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rier free design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4초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디자인 연구 (Research on Mobile Wheelchair Lift Design)

  • 이명기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275-284
    • /
    • 2002
  • 장애인의 사회ㆍ경제적 지위향상과 인권을 화보하기 위해서는 통합된 사회가 만들어져야 한다. 통합된 사회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이동에 있어서나 건축물, 그리고 설비를 이용함에 있어서 접근(Access)이 가능해야 한다. 장애인이 사회생활에서 불이익을 받는 것은 손상(Impairment)이나 장애(Disability)자체가 아니라 장애인을 둘러싼 환경(Environment)의 물리적, 사회적 장벽 때문일 것이다. 이러한 장벽(Barrier)을 제거하여 장애인이 지역사회 안에서 자립하여, 자유롭게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회전체의 시스템을 장애인이 이용하기 편리한 구조로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장애인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는 모든 사람이 이용하기 편리한 사회를 구축하는 일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장애인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지 않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시설물과 설비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으며, 원하는 곳으로 자유롭게 이동한다는 것은 아직까지 거의 불가능하다. 현재 설치된 지체장애인 관련 편의시설의 설치량은 많으나 타 시설 및 건축물과의 연계성이 없이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이용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형식적으로 설치되어 실제로 장애인 스스로의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많다. 본 연구는 휠체어사용자들의 공공시설 이용에 있어 접근성을 용이하게 확보하고 시설적 제약 없이 스스로 조작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이동식 휠체어 리프트 디자인을 시도하고자하였다. 연구의 핵심은 기존 수입위주의 단순기능 제품을 새로운 시스템으로 개발하여 기능적 안전성, 품질 고급화와 더불어 장애인 보조기기분야에서 새로운 이미지의 디자인 적용을 통하여 수입대체 효과와 더불어 해외시장 진출로 이동식휠체어 리프트 시장의 선점, 우위를 목표로 연구 개발하였다. 걸쳐 지속적으로 가집이 편찬되었던 구체적 동인이었을 것임을 진단해 보았다. 특정시기 가곡향유의 실질은 곧 가곡의 곡 해석방식에 직결될 것이기 때문이다.를 선택하는가 하는 디자이너 측면의 요인이 감성 품질과 밀접함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멘트들의 재배열이 주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고자장 영역에서는 correlation time 중 $\tau$가 주된 역할을 담당하는데는 $\tau$는 나노 입자의 크기와 연관되어 있으며 고자장에서 입자 크기에 따른 T1 이완율(R1)과 T2 이완율(R2)의 차이는 이러한 입자크기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나노입자에 포함된 철 원자수를 변화시키는 경우 철 원자수가 증가 할 수록 R1과 R2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온도변화에 따른 T1, T2 자기이완시간의 변화는 정상체온 근처의 제한적인 온도범위내에서 저자장 영역에서의 아주 작은 변화를 제외하고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1에 비해 T2에서 이러한 변화가 상대적으로 더 작게 나타났다. 결론 : 임상적 다기능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미세 초상자성 산화철 입자의 자기이완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초상자성 나노입자의 물리적 특성에 기초하여 제시하였고 이러한 이론적 모델에 근거한 미세 초상자성 산화철 입자의 자기장의 세기에 따른 자기 이완시간의 변화를 컴퓨터 모의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다.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혈압 저하를 목적으로 하는 나트륨 제한식의 실시는 다양한 체내의 생화학적 변화를 고려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앞으로 이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연구가 요구된다.CSU-23 배양배지에서 배양하는 것이 좋다는 결과를 얻었다. and those a having sufficient sleep were

  • PDF

지역사회 노인을 위한 주택수리 및 개조 최저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nimum Standards of Housing Repair for Older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 홍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2호
    • /
    • pp.11-2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clarify that the house is no long the safe place through the cases of the senior safety accidents and to argue the need for housing repair and 2) to present the minimum standards for housing repair by comparing the cases here as well as the abroad and to back up the standards with the current senior housing environment 300 people at least 60 years old living in Seoul$\cdot$Metropolitan area were interview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As the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1. There was high accident rates of the senior residents due to physical deficits within the house, causing excessive medical cost and decreased housing satisfaction. This problem can be sufficiently prevented by housing repair which can not only solve the safety problem but also support self sufficient living for the senior residents. 2. Proper housing repair required the architectural know how as well as the expertise knowledge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nior peopl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ecure the professional (i.e., occupational therapist) who can analyze the needs of the senior residents and evaluate and/or predict the obstacles during repair. Furthermor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he standardized manual are also needed. 3. The minimum standard for housing repair could be approached in view of 'barrier-free' concept. First, the bumps should be removed, slippery prevented, and safety grab-bar installed for safety. Second, the entrance should be widened and the bathroom and kitchen restructured to support for the senior residents' self sufficiency. To make housing repair policy more efficient, the legal basis is required. I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existing senior citizens 'Welfare Act' or the 'Senior Residents Medical Insurance' which will be effective starting in 2007.

효율적인 정보자산 보호를 위한 BCP 활용 재해복구시스템 설계 (BCP utilizing Disaster Recovery-System for the Protection of the Information System Design)

  • 김현주;이수종;신인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93-100
    • /
    • 2013
  • 2011년 일본 동북부지방의 대규모 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재난은 세계3대 경제대국인 일본에게도 무방비 상태인 것은 분명한 사실인 것 같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재난복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24시간 365일 무장애 시스템 운영을 위한 기술적 지원에 노력을 기울이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정보자산 보호를 위해 재난이 발생되면 체계적인 대처 능력을 비즈니스 플랜으로 조직화하는 재난 대비 업무수행 계획을 작성한다. 또, 작성 된 업무수행 계획은 구성원이 용이하게 숙지 가능토록 체계화하여 비상사태 발생 시 혼동 없이 움직이게 하여 단시간에 일목요연하게 조직의 정보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려 한다.

시각장애인 점자블록의 휘도대비 기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Luminance Contrast Criteria for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 신동홍;박광재;김상운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7-15
    • /
    • 2016
  • Purpose: There are the number of color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installed in Korea, because of indefinite regulation in blind and vision-impaired persons'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In case of yellow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it shows a deviation severe color. In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color and brightness reference for helping blind and vision-impaired persons' walking through analyzing the color references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and the color luminance between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and sidewalk currently used. Method: Reasonable luminance contrast criteria is suggested by examining ways of improving the recognition and recognition of objects according to color contrast visually impai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nalyzing standards of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and the Europe, Japan and Australia of color and luminance contrast criteria. And by examining the color of the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reported in Korea currently used to derive the problem presented by the luminance contrast in the reference and comparison. Finally, the visually impaired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is set for color selection criteria for the recognition rate improves.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to be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of the contrast of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environment than the color of the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itself to secure always a certain level or more of brightness contrast values in the set of the color of the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so important. Implication: In order to set the blind tactile walking surface indicators color recognition based on the verification of the real pedestrian based on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it is required. It is to be understood as an element of the barrier free configuration for securing the walking pedestrian safety.

도시개발사업에서의 외부공간계획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Exterior Space in Urban Development Projects)

  • 이임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37-44
    • /
    • 2023
  • As a basic study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external space in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selects evaluation indicators for external space planning and then analyzes systematic external space planning through expert surveys. The scop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riteria of evaluation items for external space derived from existing studies and to suggest the importance and priority of evaluation items. As a research method, we reviewed the legal and research literature on landscape planning and external space-related guidelines, and conducted a primary review of external space planning evaluation items analyzed by questionnaire. The reviewed items were again reviewed and selected through expert group discussions (FGI). The selected evaluation items were surveyed by expert groups and analyzed in depth using the hierarchical analysis method (AHP). Looking 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alculated sub-items, among the 17 sub-items, 'planning open space' (.096) is the largest, followed by 'pedestrianization' (.082), 'linking with adjacent buildings, streets, parks, and green areas' (.077), 'securing public space through various planning techniques such as linking with pedestrian paths' (.066), 'Plan the placement, form, and scale of buildings in consideration of the identity of the destination' (.065), 'Plan buildings, streets, parks, and green spaces in an integrated and holistic manner' (.065), 'Harmoniz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landscape)' (.063), 'Harmonize with surrounding buildings and apply landscape planning in urban planning' (.063), 'Entrances and lower floors of buildings are planned as parks for users and pedestrians' (.060), 'Preserve and expand green areas and establish maintenance plans for urban greening' (.054), 'Form the basis for a comfortable life for urban residents by providing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s' (.047), 'Activate community activities and plan pedestrian environments and streetscapes considering human scale' (.047), 'Establish and propose basic directions for urban greening' (.046), 'Plan buildings, streets, parks, and green areas considering the hierarchy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structure' (.045), 'Plan for integrated land use' (.045), 'Create green axes in connection without cutting them due to development activities' (.044), and 'Apply barrier free design' (.034).

고령화에 대응하는 복지 과학기술 (Welfare Science and Technology Responsive to Ageing)

  • 심상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2권2호
    • /
    • pp.145-189
    • /
    • 2002
  • 이 글은 인구고령화에 대응하는 복지 과학기술의 잠재적 기여와 역할을 고찰한 시론이다. 이 글에서 복지 과학기술은 복지 중진을 위해 적용되거나 체화된 지식의 체계를 가리키되 신체기능의 저하나 손상에 대한 예방, 보조, 지원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하는 기술을 의미하고, 단순히 손상되거나 저하된 신체기능의 보상과 대체만이 아니라 사회적 기술적 환경과 지원 시스템의 확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복지 과학기술은 종래 장애인이나 노인 등 특정 집단의 사람들을 위한 제품이나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연령이나 장애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보편적 디자인제품이나 서비스를 강조하는 방향으로 중요한 변화가 일고 있다. 이러한 복지과학기술의 개념 변화는 복지 과학기술이 일차적으로 노인복지를 증진하는 잠재력을 주목할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삶의 질을 전반적으로 높이는 가능성을 직시하고 나아가서 사회경제적 활력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가능성을 포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인구고령화에 대응하는 복지 과학기술 또는 제론테크놀로지(GT)는 '개인적 지체'만이 아니라 '구조적 지체'에도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중요한 주장 가운데 하나이다. 이것은 노인들을 단지 사회적 보호나 개호의 대상자 집단으로 객체화하는 것이 아니라 나이가 들어서도 독립적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주체적 존재이며 정상적 시민으로 바라보는 관점의 전환을 함축한다.

  • PDF

고령자를 위한 거주지 외부환경 평가 - 대전시 거주 준고령자 이상을 대상으로 - (An Evaluation of Outdoor Living Environments for Senior Citizens - Focused on the Prospective Seniors and Senior Citizens in Daejeon -)

  • 이시영;이희정;임병호;심준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9-48
    • /
    • 2011
  • 한국은 빠르게 고령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고령자들의 현 주거지의 외부환경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고령자 친화형 외부공간에 주요한 요소들을 파악하여 이들의 평가를 통해 고령자의 건강한 생활을 위한 환경요소를 파악하여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서 먼저 기존 선례와 관련연구의 조사를 통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실증연구로서 대전에 거주하고 있는 준고령자 이상 주민의 외부환경 이용실태와 만족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전반적으로 현 거주지의 외부환경이 큰 문제가 없이 중간 수준의 평가를 받고 있었지만, 평가요소들중 비교적 저평가된 요소들은 고령자 친화형 공간요소로 개선이 필요되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산책하기 위해서 '산책길의 이용'이 가장 높았고, 한번에 1~2시간동안 외부에 머무르며, 주차된 차량이 많음이 가장 불편한 사항이었다. 둘째, 외부환경은 '보통'으로 평가되었으며, '사회성'이 기장 낮게 평가되었다. 셋째, '카트/휠체어 이용편리성', '조명에 의한 야간 식별성', '야간의 안내판 식별성'. '나무 화초 쾌적성'의 4 개 항목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불만족하고 있었다. 66세 이상의 응답자들이 '바닥의 미끄러움', '계단난간', '야간의 안내판 식별성', '단지배치의 방향성' 항목에서 더 불만족하고 있었으며, '바닥 미끄러움', '야간의 안내판 식별성'의 두 개 항목에서는 80대 이상의 응답자들이 더 불만족하고 있었다. 넷째, 현 거주지 유형에 따른 평가는 22개 중 20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바, 아파트 거주자의 평가가 더 높게 나왔다. 전반적으로 현거주지 주변환경에 있어 고령자들의 입장에서 크게 문제로 대두된 것은 없다고 평가되었다. 그러나 향후 10년 내에 고령화가 더욱 진행된다고 가정할 때, 기술통계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과 80세 이상의 고령자들에게 특히 불편을 야기하고 있는 낮은 평가항목에 대하여 주거환경 개선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