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c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program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Basic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Program on Scholastic Achievement and Scholastic Motivation - A Case Study on Engineering Freshmen in D University -)

  • 이정례;이성진;권혁홍;이경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67-184
    • /
    • 2011
  • D대학교 공과대학에서는 2010학년도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수학기초학력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충수업 형식의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기초학력평가 성적과 대학수학 성적을 보충수업 비대상자와 대상자, 대상자 중에서도 보충수업에 출석한 횟수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학적 성향검사, 수학에 대한 인식 설문, 그리고 정규수업과 보충수업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들은 대체로 수학기초학력이 부족하였고 수학기초학력 향상프로그램은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대학수학 교육을 위해서는 수학기초학력평가를 실시하고 수학적 성향검사와 수학에 대한 인식 설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배경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며, 대학수학 교수 학습은 수학기초학력 향상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중학교 영재학생의 수학기초지식의 이해 정도에 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Comprehension level of Mathematical Basic Knowledge by 2nd Middle School Students)

  • 서보억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31-149
    • /
    • 2009
  • 수학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다. 하지만 2003년 교육청 영재교육원을 통한 수학영재교육이 실시된 이래 학생의 성취결과에 대한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기초지식을 정의, 성질, 절차로 세분화하고 그에 따른 검사문항을 국가수준의 성취기준을 준거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검사도구로 한 광역시 영재원을 선택하여 전수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기초 정의에서는 연산과 관련된 기본적인 개념을 제외하면 비교적 낮은 성취결과를 보였다. 둘째, 기초 성질에서는 기초 정의가 결여된 기초 성질에 대한 문항에서 매우 낮은 성취 결과를 보였고, 전체적으로 기초 정의와 유사한 성취결과를 보였다. 셋째, 기초 절차에서는 매우 높은 성취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검사결과를 통해 볼 때 수학기초지식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필요성이 있고, 이를 위해 영재선발 문항과 영재교육 내용에 대한 체계적인 대안의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본 조사연구는 수학기초지식과 결부되어진 선발문항 개발 및 영재교육내용의 개선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기할 수 있고, 수학영재교육의 긍정적 변화에 도움을 제공하리라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