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c load

검색결과 1,235건 처리시간 0.03초

콘크리트 충전 원형 및 각형 합성 강관 기둥의 압축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pression Behavior of the Circular and Square Tubular Steel Pipe filled with Concrete)

  • 박강근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55-63
    • /
    • 2006
  • 본 논문은 콘크리트 충전 원형 및 각형 합성 강관을 기둥부재로서의 적합성 및 적용성을 위한 연구로 두개의 강관을 합성한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의 축압축 좌굴내력 및 변형형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이다. 강관 기둥에 대한 연구는 콘크리트 충전 원형 강관 기둥, 콘크리트 충전 각형 강관 기둥, 콘크리트 충전 합성 강관 기둥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Effects of Three Different Hip Positions in Frontal Plane on Activity of Abdominal Muscles During Active Straight-Leg Raise

  • Yoon, Tae-Lim;Kim, Ki-Song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1-88
    • /
    • 2013
  • Active straight-leg raise (ASLR) is a physical evaluation procedure to test lumbar spine stability.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various methods to control the activation of abdominal muscles during ASLR.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hip positions in frontal plane on abdominal muscles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ifficulty level of lumbar spine stability exercise during ASLR in pain free subjects. Eleven young and healthy subjec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6 men, 5 women; mean age=$24.0{\pm}1.2$ years, height=$160.0{\pm}7.3cm$, weight=$55.0{\pm}10.6kg$, body mass index=$21.5{\pm}2.3kg/m^2$). The subjects had three trials on each ASLR with hip $10^{\circ}$ adduction, neutral hip, and hip $30^{\circ}$ abduction. Separate repeated-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he post hoc Bonferroni tests (with ${\alpha}$=.05/3=.017) were performed for each muscle among the three different hip positions in frontal plane (ASLR with hip $10^{\circ}$ adduction, neutral hip, and hip $30^{\circ}$ abduction). The ipsilateral external oblique (EO), contralateral EO, ipsilateral internal oblique/transverse abdominis (IO/TrA), and contralateral IO/TrA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ASLR with hip $30^{\circ}$ abduction compared with ASLR with hip $10^{\circ}$ adduction. Also, the ipsilateral EO, contralateral EO, and ipsilateral IO/TrA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ASLR with hip $30^{\circ}$ abduction compared with ASLR with neutral 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SLR with hip $30^{\circ}$ abduction and neutral would be useful method to strengthen the EO and IO/TrA. And, ASLR with hip $10^{\circ}$ adduction would be effective in early stages of lumbar stabilization program due to low activation of EO and IO/TrA during maintaining of ASLR position with low load.

Isoparametric 곡선(曲線) 보요소(要素)를 이용한 평면(平面)뼈대 구조물(構造物)의 대변형(大變形) 및 탄소성(彈塑性) 유한요소해석(有限要素解析) (Large Deflection and Elastoplastic Analysis of the Plane Framed Structure Using Isoparametric Curved Beam Element)

  • 김문영;신현목;이창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41-49
    • /
    • 1993
  • 2차원 곡선보요소를 이용하여 대변형효과 및 탄소성거동을 고려한 유한요소법을 제시한다. Total Lagrangian 방법을 적용하며, 보요소는 평면응력요소로부터 유도된다. 또한, 임의의 단면을 갖는 평면뼈대 구조의 탄소성 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layered approach를 사용한다.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은 하중증분 또는 변위증분법을 적용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보요소의 거동과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른 문헌의 결과와 본 연구의 결과를 비교 분석한 해석예제를 제시한다.

  • PDF

유한요소해석과 다구찌방법을 이용한 에너지 저장형 의족용골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Keel in the Energy Storing Prosthetic Foot Us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and the Taguchi Method)

  • 이동희;장태성;이정주;윤용산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4권3호
    • /
    • pp.613-624
    • /
    • 2000
  • In this study, new design method of prosthetic foot was suggested which can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rosthetic foot by implementing amputee's gait simulation using the finite element analysis. The basic shape of ESPF(Energy Storing Prosthetic Foot) was designed which is suitable for the below-knee amputee consider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kinematic properties.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s were performed using the Taguchi method with orthogonal array L25. As a result, average main effect of factors for the ESPF's performance were calculated and then optimum condition of given shape was selected. Essential particulars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from the simulation result were the quantity of external work needed in stance phase, the quantity of transferred energy from the ESPF through the knee, and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knee at toe-off. Reasonable optimum condition was obtained from the using performance index. From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design of ESPF to consider the geometrical data related to the magnitude of load on elastic material.

손상제어 설계된 철근 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력 향상 (Seismic Safety Enhancement of Damage-Controlled Reinforced Concrete Frames)

  • 정영수;김세열
    • 전산구조공학
    • /
    • 제4권3호
    • /
    • pp.89-97
    • /
    • 1991
  • 본 논문은 지진발생시 빌딩프레임상의 각 부재의 흡수에너지율이 일정하도록 유도하는 다시말하면 각각의 부재의 손상지수값이 고루게 분포토록 하는 새로운 설계법인 손상제어 전산설계법의 유용성을 입증코져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사용된 기본적인 이력모델 및 손상모델의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one-bay one-stody 프레임의 실험적인 하중-변위곡선을 해석적으로 재생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설계법을 각종 프레임에 적용한 결과 1) 구조물의 특징 및 사용된 지진형상에 관계 없이 손상제어 설계된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종래의 방법으로 설계된 프레임보다 같은 지진하중하에서 더 작은 손상값으로 저항하였으며, 2) 손상제어 설계된 프레임의 하층부 부재들은 더 큰 항복강도를 나타내는 현상을 보였으며 상층부 부재들은 반대 현상을 보였다.

  • PDF

3D영상 객체인식을 통한 얼굴검출 파라미터 측정기술에 대한 연구 (Object Recognition Face Detection With 3D Imaging Parameters A Research on Measurement Technology)

  • 최병관;문남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53-6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첨단 IT융,복합기술의 발달로 특수 기술로만 여겨졌던 영상객체인식 기술분야가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개인 휴대용 단말기기로 발전하고 있다. 3D기반의 얼굴인식 검출기술은 객체인식 기술을 통하여 지능형 영상검출 인식기술기술로 진화되고 있음에 따라 영상인식을 통한 얼굴검출기술과 더불어 개발속도가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휴먼인식기술을 기반으로 한 얼굴객체인식 영상검출을 통한 얼굴인식처리 기술의 인지 적용기술을 IP카메라에 적용하여 인가자의 입,출입등의 식별능력을 적용한 휴먼인식을 적용한 얼굴측정 기술에 대한 연구방안을 제안한다. 연구방안은 1)얼굴모델 기반의 얼굴 추적기술을 개발 적용하였고 2)개발된 알고리즘을 통하여 PC기반의 휴먼인식 측정 연구를 통한 기본적인 파라미터 값을 CPU부하에도 얼굴 추적이 가능하며 3)양안의 거리 및 응시각도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효과를 입증하였다.

옥상공간의 태양광 자원 해석을 통한 PV 시스템 및 녹화식재에 대한 적지조건분석 (The Analysis of Optimal Site Condition for Photovoltaic System and Green Roof Planting through Sunlight Component Simulation of Rooftop Area)

  • 김태한;박대근;권지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7-40
    • /
    • 2013
  • These day morden cities have serious climatic problems due to enviornmental load caused by excessiv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As technological improvement to answer to various ecological disasters and climate changes are also called on the field of construction, inter-disciplinary studies linked to the estabilishment of sustainable energy generation systems and enviornmental control is needed in a consilient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analyse optimal site conditions for photovoltaic system and green roof planting through solar radiation simulation in a integrated perspective. In so doing, it seeks to proffer basic study for developing a sound use of roof area that is sustainable in environmental and resources aspects. A computer simulation showed that, in the case of total seasonal solar radiation, summer season resulted 312.5kWh in 35% of total annual solar radiation. This season indicated the lowest radiation rate of the year for direct sunlight in 45.8% of total seasonal solar radiation. Due to such solar radiation simulation, at the largest optimal planting area, Glechoma hederacea var. longituba secured $719.16m^2$ of gross roof area.

횡성호 유역의 비강우시 및 강우시 오염물질 유출특성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Discharge from Hoengseong Watershed during the Dry and Rainy Seasons)

  • 노성덕;김장현;이대근;김선주;손병용;전양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95-705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ke a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ment of countermeasures against water pollution of Hoengseong watershed, accordingl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discharge and estimated the unit loads from Hoengseong watershed. Seven sites (S1~S7) were selected for sampling and samples were taken 4 times during the dry and rainy seasons, respectively. During rainfall events, measured site mean concentration (SMC) ranges of $BOD_5$, $COD_{Mn}$, TOC, SS, Turbidity, T-N and T-P were 0.8~1.3 mg/L, 2.3~6.3 mg/L, 1.284~2.110 mg/L, 3.4~69.3 mg/L, 2.36~52.68 NTU, 1.243~1.669 mg/L and 0.025~0.070 mg/L, respectively. And the calculated annual unit loads of $BOD_{5}$, $COD_{Mn}$, SS, T-N and T-P in Hoengseong watershed were 1.327 kg/ha/yr, 7.349 kg/ha/yr, 87.075 kg/ha/yr, 1.848 kg/ha/yr and 0.103 kg/ha/yr, respectively. It was difficult to directly compare the unit loads proposed in this study with the estimated existing those. Because the unit loads in this paper were estimated not by land use types, but by complex land use of non-urban area. From the survey results, they showed that the unit loads in Hoengseong watershed were similar to those exisiting in the forest area, and showed lower than those existing in the paddy/dry field.

다단계 온도프리스트레싱을 이용한 강거더교의 보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engthening of Steel Girder Bridge using Multi-Stepwise Thermal Prestressing Method)

  • 김상효;김준환;김준환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717-726
    • /
    • 2006
  • 교량의 보강공법으로 주로 사용되는 외부강봉을 이용한 후인장공법은 적용범위가 넓고 교량의 극한 및 항복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켜 휨 보강 효과가 뛰어나지만, 모재접합부의 응력집중, 비효율적인 하중분배, 고정앵커부설치, 유지관리의 어려움 등의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외부강봉을 이용한 후인장공법이 가지는 단점을 보완하고 강판접합공법의 장점을 접목한 새로운 개념의 보강공법으로 커버플레이트의 열변형 특성을 이용한 다단계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커버플레이트의 열변형 특성을 이용한 다단계 프리스트레싱 보강공법은 커버플레이트를 다단계로 가열하여 가열단계별로 거더의 하부플랜지에 고장력볼트로 접합한 뒤, 열원을 제거하여 발생하는 다단계 수축력을 보강에 필요한 프리스트레싱력으로 이용하는 보강공법이다. 커버플레이트의 다단계 프리스트레싱에 의한 보강효과는 커버플레이트의 온도분포와 가열구간에 따라 결정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커버플레이트의 열전달 모형실험 및 강거더 모형 실험을 통하여 커버플레이트의 열전달해석과 프리스트레스 도입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단경간 강거더 교량을 대상으로 제안된 보강공법의 효율성 및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철탑 사각골조의 풍력 계수 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stimate of Wind Force Coefficient of Transmission Tower Rectangular Frame)

  • 신구용;임재섭;황규석;길용식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73-81
    • /
    • 2011
  • 골조로 구성된 철탑의 풍력계수는 구성부재의 단면형상, 충실율 등에 의해 변하며 풍향각에 의해서도 여러 가지 특성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철탑골조에 대하여 충실율과 풍향각을 변화시키면서 풍동실험을 수행하여 철탑골조에 작용하는 풍력특성을 평가한다. 실험은 먼저 철탑을 구성하고 있는 부재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본형상 부재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철탑 사각골조는 2D와 3D 형태로 기본형에 철탑부재를 추가하는 방법과, 부재크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충실율을 변화시킨 모형을 제작하였으며, 2D 형상은 풍향각을 0도에서 90도까지, 3D 형상은 풍향각을 0도에서 45도까지 변화시키면서 풍동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인 철탑 사각골조의 풍력계수 특성은 향후 철탑 풍하중 설계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