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tter viscosity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1초

매생이 분말을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Mesangi(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 이재훈;곽은정;김지상;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1호통권97호
    • /
    • pp.83-89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mesangi(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added to give a control 0(control), 2, 4, 6 and 8% by weight per wheat flour. The crude protein was 33.37% for mesangi on a dry basis. Batter specific gravity, viscosity and baking loss increased with increasing mesangi powder content, whereas the specific loaf volume tended to decrease. Values of L and B decreased with increasing mesangi powder content while a value was minimized for the 4% mesangi powder.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sponge cakes with added mesangi powder content. The sensory tests indicated that aircell uniformity, firmness, sweetness and overall preference were not affected by the addition of 2 and 4% mesangi powder compared to control. Therefore, the addition of 4% mesangi powder to sponge cake was suggested as bing suitable to improve the quality.

Evaluation of Pork Myofibrillar Protein Gel with Pork Skin Gelatin on Rheological Properties at Different Salt Concentrations

  • Lee, Chang Hoon;Chin, Koo Bo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76-584
    • /
    • 201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yofibrillar protein (MP) gels containing pork skin gelatin at different salt concentrations. MP gels were prepared to the different salt levels (0.15, 0.30, and 0.45 M) with or without 1.0% of pork skin gelatin. Cooking yield (CY), gel strength, shear stress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sulfhydryl group and protein surface hydrophobicit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the structural changes among the proteins. The addition of gelatin into MP increased CYs and shear stress. MP at 0.45 M salt level had the highest CY and shear stress, as compared to MPs at lower salt concentrations. As the salt concentration of MP gels increased, the microstructure became the compact and wet structures, and decreased the amount of ${\alpha}-helix$/unordered structures and ${\beta}-sheet$. MP with gelatin showed a decreased amount of ${\alpha}-helix$/unordered structures and ${\beta}-sheet$ compared to MP without gelatin. The addition of gelatin to MP did not affect the sulfhydryl group, but the sulfhydryl group decreased as increased salt levels. MP mixtures containing gelatin showed a higher hydrophobicity value than those without gelatin, regardless of salt concentr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addition of gelatin increased viscosity of raw meat batter and CY of MP gels for the application to low salt meat products.

오미자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Omija Powder)

  • 이영주;이현주;김영숙;안창범;심선엽;전순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33-23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인 오미자의 이용 확대를 위해 오미자 분말 1.5, 3, 4.5, 6% 첨가한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하여 반죽의 비중, 점도, 스펀지케이크의 수분함량, 일반성분, 색도, 부피지수, 무게, texture, 관능검사 결과를 실시하였다. 스펀지케이크 반죽 점도는 대조군과 1.5% 첨가군이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첨가군들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비중은 대조군이 0.41이었고 오미자 분말 첨가군들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케이크의 수분함량과 무게는 대조군과 첨가군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케이크의 외부와 내부 색도를 측정한 결과 외부의 L(명도), 녹색도, 황색도는 오미자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내부 L(명도)과 황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녹색도는 오미자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조직감 측정 시 hardness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소비자 검사에서 부드러움은 4.5% 첨가군까지는 5점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Fracturability는 대조군과 오미자 분말 첨가군들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resilience는 오미자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는 케이크의 색과 부드러움, 향미, 전체적인 기호도는 오미자 분말 3% 첨가군까지 보통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를 고려하여 오미자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 제조 시 오미자 분말을 1.5~3% 첨가하는 것이 적절한 배합비로 사료된다.

머루 분말로 대체한 쌀 시폰 케이크의 품질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Rice Chiffon Cakes with Wild Grape Powder)

  • 빙동주;전순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8-127
    • /
    • 2015
  • 머루 분말 3%, 6%, 9% 및 12% 대체량을 달리한 쌀 시폰케이크를 제조하고 이의 품질 특성, 항산화 특성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의 비중은 0.48 g/mL로 가장 높았으며 머루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점도는 대조군이 11,606 cp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P<0.05) 머루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반죽과 케이크의 pH는 대조군이 각각 5.77, 5.87로 가장 높았으며 머루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P<0.05), 총산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수분함량은 머루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고(P<0.05), 수분활성도는 0.905~0.908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색도에서 명도와 황색도는 머루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고(P<0.05),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0.05). 조직감은 경도, 부서짐성, 검성 및 씹힘성은 머루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고(P<0.05) 부착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응집성과 복원성은 6% 대체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머루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아졌다(P<0.05). 관능검사에서 색, 향미, 부드러운 정도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머루 분말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시폰 케이크의 품질 특성, 관능검사 및 항산화 효과 등을 고려할 때 머루 분말 6% 대체한 쌀 시폰케이크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머루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확대를 위해 머루로 대체한 쌀 시폰케이크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Waxy Maize Starch의 대체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특성 (The Properties of Yellow Layer Cakes Made by Different Substituting Levels of Waxy Maize Starch for Shortening)

  • 송은승;강명화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4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의 재료 중 쇼트닝 대신 시판 탄수화물계 지방대체물인 waxy maize starch의 사용 가능성을 측정하고, 저 열량 레이어 케이크를 제조하기 위한 최적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 비율로 대체하여 제조한 케이크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지방대체율이 증가할수록 케이크의 비중은 증가하지만 점도는 감소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 측정 결과, 지방 대체물이 증가함에 따라 air cell과 함께 지방구의 수와 크기는 감소하였고, 점도가 높을수록 치밀한 구조를 보였다. 또한, 물성특성 측정결과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hardness, springiness, cohe-ssiveness, gumminess, chewiness 및 resilience는 감소하였다. 관능적 평가에서 색의 경우에만 waxy maize starch 대체 45%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지방 대체율이 크게 증가했을 때 전반적인 관능적 평가에서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방 대체물인 waxy maize starch는 저 열량 레이어 케이크 제조 시 적은 비율의 쇼트닝 대체로 사용한다면, 새로운 저 열량 레이어 케이크 제조를 위한 새로운 소재로 사용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 PDF

증숙 공정을 이용한 마 분말 첨가 팬케익 프리믹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cake Premix with Dioscorea batatas Powder by Steaming Process)

  • 강문경;김진숙;김기창;최송이;김경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93-599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cake mix containing Dioscorea batatas powder. In order to optimize the formulation ratio of the pancakes, steaming process was used to develop health-oriented products by adding D. batatas saponin and improved blood circulation. Methods: D. batatas powder was substituted into pancake at 0%, 10%, 20%, 30% and 40% of the total weight of wheat flour. Results: The viscosity of batter tended to increase as the ratio of D. batatas powder increased whereas the measures of spreada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addition, the L-value and b-values decreased gradually while a-value increased. Among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cohesiveness tended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D. batatas powd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pancake made with 20% D. batatas powder was the most preferable in appearance,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Hydrolyzed oat flour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저열량 레이어 케이크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Low Calorie Layer Cake Made With Different Levels of Hydrolyzed Oat Flour)

  • 송은승;김상진;강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1-5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 제조시 쇼트닝 대신 탄수화물계 지방 대체물인 hydrolyzed oat flour가 사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조사하고 여러 가지 비율로 대체하여 제조한 저열량 레어어 케이크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케이크 반죽의 비중과 점도는 지방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비중은 감소하지만 점도는 증가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 측정 결과 지방 대체물이 증가함에 따라 air cell과 함께 지방구의 수와 크기는 감소하였고 점도는 높을수록 치밀한 구조를 보였다. 물성 특성 측정결과 대체율이 증가 할수록 hardness, gumminess, 및 chewiness는 감소하였고 springiness와 cohesiveness, resilience는 증가하였다. 관능적 평가에서 hydrolyzed oat flour 45% 첨가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지방 대체율이 크게 증가하여도 관능적 평가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방 대체물인 hydrolyzed oat flour는 저열량 레이어 케이크 제조시 쇼트닝 대신 다량 첨가하여도 양질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방 대체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브로콜리 분말이 첨가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Made with Different Quantities of Broccoli Powder)

  • 김찬희;조경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59-46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식품 재료인 브로콜리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브로콜리 분말의 일반성분에 대해 알아본 다음 여러 가지 비율로 대체하여 스폰지 케이크를 제조하면서 반죽의 특성 및 제품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브로콜리 분말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케이크 반죽의 비중과 점도, 완성된 케이크의 굽기손실율은 증가하였고 비용적은 감소함을 보였다. 케이크의 수분함량 증감은 일정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케이크 crust와 crumb의 색은 브로콜리 분말이 많을수록 명도와 적색도 및 황색도가 감소하는 동일한 변화를 보였다. 외형은 육안으로 보이는 단면의 질감면에서 B-5와 B-10이 가장 바람직한 스폰지 케이크의 형태를 가지는 동시에 air cell의 발달도 유사하였다. 분말 대체량이 많을수록 탄성은 감소한 반면 견고성, 씹힘성, 점착성, 부착성, 부서짐성은 증가됨을 보였고 케이크 중 B-5는 물성 결과의 모든 값에서 control과 유의차가 없었다. 관능결과에서도 B-5가 control과 가장 유사한 점수를 얻었고 15% 이상을 대체할 경우에는 관능 특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스폰지 케이크 내 브로콜리 분말의 가장 적절한 대체비율은 5%로 제시할 수 있으며 브로콜리 분말의 생리기능성을 고려할 때는 10%까지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후 브로콜리 분말의 대체가 스폰지 케이크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브로콜리 분말을 여러 가지 가공식품에 확대 적용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폴리덱스트로스의 첨가량에 따른 저 열량 레이어 케이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low calorie layer cake by adding different levels of polydextrose)

  • 송은승;김상진;강명화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7-37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옐로우 레이어 케이크 제조시 쇼트닝 대신 탄수화물계 지방 대체물인 폴리덱스트로스가 사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조사하고 폴리덱스트로스를 여러 가지 비율로 대체하여 제조한 저열량 레이어 케이크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케이크 반죽의 비중과 점도는 지방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비중은 증가하지만 점도는 낮아졌다. 주사전자 현미경 측정 결과 지방 대체물이 증가함에 따라 air cell과 함께 지방구의 수와 크기는 감소하였고 점도는 높을수록 치밀한 구조를 보였다. 물성은 대체율이 높을수록 hardness, gumminess, cohessiveness 및 chewiness는 감소하였고 springiness는 증가하였으며 resilience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관능적 평가에서 폴리덱스트로스 첨가 25%에서 대조군과 비슷한 선호도를 나타내었고 지방 대체율이 크게 증가할수록 관능적으로는 낮게 평가되었다. 본 실험 결과 지방 대체물인 폴리덱스트로스는 저열량 레이어 케이크 제조시 쇼트닝 대신 25% 첨가시 대조군과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어 지방 대체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Effect of Gaeddongssuk (Artemisia annua L.) Powder on Quality and Shelf Stability of Emulsion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Ham, Hyoung-Joo;Kang, Geun-Ho;Choi, Yun-Sang;Jeong, Tae-Jun;Hwang, Ko-Eun;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601-611
    • /
    • 201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Gaeddongssuk powder (GP)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 stability of emulsion sausages during storage. Proximate composition propert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reatment (p>0.05). Control showed the highest cooking loss while the treatment with GP showed decreased cooking loss depending on increasing GP content (p<0.05). Apparent viscosity of batter was increased as the amount of GP increased, whereas hardness of emulsion sausages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GP level. In sensory evaluation, emulsion sausage with 0.1% GP resulted in the highest score in overall acceptability. The pH values of all treatments decreased at the early storage stage, followed by gradual increase. The lightness and redness of treatments were decreased when the level of GP was increased. However, the yellowness of sausages with GP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p<0.05). The addition of GP inhibited lipid oxidation of emulsion sausages during storage depending on its level. The aerobic bacteria population and VBN was unaffected by addition of GP during the storage (p>0.05). Therefore, Gaeddongssuk powder up to 0.1% has a potential as a natural antioxidant for meat products because it can inhibit lipid oxidation of sausages without decreasing their sensory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