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npast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대두와 된장의 지용성 성분 비교 (Comparison of Lipid Constituents in soybean and Beanpaste)

  • 차배천
    • 생약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99호
    • /
    • pp.342-347
    • /
    • 1994
  • Soybean and beanpaste have been used as ore of the important food in Korea. Beanpaste is made from soybean(seed of Glycine max $M_{ERRIL}$, Leguminosae) by traditional fermentation. It was expected that the secondary metabolites might be formed by the action of some microorganisms or enzymes on the constituents primarily contained in soybean during manufacturing or storage of beanpaste. A systematic investigation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was carried out. As a result, sterol glycoside named daucosterin, lipo-daucosterin have been isolated from the lipid fraction soybean and their structures elucidated basis of chemical and physicochemical evidences. A ratio of composition of the lipid constituents in soybean and beanpaste were estimated.

  • PDF

단체급식소에서 제공되는 국류의 적정온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rable Serving Temperatures of Soups for Foodservice Establishment)

  • 임양이;김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03-310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acceptability of the desirable serving temperatures of soups by evaluat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Radish Clear Beef Soup, Meat Pot Stew, and Chinese Cabbage Beanpaste Soup used in the Foodservice Establishment. 1. Taste revealed a better acceptability under a high temperature than that under a low temperature in three soups. 2. The aroma of Meat Pot Stew, Chinese Cabbage Beanpaste S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each temperature, and especially, Chinese Cabbage Beanpaste Soup showed a better sabory aroma at $80^{\circ}C{\sim}85^{\circ}C$. 3. Meat Pot Stew showed littl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and in its change among three soups. Chinese Cabbage Beanpaste Soup did not make any change of color at both $35^{\circ}C{\sim}40^{\circ}C\;and\;50^{\circ}C{\sim}55^{\circ}C$. 4. In a Meat Pot Stew case, appearance conspicuously changed at $35^{\circ}C{\sim}40^{\circ}C$, which resulted in losing appetite. Three soups showed a good response above at $65^{\circ}C$ and a very poor response at below $55^{\circ}C$. 5. Radish Clear Beef Soup, Meat Pot Stew, Chinese Cabbage Beanpaste Soup showed a tender texture at above $80^{\circ}C,\;65^{\circ}C\;and\;50^{\circ}C$. 6. Chewiness showed a good acceptability from $50^{\circ}C\;to\;80^{\circ}C$ in Radish Clear Beef Soup, Chinese Cabbage Beanpaste Soup cases, but only in the case of Meat Pot Stew showed good response at $80^{\circ}C{\sim}85^{\circ}C$. 7. In cases of Radish Clear Beef soup, Meat Pot Stew, bland and stinking aroma, and aftertaste were increased remarkably in proportion as temperature was lowered. In case of Meat Pot Stew, especially, it turned out to be almost impossible to eat at $35^{\circ}C{\sim}40^{\circ}C$. 8. In cases of Radish Clear Beef Soup, Chinese Cabbage Heanpaste Soup, overall acceptability at $65^{\circ}C$ was comparatively good but aroma and taste at below $65^{\circ}C$ was so bad that there was the eminent tendency to avoid tasting.

  • PDF

광주와 전라남도의 음식문화 연구 (I) - 일상식 - (Traditional Food Use of Frequency of Gwangju City and Chollanamdo Area - In food everyday -)

  • 김경애;정난희;전은례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21
    • /
    • 2002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raditional food utilization actual conditions of Gwangju and Chollanamdo. Frequency of main meal ice plain white rice, boiled rice and cereals, bean-mixed rice, gruel Dakjuk, winter squash porridge, sesame porridge, noodles by noodles cut out with a kitchen knife, noodles with assorted mixtures, soup with dough flakes order frequency much have. Soup ate much beanpaste soup, soup cooked with dried radish leaves, seaweed soup, broth by power-pot soup, hot shredded beef soup, loach soup order. Pot stew soybean paste stew and kimchi stew, beef casserole bean curd beef casserole and small octopus beef casserole often eat. Kimchi ate much cabbage kimchi, radish kimchi, radish cube kimchi,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by sesame leaf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pickled garlics, Maneuljjong dish of dried slices of radish order. Salted sea foods that eat often were salted anchovies, tiny salted shrimps, Gejang order, and soy sauce were toenjang, korean hot pepper paste, bean-paste soup prepared with around fermented soy beans order, and laver fried kelp, tangle fried kelp, green perilla leaf fried kelp order to fried kelp, and it was bean sprouts, bracken herbs, fragrant edible wild aster herbs order to herbs. It is Ssukgatmuchim, squid debt saliva, Jabanmuchim's order that season, hard-boiled food is beef boiled in soy sauce, mackerel radish hard-boiled food, order of bean curd hard-boiled food, panbroiling ate often by order of Kimchi panbroiling, red pepper anchovy panbroiling, pork panbroiling. Steamed dish is egg steamed dish, fish steamed dish, steamed short-ribs order, fried fish egg speech, by Gimchijeon, Pajeon order, meat roasted with seasoning ate often by laver meat roasted with seasoning, hair-tail meat roasted with seasoning, mackerel meat roasted with seasoning order. Minced raw meat are small octopus raw that live, beef dish of minced raw beef, Hongeohoe order, rice cake is cake made from g1u1ions rice, Seolgitteok, songpyon order, dessert ate often by fermented rice Punch, cinnamon flavored persimmon punch, Kangjung order.

  • PDF

강원지역 주민들의 두부 및 대두가공품 이용실태 (A Study on the Consumption Patterns of Soybean curd and Processed Soybean Products of Residents in the Kwangwon Area of Korea)

  • 김은실;정복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7-25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use, knowledge, purchasing, and degree of perception of processed soybean by residents in the Kwangwon area of Korea. The frequency of use of soybean curd was once per 4∼6 days(37.9%), once per 2∼3 days(31.9%), once per ten days(25.3%) and everyday(4.9%). The degrees of knowledge about soybean curd were a little(56.0%), interest(16.5%), much(14.8%) and no interest(12.7%). 73.9% of respondents had no experience of preparation soybean curd. The frequency of places for the intake of soybean curd were home(83.5%), restaurant(8.8%), tofu restaurant(5.6%) and the others(2.1%). The frequency of places for purchasing of soybean curd were supermarket(59.5%), market(25.0%), the others(9.9%) and department store(5.6%). The degrees of perception of soybean curd types were soybean curd(100%), uncurdled soybean curd(93.7%), soft soybean curd(64.7%), bun soybean curd(15.7%) and seaweed soybean curd(5.2%). The experience on the use of processed soybean of the respondents was highest for soybean curd(98.6%), followed by bean sprouts, soybean paste, soy sauce, soybean oil, soy flour, residue of soybean curd, soy milk, in that order. The most frequent intake experiences of soybean processed products of the subjects were beanpaste pot stew(96.8%), followed by tofu pot stew, tofu and kimchi pot stew, uncurdled bean curd pot stew, bean mixed rice, grilled tofu, in that order.

부모의 경제수준에 따른 자녀의 식품기호도에 관한 연구 (II) -주식과 부식에 대하여, 서울.경기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ildren's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Their Parents' Economic Status (II) - Seoul & Gyeonggi (Incheon) Area -)

  • 정혜정;엄윤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1호
    • /
    • pp.89-99
    • /
    • 2008
  • 본 연구는 유아기, 학동기, 청소년기 자녀를 대상으로 부모의 경제수준에 따라 주식과 부식류의 식품기호도를 조사 비교함으로써 부모의 경제수준에 따른 자녀의 식생활 경향을 알아보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균형 잡힌 영양공급을 위한 식품의 조리법과 메뉴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였으며, 그 길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중 학동기 두 집단 모두 과체중 대상이며, 유아기와 청소년기 두 집단은 정상 수준이었다. 2) 아버지와 어머니의 학력은 대졸이 가장 많았으며, 모든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모든 연령 집단에서 아버지의 직업은사무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기의 경우 400만원 미만 (전문직)을 제외한 어머니 직업은 주부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3) 주식류에 대한 선호도에서 유아기와 학동기의 경우 경제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청소년기의 경우 400만원 미만이 자장면과 라면에 대하여 더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p<0.05). 모든 연령층에서 쌀밥을 가장 좋아하고, 면류에서는 스파게티와 자장면, 라면 순으로 나타났으며, 콩밥에 대한 선호도는 모든 연령층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4) 국류와 찌개류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유아기와 청소년의 경우 400만원 미만과 400만원 이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학동기의 400만원 미만에서 김치찌개와 생선찌개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모든 연령층에서 미역국과 설렁탕, 쇠고기국을 선호하고, 김치찌개와 된장찌개를 선호하였다. 5) 조림과 볶음류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서 유아기와 청소년기의 경우 경제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었고, 학동기의 400만원 미만에서 고등어조림, 제육볶음, 김치볶음, 낙지볶음, 감자볶음, 멸치볶음에 대하여 더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모든 연령층에서 장조림과 감자, 계란조림을 전반적으로 선호하였고, 제육볶음과 김치볶음을 가장 선호한 반면, 버섯과 멸치볶음은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6) 구이, 무침, 김치류에 대한 신호도 조사에서도 유아기와 청소년기의 두 그룹은 경제적 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며, 학동기에서는 400만원 미만이 물김치와 오이소박이를 더 좋아하였다 (p<0.05). 모든 연령층에서 김구이를 가장 선호하고 다음으로 갈비구이를 좋아하였다. 무침류는 모든 연령층에서 콩나물무침을 가장 선호하였다. 7) 식품재료별 음식 선호도 조사에서는 유아기와 청소년기의 두 그룹 모두 경제수준에 따른 차이가 없었고, 학동기의 400만원 미만이 제육볶음, 생선볶음, 야채볶음 더 좋아했다 (p<0.05). 전반적으로 모든 연령층에서 선호하는 국류, 조림류, 볶음류, 구이류는 육류를 식품재료로 이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전주지역 김치와 국${\cdot}$찌개의 염도 및 섭취실태 (Salinity and Consumption Patterns of Kimchi and Soup${\cdot}$Stew in Jeonju Area)

  • 송미란;이경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4-91
    • /
    • 2008
  •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식생활에서 나트륨 섭취를 줄여나갈 수 있는 대책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주지역 주부를 대상으로 2007년 5월부터 6월까지 섭취하고 있는 김치와 국${\cdot}$찌개를 수거하여 염도를 조사하고, 설문지를 통해 소금섭취와 관련된 식행동과 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40대가 57.8%로 가장 많았고, 가족 수는 4명, 5명 이상이 41.3%로 많았으며, 최종 학력은 고졸이 41.3%로 가장 많았다. 가정의 한달 평균 수입은 100-200만원이 28.4%, 200-300만원이 22.9%였고, 54.1%가 직업을 가지고 있었다. 2. 섭취하고 있는 김치의 평균 염도는 $2.0{\pm}0.5%$였다. 3. 섭취하고 있는 국${\cdot}$찌개의 국물 염도는 $1.0{\pm}0.3%$, 국물과 건더기를 믹서에 갈아서 잰 염도는 $0.8{\pm}0.3%$였다. 국의 염도는 $0.9{\pm}0.3%$, 찌개의 염도는 $1.1{\pm}0.3%$로서 찌개의 염도가 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된장국의 염도 $1.0{\pm}0.3%$, 맑은 국읜 염도는 $0.8{\pm}0.3%$로서 된장국의 염도가 맑은 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4. 염분섭취와 관련된 식행동 점수가 높을수록 즉, 짠 음식을 선호할수록 섭취하고 있는 국${\cdot}$찌개의 염도도 높아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5. 식사를 하면서 소금이나 간장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국${\cdot}$찌개의 염도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6. 하루에 섭취하는 김치의 횟수는 대상자의 50% 이상이 매 끼니 섭취하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한번 식사 시 섭취하는 김치의 종류는 1-2종류가 가장 많았다. 섭취하고 있는 김치의 간에 대해 김치 열도가 낮은 군에서 '보통'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고, 김치 염도가 높은 군에서는 '보통' 또는 '짜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국${\cdot}$찌개의 염도가 낮은 군에서 '싱겁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아 국${\cdot}$찌개의 염도가 높은 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자주 섭취하는 김치는 배추김치, 파김치, 나물김치, 무김치, 깍두기, 열무김치 등이었다. 7. 하루에 섭취하는 국${\cdot}$찌개의 횟수는 2회 섭취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김치염도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에 비해 국물을 '반 그릇 이상' 먹는 경우가 더 많았고, 또한 국물은 먹지 않고 건더기만 먹는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더 많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섭취하고 있는 국이나 찌개의 간에 대한 질문에서는 '보통이다'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