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e material

검색결과 1,926건 처리시간 0.037초

$LiCl-Li_2O_2$ 용융염계에서 오스테나이트계 합금의 부식거동 (Corrosion Behavior of Austenitic Alloys in the Molten Salts of $LiCl-Li_2O_2$)

  • 오승철;윤기석;임종호;조수행;박성원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논문집
    • /
    • pp.373-378
    • /
    • 2003
  • $LiCl-Li_2O_2$용융염계에서 용융염 취급장치의 구조재료를 위한 평가의 일환으로 오스테나이트 합금인 Fe-base 및 Ni-base 합금의 부식거동을 분위기온도; 650~$725^{\circ}C$, 부식시간: 24~168h, $Li_2O$농도; 3wt%, 혼합가스농도: Ar-10%$O_2$에서 조사하였다. $LiCl-Li_2O_2$ 용융염계에서 Ni-base 합금이 Fe-base 합금보다 높은 내부식성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Fe-base 합금에서 Fe의 함량이 낮고 Ni의 함량이 높은 경우 부식저항성이 증가하였다. 아울러 Fe-base 합금의 부식생성물은 $Cr_2O_3$, $FeCr_2O_4$ Ni-base 합금에서는 $Cr_2O_3$, $NiFe_2O_4$로 나타났다.

  • PDF

Bulk-base 복합 레진의 중합 깊이에 따른 미세경도 평가 (Evaluation of Microhardness of Bulk-base Composite Resins According to the Depth of Cure)

  • 노유미;신비솔;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5-340
    • /
    • 2017
  • 복합 레진은 소아치과 영역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재료가 되었다. 하지만 복합 레진은 중합 수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층 충전을 해야 하기 때문에 긴 시술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임상가들은 bulk-filling 재료에 관심을 돌리기 시작하였고, 최근 bulk-base 복합 레진이 새로 출시되었다. 본 연구는 bulk-base 복합 레진의 깊이별 미세경도 측정값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군으로 1종의 저점도 bulk-base 복합 레진과 1종의 고점도 bulk-base 복합 레진을 사용하였고 대조군으로 1종의 전통적 복합 레진을 사용하였다. 각 깊이별 재료들의 미세경도에 대한 결과로 대조군의 경우는 중합 깊이가 깊어질수록 미세경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이에 반해 실험군 인 HFB는 0 mm와 4 mm에서, 그리고 MFB는 0 mm와 2 mm, 0 mm와 3 mm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높이에 따른 유의한 감소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각각의 깊이에서 시편들의 미세경도를 비교하였을 때 표면과 2 mm에서는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큰 미세경도를 보였다(p < 0.05). 3 mm에서는 저점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미세경도가 크게 나왔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하지만 4 mm에서는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미세경도 값을 보였다(p < 0.05). 이번 실험을 통하여 bulk-base 복합 레진이 4 mm에서 기존의 복합 레진보다 더 높은 미세경도를 보였고 표면과 2 mm에서는 더 낮은 미세경도를 보이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러므로 bulk-base 레진의 기계적 성질의 향상을 통해 표면의 낮은 미세경도 특성이 극복된다면 소아 환자의 수복 치료 시 적용이 고려되어 질 만 할 것이다.

Analysis and design of demountable embedded steel column base connections

  • Li, Dongxu;Uy, Brian;Patel, Vipul;Aslani, Farhad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3권3호
    • /
    • pp.303-315
    • /
    • 2017
  • This paper describes the finite element model for predicting the fundamental performance of embedded steel column base connections under monotonic and cyclic loading. Geometric and material nonlinearities were included in the proposed finite element model. Bauschinger and pinching effects were considered in the simulation of embedded column base connections under cyclic loading. The degradation of steel yield strength and accumulation of plastic damage can be well simulated. The accuracy of the finite element model is examined by comparing the predicted results with independent experimental dataset. It is demonstrated that the finite element model accurately predicts the behaviour and failure models of the embedded steel column base connections. The finite element model is extended to carry out evaluations and parametric studies. The investigated parameters include column embedded length, concrete strength, axial load and base plate thickness. Moreover, analytical models for predicting the initial stiffness and bending moment strength of the embedded column base connection were developed. The comparison between results from analytical models and those from experiments and finite element analysis proved the developed analytical model was accurate and conservative for design purposes.

레버형 CO 마이크로 가스센서의 열적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rmal Performance for Lever Type CO Micro Gas Sensor)

  • 주영철;임준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325-330
    • /
    • 2005
  • 대기중의 일산화탄소 가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마이크로 가스센서를 MEMS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SnO_2$ 가스 감응물질을 작동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히터를 설치하였다. 마이크로 히터에서 발생한 열이 효율적으로 감응물질에만 전달되고 실리콘 베이스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히터와 전극을 레버형으로 만들어 다리처럼 공중에 뜨게 하였으며, 이 위에 감응물질을 올려놓았다. 마이크로 가스센서의 열전달 현상을 상용 열유동 해석 전용 프로그램인 FLUENT를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해석 결과 실리콘웨이퍼 베이스의 온도가 거의 상온에 가까워 마이크로 히터에서 발생한 열이 가스 감응물질을 효과적으로 가열하여서 가스 감응물질의 열적 고립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응물질을 작동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히터에 가하여야 하는 전류의 양을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409L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CO2레이저 용접부의 미세조직과 경도 (Microstructures and Hardness of CO2 Laser Welds in 409L Ferritic Stainless Steel)

  • 공종판;박태준;나혜성;엄상호;김정길;우인수;이종섭;강정윤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97-304
    • /
    • 2010
  • The microstructure and hardness of $CO_2$ laser welds were investigated in the Ti-stabilized ferritic stainless steel 409L. The observed specimen was welded in a fully penetrated condition in which the power was 5 kW and the welding speed 5 m/min. The grain structure near the bond line of the laser welds was produced by epitaxial growth. The grain size was the largest in the fusion zone, and HAZ showed nearly the same grain size as that of the base metal. The HAZ microstructure consisted of subgrains and precipitates that were less than 100 nm in size and that were located along the subgrain boundaries. On the other hand, the hardness was the highest in the fusion zone due to the large amount of small precipitates present. These were composed of TiN, Ti(C,N) and $TiO_2$+Ti(C,N). The hardness decreased continuously from the fusion zone of the base metal. The HAZ hardness was slightly greater than that of the base metal due to the existence of subgrains and precipitates in the subgrain bound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