not affected with sensory attribute.

열처리가 땅콩유중의 Hexanal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Hexanal Content of Peanut Milk)

  • 이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319-1321
    • /
    • 1997
  • 콩비린내의 원인이 되는 물질중의 하나로 알려진 hexanal을 간단하게 다른 성분들로 부터 분리할 수 있는 headspace gas chromatography 방법을 이용하여 땅콩유 제조시 마쇄전에 땅콩을 열처리 하는 것이 땅콩유의 hexanal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마쇄전에 땅콩을 10분 이상 열처리 하는 것이 열처리를 하지 않는 것에 비하여 hexanal 함량을 많이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hexanal 함량도 감소하지만 땅콩유중의 단백질함량도 함께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콩비린내의 원인물질중의 하나인 hexanal 함량의 감소를 위하여 마쇄전에 땅콩을 열처리하는 것은 필수적이나 지나친 열처리는 단백질과 같은 중요한 영양성분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칡 유래 isoflavone의 미세캡슐에 관한 연구 (Microencapsulation of Isoflavone Derived from Pueraria)

  • 김덕한;석진석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2호
    • /
    • pp.105-113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ddition of Pueraria derived isoflavone into milk by means of microencapsulation technique. The yield microencapsulation sensory attributes, and capsule stability of Pueraria derived isoflavone microcapsules in milk were measured during 12 days. Coating materials used was polyglycerol monostearate(PGMS. The encapsulation yield of Pueraria derived isoflavone was 72.5% with PGMS when the ratio of coating material to core material was 15:1. The rate of pueraria derived isoflavone release was 15, 20, and 25% when stored at 4, 20, and $30^{circ}C$ for 12 days in milk respectively. In sensory evaluation, beany flavor and color of microcapsuled Pueraria derived isoflavone added mil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and uncapsuled Pueraria derived isoflavone added milk, however, bitter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vitro study, microcapsules of pueraria derived isoflavone in simulated gastric fluid with the range of 3 to 6 pHs were released 3.0${\sim}$15.0%, however, the capsules in simulated intestinal fluid with pH 7 were released 95.7% for 40 min incubation time.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that PGMS as coating materials was suitable for the microencapsulation of Pueraria derived isoflavone, and the capsule containing milk was not affected with sensory attribu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