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s of $l_1^n$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8초

Influence of Ketamine on Catecholamine Secretion in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 Ko, Young-Yeob;Jeong, Yong-Hoon;Lim, Dong-Yo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2권3호
    • /
    • pp.101-109
    • /
    • 2008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ketamine, a dissociative anesthetics, on secretion of catecholamines (CA) secretion evoked by cholinergic stimulation from the perfused model of the isolated rat adrenal gland, and to establish its mechanism of action, and to compare ketamine effect with that of thiopental sodium, which is one of intravenous barbiturate anesthetics. Ketamine ($30{\sim}300{\mu}M$), perfused into an adrenal vein for 60 min, dose- and time-dependently inhibited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5.32 mM), high $K^+$ (a direct membrane-depolarizer, 56 mM), DMPP (a selective neuronal nicotinic NN receptor agonist, $100{\mu}M$) and McN-A-343 (a selective muscarinic M1 receptor agonist, $100{\mu}M$). Also, in the presence of ketamine ($100{\mu}M$),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veratridine (a voltage-dependent $Na^+$ channel activator, $100{\mu}M$), Bay-K-8644 (an L-type dihydropyridine $Ca^{2+}$ channel activator, $10{\mu}M$), and cyclopiazonic acid (a cytoplasmic $Ca^{2+}$-ATPase inhibitor, $10{\mu}M$) were significantly reduced, respectively. Interestingly, thiopental sodium ($100{\mu}M$) also caused the inhibitory effects on the CA secretory responses evoked by ACh, high $K^+$, DMPP, McN-A-343, veratridine, Bay-K-8644, and cyclopiazonic acid. Collectively, thes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ketamine inhibits the CA secretion evoked by stimulation of cholinergic (both nicotinic and muscarinic) receptors and the membrane depolarization from the isolated perfused rat adrenal gland. It seems likely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ketamine is mediated by blocking the influx of both $Ca^{2+}$ and $Na^+$ through voltage-dependent $Ca^{2+}$ and $Na^+$ channels into the rat adrenal medullary chromaffin cells as well as by inhibiting $Ca^{2+}$ release from the cytoplasmic calcium store, which are relevant to the blockade of cholinergic receptors. It is also thought that, on the basis of concentrations, ketamine causes similar inhibitory effect with thiopental in the CA secretion from the perfused rat adrenal medulla.

제초제(除草劑) 약해경감물질(藥害輕減物質) 탐색(探索)과 작용기구(作用機構) 규명(糾明);Ⅱ. Glutathione 함량(含量)과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活性) 변화(變化)에 대한 N-(4-chlorophenyl) maleimide, 식물생장조절물질(植物生長調節物質) 및 Alkylating Agents 의 효과(效果) (Investigation of Herbicide Safeners and their Mode of Safening Action;II. Effect of N-(4-chlorophenyl) maleimide, Plant Growth Regulators, and Alkylating Agents on Glutathione Content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 전재철;마상용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29-337
    • /
    • 1995
  • 암(暗) 조건(條件)에서 3일간(日間) 생육(生育)시킨 수수에 있어서 CPMI, 식물(植物)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및 akylating agent 의한 GSH 함량(含量) 및 GST 활성(活性)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무처리(無處理) 수수의 지상부(地上部) 추출물(抽出物)에서 GST의 활성(活性)과 GSH의 함량(含量)이 근부(根部)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CPMI로 처리(處理)한 수수에서 나타난 GSH의 분포(分布) 양상(樣相)은 전반적으로 무처리(無處理)와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나, 초엽부(葉部)에서 GST[metolachlor]의 활성(活性)이 무처리(無處理)에 비하여 약 2.3배 증대되었다. 이러한 GST 활성(活性)의 증대(增大)는 metolachlor에 특이적(特異的)으로 작용하는 GST isozyme의 발현(發現)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metolachlor 부활성화(不活性化) 효소(酵素)인 GST의 활성(活性) 변화(變化)를 가져오는 관연기작(關聯機作), 즉 plant hormone regulation 및 substrate induction에 근거(根據)한 일련의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GST [metolachlor]의 활성(活性)은 2,4-D 처리시(處理時)에 약 2.1배 증가(增加) 하였으나, ethylene과 ABA에 의한 변화(變化)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metolachlor는 이 제초제(除草劑)에 특이성(特異性)을 갖는 GST isozymes의 발현(發現)을 통하여 3.4배의 GST 활성(活性) 증가(增加)를 가져온 반면에, 기타 alkylating agent로 사용(使用)된 2-iodoacetamide와 2-bromo-N-phenylacetamide에 있어서는 GST의 활성(活性)을 억제(抑制) 또는 영향(影響)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結果)로 부터 수수에 있어서 CPMI에 의한 GST[metolachlor] 활성(活性)의 증대(增大)가 auxin regulation 또는 substrate induction에 부분적(部分的)으로 관련(關聯)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Individual versus Group Rearing and Feeding of Different Levels of Milk and Skim Milk on Nutrient Utilization in Crossbred Calves

  • Babu, L.K.;Pandey, H.N.;Sahoo,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0호
    • /
    • pp.1455-1459
    • /
    • 2003
  • A $2{\times}3$ factorial design was used to study the impact of rearing systems, individual (I) vs. group (G) and different levels of milk/skim milk feeding (three schedules, F1, F2 and F3) on performance of crossbred (Bos indicus ${\times}$ Bos taurus) calves. Six calves (three from each sex) were taken in each group on the basis of their birth weight. All the calves were fed colostrum for three days and thereafter, were allotted to three different milk feeding schedules (F), i.e. milk fed upto 8 weeks of age (F1), milk upto 4 weeks followed by 50% (F2) and 100% (F3) replacement of milk with skim milk in the next 4 weeks. Calf starter and cereal green fodder were fed ad libitum to all the calves beginning from second week of age. A digestibility trial was conducted at 15th week of age to assess nutrient utilization during postweaning period. The digestibilty of dry matter (DM), organic matter, total carbohydrate, ether extract and crude protein (CP) were nonsignificant between the rearing systems and the feeding schedules. There was significantly higher digestibility of NDF and ADF in G than I and in F3 than F1 and F2. The concentration 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of the diet ranged from 17.18 to 17.75% and 66.32 to 70.14%, respectively. The DM intake (kg/100 kg body weight) ranged from 1.74 to 2.14 kg during 0 to 8 weeks and 3.19 to 3.41 kg during 0 to 14 weeks of age. The effects during postweaning phase (9-14 weeks of age) showed increased performance in group housed calves compared to individually housed ones with a superior average daily gain (590 vs. 443 g) and dry matter intake (1.79 vs. 1.64 kg). Above all, replacement of milk with skim milk at 50% level after 4th week followed by complete removal after 6th week of age (F2) seemed to suit better in coping with immediate energy starvation due to sole feeding of skim milk (F3) and they performed the best under group housed system of rearing.

돈분액비의 시용수준이 벼 생육과 품질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Rates of Liquid Pig Manure on Rice Growth, Quality and Soil Properties)

  • 류종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67-682
    • /
    • 2014
  • 본 연구는 돈분액비의 시용수준이 벼의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미질과 토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돈분액비의 시용수준은 벼의 추천 질소시용량인 9kg N/10a를 기준으로 하여 화학비료 질소 총량을 돈분액비로 대체하는 방법, 즉 100%, 130%, 160% 시용구를 두어 시용시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초장과 분얼수는 돈분액비 100, 130% 시용구에서 화학비료와 대등하였다. 돈분액비 160% 시용구는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분얼수가 많았고 초장이 큰 과번무 상태를 나타내었다. 백미수량은 돈분액비 100% 처리구에서 410 kg/10a으로 화학비료 처리구에 비해 3%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돈분액비 130% 처리구는 화학비료처리구와 대등한 수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돈분액비 160% 처리구에서 화학비료를 시용한 구에 비해 5%의 수량 감소가 있었는데 등숙율 및 천립중 저하가 수량감소의 원인이었다. 백미의 단백질 함량은 돈분액비 100% 시용구에서 6.8%로 화학비료 처리구의 6.9%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돈분액비 130, 160% 시용구에서 7.20~7.68%로 높은 수준이었다. 식미치는 돈분액비 100% 시용구가 73.7로 가장 좋았고 돈분액비 160% 처리구에서 66.9로 식미치가 낮았다. 완전미 비율이 가장 높은 처리구는 화학비료구로서 92.2%이었던 반면 돈분액비 100, 130% 처리구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돈분액비 160% 처리구의 완전미 비율이 88.9%로 가장 낮았는데, 주원인은 활청미의 비율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현미의 무기성분 중 질소농도는 0.92~0.99% 범위이었는데 처리간 유의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벼의 10a당 질소흡수량은 화학비료시용구에서 15.1 kg으로 돈분액비 100% 시용구의 12.5 kg보다 높은 흡수량을 나타냈다. 돈분액비 100%, 130% 시용구의 토양 중금속 함량은 화학비료 시용구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돈분액비 160% 시용구 토양의 아연, 구리, 비소 함량은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높았다. 따라서 벼의 수량과 품질지수 측면에서는 돈분액비 130%가 유리하였다. 돈분액비 160% 시용구에서는 등숙률과 천립중이 낮아지므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돈분액비의 양분 이용률을 고려 할 때 130% 범위에서 시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벼의 수확량과 품질 그리고 토양의 중금속함량 감소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그러나 돈분액비 160% 시용구 토양의 아연, 구리, 비소 함량은 화학비료 시용구보다 높았다. 따라서 벼의 수량과 품질지수 측면에서는 돈분액비 130%가 유리하였다. 돈분액비 160% 시용구에서는 등숙률과 천립중이 낮아지므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돈분액비의 양분 이용률을 고려 할 때 130% 범위에서 시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벼의 수확량과 품질 증대, 그리고 토양의 중금속함량 감소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느타리버섯의 생리화학적성질(生理化學的性質) 및 재배(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the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Pleurotus ostreatus))

  • 홍재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1권3호
    • /
    • pp.150-184
    • /
    • 1978
  • 합성배지(合成培地)에서 느타리 버섯균(菌)의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에 대한 영양적(營養的) 특성(特性)과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제성질(諸性質)을 구명(究明)하고 볏짚과 톱밥 양(兩) 배지(培地)에서 느타리 버섯의 대량(大量) 생산(生産)을 위한 배양조건(培養條件)을 밝히고, 느타리 버섯 재배기간(栽培期間) 중 배지(培地)와 버섯중의 각종(各種) 성분(成分)의 추이(推移)를 알고자 실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탄소원(炭素源) 중 mannitol과 서은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이 빠르고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이 많았으나 lactose와 rhamnose는 균사(菌絲) 조차도 생육하지 못하였다. 또한 구연산, 호박산, ethyl alcohol 및 glycerol에서는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이 매우 빈약(貧弱)하였고, 식초산, 개미산, 푸마르산, n-butyl alcohol, iso-butyl alcohol 및 n-propyl alcohol은 균사생육(菌絲生育)을 저해(阻害)하였다. 2. 질소원(窒素源)중 peptone은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이 빠르고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이 많았으나 DL-alanine, asparagine, L-aspartic acid, glycine및 serine은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이 매우 빈약(貧弱)하였으며 아질산태질소(亞窒酸態窒素), L-tryptophan 및 L-tyrosine은 균(菌)의 생육을 저해(沮害)하였다. 또한 peptone에 무기태질소(無機態窒素)와 아미노산(酸)을 혼용(混用)한 결과 $(NH_4)_2SO_4$, $NH_4$-tartarate, DL-alanine및 L-leucine에서는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이 약 10% 증가되었고, L-aspartic acid는 약 15%. L-arginine은 약20%, L-glutamic acid와 L-lysine은 약 25%증가 되었다. 3. C/N율(率) 15.23에서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은 빠르나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은 감소(減少)되었으며, C/N율(率) 11.42에서는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은 늦으나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은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동일 C/N율(率)에서도 mannitol과 peptone의 농도(濃度)가 높은 편이 수량(收量)이 증가되었다. 그러므로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 소요일(所要日)의 관점(觀點)에서 보면 C/N율(率) 30.46이 어느정도 적당(適當)한 것 같다. 4. Thiamine $50{\mu}g%,\;KH_2PO_4$ 0.2%, $MgSO_4{\cdot}7H_2O$$0.02{\sim}0.03%$일때 균사(菌絲)와 자실체(子實體) 생육(生育)이 우수(優秀)하였으며 미량원소(微量元素)로서는 $FeSO_4{\cdot}7H_2O$,\;ZnSO_4{\cdot}7H_2O$$MnSO_4{\cdot}5H_2O$가 공존(共存)하면 생육촉진(生育促進)의 상승효과(相乘效果)가 인정되었으나 3이원소(元素)중 Mn이 결핍(缺乏)하면 균사(菌絲)와 자실체(子實體)의 생육(生育)이 다소 저하되었다. 이들 염류(鹽類)의 최적농도(最適濃度)는 각각 0.02mg%이었다. 5. Cytosine $0.2{\sim}1mg%$와 indole acetic acid 0.01mg%에서 균사량(菌絲量)은 증가되었으나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에는 효과 없었으며 그밖의 purine염기(鹽基), pyrimidine염기(鹽基) 및 식물(植物) hormone은 영향이 없었다. 6. 광조사(光照射영)에 의해서 균사생육(菌絲生育)은 저해(沮害)되었으며 영양생장(營養生長)의 후기에 광(光)을 조사(照射)하면 원기형성(原基形成)이 유도(誘導)되었다. 광(光)의 최적조도(最適照度)는 $100{\sim}500lux$, 조사시간(照射時間)은 매일 $6{\sim}12$시간이었고, 이 이상(以上)의 조도(照度)에서는 오히려 저해(沮害)되었으며, 암소(暗所)에서는 원기(原基)가 형성(形成)되지 않고 영양생장(營養生長)만 계속되었다. 7.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의 최적온도(最適溫度)는 각각 $25^{\circ}C,\;10{\sim}15^{\circ}C$이었고 최적(最適)의 pH범위(範圍)는 $5.0{\sim}6.5$이었으며 균사(菌絲)는 $7{s\im}10$일간 배양(培養)했을 때가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이 제일 우수(優秀)하였다. 또한 배지량(培地量)이 적을수록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은 빠르나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은 감소(減少)되었고 배지량(培地量)이 많을수록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은 늦은반면에 그 수량(收量)은 증가 되었으며, 원기형성(原基形成)은 $CO_2$에 의하여 저해(沮害)되었다. 8. 볏짚과 톱밥 병 배지(培地)에서 균사생육(菌絲生育)의 최적(最適) 수분량(水分量)은 70%이상 이었으며 미강(米糠) 10%를 배지(培地)에 첨가(添加)했을 때는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이 우수(優秀)하였다. 그리고 양배지(兩培地)에 $CaCo_3$를 단독(單獨)으로 첨가했을 때는 유효(有?)하였으나 미강(米糠)과 함께 첨가했을때는 효과(?果)를 볼 수 없었다. 9. 재배(栽培) 실험(實驗)에서 느타리 버섯의 전체(全體) 수량(收量)은 볏짚배지(培地)에서 $14.99kg/m^2$, 톱밥배지(培地)에서 $6.52kg/m^2$이었고 양배지(兩培地) 모두 90%이상이 1,2주기(週期)에서 얻어졌으며 볏짚배지(培地)(dry matter $20.96kg/m^2$)의 전수율(全收率)을 톱밥배지(培地)(dry matter $20.83kg/m^2$)의 약 2.3배(倍)이었다. 10. 재배기간(栽培期間)중 양(兩) 배지(培地)의 일반 성분을 고형물(固形物) 기준(基準)으로 볼때 회분(灰分)의 변화는 적었으나 유기물(有機物)은 감소(減少)되었으며, 수분(水分)은 종균접종시(種菌接種時) 약 79%이던것이 균사번식기간(菌絲繁殖期間)중에 다소 감소(減少)되었고 그 이후부터는 큰 변화가 없었다. 11, 종균접종시(種菌接種時) 부터 4주기(週期) 수확(收穫) 후까지 배지(培地) 성분(成分)의 소실(消失)을 보면 볏짚배지(培地)는 고형물(固形物) 약 19.7%, 유기물(有機物) 약 19.3%, 질소(窒素) 약 40%가 소실(消失)되었으며, 톱밥 배지(培地)에서는 고형물(固形物) 약 7.5%, 유기물(有機物) 약 7.6%, 질소(窒素) 약 20%가 소실(消失)되었다. 버섯 1kg을 생산(生産)하기 위하여 볏짚 배지(培地)에서는 유기물(有機物) 약 232g, 질소(窒素) 약 7.0g이 소실(消失)되었고, 톱밥 배지(培地)에서는 유기물(有機物) 약 235g, 질소(窒素) 약 6.8g이 소실(消失)되었으며, 버섯 1kg당(當) 함유된 유기물(有機物)은 각각 82.4g, 82.3g, 질소(窒素)는 각각 5.6g, 5.4g이었다. 12. 양배지(兩培地)의 전질소(全窒素)는 점차적으로 감소(減少)되었고 불용성질소(不溶性窒素)의 절대감소량(絶對減少量)은 수용성질소(水溶性窒素)보다 컸으며 아미노태(態) 질소(窒素)는 3주기(週期)까지는 계속 증가 되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감소(減少)되었다. 13. 볏짚 배지(培地)에서는 재배기간(栽培其間)에 소실(消失)된 전(全) pentosan의 28%, ${\alpha}$-cellulose는 13.8%가 균사생육(菌絲生育)중에 소실(消失)되었고 톱밥배지(培地)에서는 전(全) pentosan의 24.1%, ${\alpha}$-cellulose는 11.9%가 소실(消失)되었으며 lignin은 양(兩) 배지(培地)의 2주기(週期) 수확(收穫)부터 다소 감소(減少)되었다. 환원당(還元糖), trehalose 및 mannitol은 계속 증가의 추세를 보였으며 C/N율(率)은 볏짚 배지(培地)에서 종균(種菌) 접종시(接種時) 33.2이었던 것이 폐상시(廢床時)에는 30.3이었고, 톱밥 배지(培地)는 61.3이었던 것이 60.0 이었다. 14. 양(兩) 배지(培地)에서 P, K, Mn, Zn은 감소(減少)되었고, Mg, Ca, Cu는 불규칙하게 변화되었으며, Fe는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15. 재배기간(栽培期間)중 각종효소(各種酵素)의 활성(活性)은 톱밥배지(培地)보다 볏짚배지(培地)가 월등히 높았다. 즉 CMC 당화활성(糖化活性)과 CMC액화활성(液化活性)은 균사번식(菌絲繁殖)후부터 2주기수확(週期收穫)까지는 양배지(兩培地)에서 점차적으로 증가 되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감소(減少)되었다. xylanase활성(活性)은 1주기(週期)보다 2주기(週期)에서 급격히 상승되었고 3주기(週期)가 되면서 볏짚 배지(培地)에서는 신속히 감소(減少)되었으나 톱밥 배지(培地)에서는 이와같은 감소(減少)를 볼 수 없었다. protease 활성(活性)은 균사번식(菌絲繁殖)후 최고의 활성도(活性度)를 보였다가 점차로 감소(減少)하였다. 또한 볏짚 배지(培地)의 pH는 종균접종시(種菌接種時) 6.3이던 것이 4주기(週期)후는 5.0이었고 톱밥배지(培地)의 pH는 5.7에서 4.9로 떨어졌다. 16. 볏짚 배지(培地)에서 생육한 버섯은 섬유소(纖維素)를 제외한 모든 성분량(成分量)이 톱밥배지(培地)에서 생육한 버섯보다 높은 경향이있었으며 양배지(兩培地)에서 버섯의 각주기별(各週期別) 성분(成分) 변화는 $1{\sim}3$주기(週期)까지는 거의 비슷하였으나 4주기(週期)에서는 다소 감소(減少)의 추세를 보였다.

  • PDF

백작약 열수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 및 유효성분 동정 (Inhibitory Effect of Hot-Water Extract of Paeonia japonica on Oxidative Stress and Identification of Its Active Components)

  • 정일윤;이주상;오헌;정우희;박혜란;조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39-744
    • /
    • 2003
  • 백작약(Paeonia japonim)의 열수추출물로부터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열수추출물은 총매의 극성도에 따라 4종의 분획물(CHCl$_3$, EtOAc, n-BuOH, water)로 구분하였다. 항산화활성 시험 중 hydroxyl 라디칼 소거 시험에서는 열수추출물 및 각 용매 분획물은 모두 아주 낮은 활성을 보였다. 지질 과산화 시험에서는 열수추출물과 EtOAc 및 물 층 분획물이 50%(50 $\mu\textrm{g}$/$m\ell$ 농도에서 ) 이상의 억제활성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 시험에서는 열수추출물과 EtOAc 및 n-BuOH 분획물이 8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EtOAc 분획물은 50과 100 $\mu\textrm{g}$/$m\ell$의 농도에서 BHA와 거의 동등한 전자 공여능(EDA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EtOAc 분획물에서 2종의 단일 물질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일 물질인 PJE021-1과 PJE024-l은 10 $\mu\textrm{g}$/$m\ell$의 농도에서 BHA보다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PJE021-1은 $H_2O$$_2$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에 대해 최고농도50 $\mu\textrm{g}$/$m\ell$에서 $H_2O$$_2$처리구에 비해 93%의 경감 효과를 나타냈고, PJE024-1은 0.5 $\mu\textrm{g}$/$m\ell$의 낮은 농도에서 71%의 경감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 2종의 단일 물질이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유효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이 단일 물질은 분광학적기기 분석과 물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gallic acid(PJE021-1)와 (+)-catechin(PJE024-1)으로 동정되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백작약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경감제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Effects of Keratinase on Performance, Nutrient Utilization, Intestinal Morphology, Intestinal Ecology and Inflammatory Response of Weaned Piglets Fed Diets with Different Levels of Crude Protein

  • Wang, D.;Piao, X.S.;Zeng, Z.K.;Lu, T.;Zhang, Q.;Li, P.F.;Xue, L.F.;Kim, S.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2호
    • /
    • pp.1718-1728
    • /
    • 2011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 vitro ability of keratinase to hydrolyze soybean glycinin and ${\beta}$-conglycinin and to evaluate the in vivo effects of keratinase when included in corn-soybean diets with different levels of crude protein and fed to nursery pigs. In experiment 1, a saturated keratinase solution (1 ml) was added to two blank controls of either glycinin or ${\beta}$-conglycinin resulting in the hydrolysis of 94.74% glycinin and 88.89% ${\beta}$-conglycinin. In experiment 2, 190 pigs (8.3${\pm}$0.63 kg BW) were allotted to one of four treatments in a 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on the basis of body weight, and sex was balanced among the pens. The effects of crude protein (19 vs. 22%) and keratinase (0 vs. 0.05%) were studied. Each treatment was applied to six pens with seven (two pens) or eight pigs per pen. Pigs were fed the experimental diets for 21 d.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improved (p<0.05) with keratinase supplementation while feed intake was reduced (p<0.05). Keratinase supplementation increased (p<0.05)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energy, crude protein and phosphorus. Keratinase supplementation also increased n-butyric acid in the cecum and colon, lactobacilli and total anaerobe counts in the colon as well as the ratio of villus height to crypt depth in the ileum. Additionally, fecal score, ammonia nitrogen and branch chain volatile fatty acids in the colon, E. coli and total aerobe counts in the colon, crypt depth in the jejunum and ileum as well as serum interleukin-1 and interleukin-6 concentrations were also decreased (p<0.05) by keratinase supplementation. A reduction in dietary crude protein decreased (p<0.05) colon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 and cecal propionic acid and branch chain volatile fatty acid concentrations. In addition, cecal E. coli counts, colon total anaerobe counts, ileal crypt depth, and serum interleukin-1 and interleukin-6 concentrations were also decreased (p<0.05) with the reduction of dietary crude protein. With the exception of fecal scores,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crude protein and keratinase.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dietary keratinase supplementation improved nursery pig performance by improving intestinal morphology and ecology, thus improving nutrient digestibility and alleviating the inflammatory response.

가감소속명탕이 Monosodium Iodoacetate로 유발된 골관절염의 초기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gamsosokmyeong-tang(Jiajianxiaoxuming-tang) Treatment on the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Early Stage Osteoarthritis in Rats)

  • 박동수;정수현;김순중;서일복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9-65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gamsosokmyeong-tang(Jiajianxiaoxuming-tang) on the monosodium iodoacetate(MIA) induced early state osteoarthritis in rats. Methods: Osteoarthritis was induced by injection of MIA(0.25 mg) into knee joints of rats. Osteoarthritis rats were divided into control(n=8) and treated=8 group respectively, Control group was taken distilled water and treated group was taken extracts of Gagamsosokmyeong-tang(Jiajianxiaoxuming-tang) by orally for 20 days. Body weight was measured at 0, 5, 10, 15, 20 days after MIA injection. At the end of experiment, gross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n the articular cartilages of the knee joints were performed. Proteoglycan(PG) content of articular cartilages were analysed by safranine O staining method. The content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 $interleukin-1{\beta}(IL-1{\beta})$ in synovial fluids were analysed by enzyme-inked inmunosorbent assay(ELISA) method. And also cycloxygenase-2(COX-2), matrix metalloproteinase 3(MMP-3),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iNOS), calpain immunochistochemical examination on the knee joints were performed. Results: PG content in articular cartilages of the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Histopathological osteoarthritic score of the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NF-{\alpha}$ content in synovial fluids, expression of iNOS and calpain in synovial membrane of the 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body weight, $1L-1{\beta}$ content in synovial fluids, expression of iNOS and MMP-3 of the treated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Gagamsosokmyeong-tang(Jiajianxiaoxuming-tang) has anti-arthritic effects on the MIA induced early stage osteoarthritis in rats.

Performance of Weaner Lambs on Conventional Feeds or Supplemented with Mango Seed Kernel (Mangifera indica) and Babul Pods Chuni (Acacia nilotica) under Intensive Production System

  • Saiyed, L.H.;Parnerkar, S.;Wadhwani, K.N.;Pandya, P.R.;Patel, A.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0호
    • /
    • pp.1469-1474
    • /
    • 2003
  • Twenty four weaner lambs, eight each of Marwari, Patanwadi and Merino${\times}$Patanwadi breeds (9.9 to 10.8 kg)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dietary treatments on body weight basis Viz. $T_1$-conventional (Maize-38%, GN Cake-25%, Rice Polish-24%, Jaggery solution-10%, Mineral mixture-3%) and $T_2$-supplemented non conventional group (GN Cake-25%, Rice Polish-14%, Mango seed kernel-25%, Babul Pods chuni-23%, Jaggery solution-10%, Mineral mixture-3%). The Jaggery solution was prepared by mixing 6.5 kg Jaggery and 3.5 kg water. The average final body weight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as recorded to be $19.33{\pm}0.76$ and $19.72{\pm}0.8kg$ in conventional and non-conventional groups, respectively. The total dry matter intake (DMI) during the entire experiment period was recorded to be $89.56{\pm}5.19$ and $95.08{\pm}1.06$ (kg/head) and $532.83{\pm}9.94$ and $566.75{\pm}10.49g/d$ in conventional and nonconventional groups, respectively. The body weight gain and body measurements did not influenced by diet. The ration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when the DMI was expressed in terms of g/d. The crude protein (CP) and digestible crude protein (DCP) intake/head and per kg gain observed during experiment under conventional and non-conventional treatment group did not differ from each other. However, th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intake per kg gai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supplemented non-conventional group. The intake values of DCP and TDN were more or less in agreement with Indian Council Agricultural Research (1985) recommendations. The estimated total feed cost (Rs./animal) for experimental lambs was $274.16{\pm}8.57$ and $242.67{\pm}5.10$ in conventional and non- group, respectively. The non-conventional group had significantly (p<0.05) lower feed cost (11.6%). The return as percent of feed cost and feed cost/kg dressed weight were $92.89{\pm}5.58$ (%) and Rs. $35.40{\pm}1.11$ and $122.61{\pm}5.06$ (%) and Rs.$30.47{\pm}1.71$ in conventional and non-conventional group (p<0.05), respectively which is the reflection of significantly lower total feed cost incurred during feeding in non-conventional group. Lambs fed non-conventional based diet had similar live weights as those fed conventional diets but costed less money to achieve those weights.

방사선을 이용한 내염성 계통의 기내선발 및 특징 (In Vitro Selec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Gamma Radiation-Induced Salt Tolerant Lines in Rice)

  • 이인석;김동섭;현도윤;임용표;이영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247-252
    • /
    • 2002
  • 1.5% NaCl이 함유된 배지에 캘러스를 치상하여 방사선을 처리한 결과 무처리구보다 처리구 (30, 50 Gy)에서 캘러스 생존율 및 재분화율이 증가하여 내염성 캘러스를 선발하는데 방사선의 적용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내염성 캘러스에서 재분화된 M$_3$세대 종자에서 내염성 계통들은 모품종보다 초장, 근장 및 근수의 생육이 우수하여 이러한 계통은 내염성 연구를 위한 유용한 유전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RAPD 기술은 대조구와 내염성 캘러스에서 재분화된 계통을 구분하는데 유용한 기술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