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valuation of Outdoor Living Environments for Senior Citizens - Focused on the Prospective Seniors and Senior Citizens in Daejeon -

고령자를 위한 거주지 외부환경 평가 - 대전시 거주 준고령자 이상을 대상으로 -

  • Lee, Shi-Yo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Paichai University) ;
  • Lee, Hei-Jung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Paichai University) ;
  • Lim, Byung-Ho (Daejeon Development Institute) ;
  • Shim, Joon-Young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이시영 (배재대학교 조경디자인학과) ;
  • 이희정 (배재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임병호 (대전발전연구원) ;
  • 심준영 (전북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Received : 2011.05.16
  • Accepted : 2011.08.15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Korea is rapidly becoming an aging societ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isting conditions of outdoor living environments to assist a healthy lifestyle for senior citizens and to determin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a senior-friendly outdoor space as well as to suggest improvements in existing conditions focused on the prospective senior population. This study relied on two methods: a descriptive method of researching publications and related scholastic writings and an empirical study that included a survey of present conditions and interviews with the prospective seniors and senior citizens in Daejeon. Conditions of outdoor living environments for seniors were found to be more than adequate in general. But some factors evaluated as low must be carefully tailored for seniors. First, the study showed that seniors evaluated as highest the 'use of a walkway' for a stroll and stayed outside for 1~2 hours at a time. Many vehicles parked in walkways were the most inconvenient factors in going for a walk. Second, the study showed that the evaluation of outdoor space was about average and 'sociality' was evaluated as the lowest. Third, the study showed that men evaluated lower than women 4 items: 'use and convenience of a wheelchair', 'night lighting', 'discrimination of signage at nighttime' and 'trees'. Respondents above the age of 66 are more uncomfortable with items such as 'slippery walking surface', 'stair handrail', 'discrimination of signage at nighttime' and 'direction of apartment complex' while respondents above the age of 80 are more uncomfortable with items of 'slippery walking surface', 'stair handrail' and 'discrimination of signage at nighttime'. Fourth, the evaluation by existing housing patter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20 of 22 evaluated items. This means that residents in apartment complex evaluated as high these items in general. In this study, existing outdoor living environments for the elderly did not display any immediately serious issues in the overall evaluation items. Assuming, however, that the aging population will quickly increase in the next ten years, items which are evaluated as low in descriptive statistics and items which give inconvenience to the elderly above the age of 80 in particular will need to be the first areas to be improved.

한국은 빠르게 고령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고령자들의 현 주거지의 외부환경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고령자 친화형 외부공간에 주요한 요소들을 파악하여 이들의 평가를 통해 고령자의 건강한 생활을 위한 환경요소를 파악하여 개선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서 먼저 기존 선례와 관련연구의 조사를 통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실증연구로서 대전에 거주하고 있는 준고령자 이상 주민의 외부환경 이용실태와 만족도에 대해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전반적으로 현 거주지의 외부환경이 큰 문제가 없이 중간 수준의 평가를 받고 있었지만, 평가요소들중 비교적 저평가된 요소들은 고령자 친화형 공간요소로 개선이 필요되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산책하기 위해서 '산책길의 이용'이 가장 높았고, 한번에 1~2시간동안 외부에 머무르며, 주차된 차량이 많음이 가장 불편한 사항이었다. 둘째, 외부환경은 '보통'으로 평가되었으며, '사회성'이 기장 낮게 평가되었다. 셋째, '카트/휠체어 이용편리성', '조명에 의한 야간 식별성', '야간의 안내판 식별성'. '나무 화초 쾌적성'의 4 개 항목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불만족하고 있었다. 66세 이상의 응답자들이 '바닥의 미끄러움', '계단난간', '야간의 안내판 식별성', '단지배치의 방향성' 항목에서 더 불만족하고 있었으며, '바닥 미끄러움', '야간의 안내판 식별성'의 두 개 항목에서는 80대 이상의 응답자들이 더 불만족하고 있었다. 넷째, 현 거주지 유형에 따른 평가는 22개 중 20개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는 바, 아파트 거주자의 평가가 더 높게 나왔다. 전반적으로 현거주지 주변환경에 있어 고령자들의 입장에서 크게 문제로 대두된 것은 없다고 평가되었다. 그러나 향후 10년 내에 고령화가 더욱 진행된다고 가정할 때, 기술통계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과 80세 이상의 고령자들에게 특히 불편을 야기하고 있는 낮은 평가항목에 대하여 주거환경 개선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순정, 김광현(1998) 일본 노인요양시설의 발전 및 건축적 특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4(10): 55-64.
  2. 김동숙, 김석준, 박선하(2009) 일본 고령자 집합주택 거주자의 생활패턴을 고려한 건축계획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5(3): 41-50.
  3. 김성한, 강건희(2002) 노인전문병원의 주요 부문 공간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8(7): 27-34.
  4. 김현진, 이경락, 안옥희(2000) 노인주택의 평가항목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11(3): 75-86.
  5. 김혜진(2008) 일반커뮤니티공간과 노인복지공간과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동아일보(2011.07)
  7. 류현주, 양세화(2010) 노인주거 연구경향 분석. 한국주거학회지 21(5): 51-61.
  8. 문창호(2003) 노인전문요양시설의 건축계획기준에 대한 기초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2): 19-26.
  9. 박신영, 이영아, 최은희, 남원석(2008) 사회적 약자가 함께 하는 도시환경 조성. 도시정보 320: 103-115.
  10. 박희진, 전창미(2004) 노인의 특성에 따른 환경친화적 노인주거단지 계획요소. 노인복지연구 26(1): 215-236.
  11. 배창진(2001) 노인복지시설의 평가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13: 173-192.
  12. 서유석(2003) 노인주거의 입지와 근린생활권. 대한건축학회지 47(6): 42-49.
  13. 성명옥(1998) 일본 노인서비스 주거의 실태분석. 노인복지연구 1: 253-275.
  14. 소갑수, 이한승(2007) 자립고령자의 일상생활패턴 및 영역형성에 관한 고찰: 일본 동경권내의 이용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13(3): 57-66.
  15. 오진자(1998) 실버타운 외부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유경아(2002) 통합적 연속보호 체계형 노인주거시설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유영민(1999) 노인전문요양시설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5(9): 97-106.
  18. 윤영선, 변혜령(2004) 일본 도심형 노인전문요양시설의 환경디자인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13(5): 143-153.
  19. 윤영선, 변혜령(2005) 한국 노인전문요양시설의 환경디자인 특성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1(8): 69-76.
  20. 이관용(2003) 노인건축. 서울: 세진사.
  21. 이시영(2007), 노인주거시설 외부공간의 이용행태 및 요구도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5(3): 1-12.
  22. 임병호(2008), 고령화시대 새로운 주거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대전발전연구원. 9-37.
  23. 임서환, 정경숙, 최정아(1996) 노인거주자를 위한 주택형 및 설계지침 연구. 주택기술정보 76: 96-101.
  24. 장민지(1994) 노인주거단지의 외부공간 설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순주, 박용환(1999) 유료노인주거시설의 생활영역 형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2(4): 29-36.
  26. 주서령, 조유진(2004) 노인공동주거시설 단위주호의 설계지침 중요도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111-119.
  27. Kweon, B-S, W. C. Sullivan and A. R. Wiley(1998) Green common spaces and the social integration of inner-city older adults. Environment and Behavior 30(6): 832-858. https://doi.org/10.1177/001391659803000605
  28. Marcus, C. C. and M. Barnes(1999) Healing Gardens. John Wiley & Sons.
  29. http://www.ns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