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nyard grass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3초

5-(2,3-dihydro-2,2-dimethylbenzothiophene-7-yl)-2-(1-(alkoxyimino)butyl)-3-hydroxy-2-cyclohexene-1-one 유도체의 구조와 살초활성 관계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s on the herbicidal activities of 5-(2,3-dihydro-2,2-dimethylbenzothiophene-7-yl)-2-(1-(alkoxyimino)butyl)-3-hydroxy-2-cyclohexene-1-one derivatives)

  • 성낙도;송종환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9-71
    • /
    • 2000
  • 5-(2,3-dihydro-2,2-dimethylbenzothiophene-7-yl)-2-(1-(alkoxyimino)butyl)-3-hydroxy-2-cyclohexene-1-one 유도체중 azomethine 질소 원자상 alkoxy (RO)-기들이 변화함에 따른 논과 밭 조건에서 살초활성을 측정하고 기질분자(S)의 구조와 살초 활성과의 관계 (SAR)를 검토하였다. 특히, i-propoxy-치환체, 5는 4kg/ha의 농도에서 발아전에 벼(Oryza sativa)에는 아무런 살초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논피 (Echinochloa crus-galli)에만 살초효과가 보이는 선택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SAR분석 결과, 살초활성은 전자효과 (${\sigma}^*$)가 소수성 (logp)보다 2:1의 비율로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았으며 이 같은 근거에 따라 alkoxy-기는 강한 전자밀게 (${\sigma}^*<0$)이고 소수성이 큰 (logp>0) alkyl기로 대체되어야 살초활성이 개선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조사료원에 따른 한국 재래산양의 채식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s of Korean native goats fed with roughage sources)

  • 강병호;이인덕;이수기;이형석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3호
    • /
    • pp.445-452
    • /
    • 2011
  • The object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food habits of Korean native goats fed with various roughage sources. The experimental trials were conducted at Unbong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in 2008. The experimental roughages include five sources and 25 species in all; grasses and legumes: 5 species (mixed grasses,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white clover), native grasses and weeds: 5 species (mixed native grasses, Miscanthus sinensis Anderss,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Barnyard grass, short awn, forage crops and straw: 5 species (barley + hairy vetch, wheat + hairy vetch, rye silage, barley silage, baled rice straw), browse and fallen leaves: 5 species (Mixed browse, Oriental white oak, Quercus serrta Thunb., Oriental cherry fallen leaves, Japanese chestnut fallen leaves), and imported hay and straw: 5 species(timothy hay, tall fescue straw, annual ryegrass straw, klinegrass hay, alfalfa hay). Ten Korean native goats were selected which had nearly the same body weight (average $24{\pm}2.8$ kg).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digestibility of each roughage source and spe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sampling area, plant species, growth stages and cutting period (p<0.05). Among all the 25 species of roughages, the favorite intake species order by Korean native goat was observed like this: Quercus aliena, Querancas serrta Thunb and Mixed browse, which was a lower intake compared to other domestic herbivores. The Korean native goats ate more roughages which had low fibrous contents, but high dry matter digestibility. The Korean native goats ate more roughages which had low fibrous contents, but high dry matter digestibility.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each roughage source, total intake amount by Korean native goats was showed as browse and fallen leaves (33.1%) among trials roughage sour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od habit of Korean native goats seems to be closer to the browser.

중금속 오염배지에서 식물성장증진 근권미생물에 의한 식용 피 발아율과 유식물 성장 증진 (Improv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in Heavy Metal Contaminated Medium by Inoculation of a multiple-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m-PGPR))

  • 이아름;배범한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5호
    • /
    • pp.9-17
    • /
    • 2011
  • Positive effect of multiple-PGPR (Plan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isolated from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 on the germination of Barnyard grass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was quantitatively estimated in 5 heavy metal (Cd, As, Ni, Cu, and Pb) contaminated liquid medium. The $EC_{50}$ value for respective heavy metal was estimated by TSK (Trimmed Speraman-Karber) model based on germination rate. The results showed overall increase in $EC_{50}$ with PGPR inoculation. The $EC_{50}$ value increased 1.4% from 96.0 mg/L (control) to 97.4 mg/L (PGPR-treated) in As contaminated medium. In Ni contaminated medium, the $EC_{50}$ value increased 31.9% from 148.0 mg/L (control) to 195.2 mg/L (PGPR-treated), while the $EC_{50}$ showed 4.8% increase from 63.4 mg/L (control) to 66.5 mg/L (PGPR-treated) in Cu medium. Overall seedling growth was stronger in the PGPR treated seeds than that in the control, but positive effect on seedling growth was not conspicuous. At effective concentration of 100 mg/L, the average seedling length of the PGPR treatment in As, Cd, Cu, and Ni medium, respectively, was 1.13, 0.14, 0.40, and 0.06 cm longer than that in the control. However, the increase of seedling growth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oculation of the isolated-PGPR exerts positive effects on seed germination by reducing heavy metal toxicity and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application of phytoremediation on heavy metal contaminated soils.

폐광지역 비소오염 토양에 대한 피(Echinochloa crus-galli)를 이용한 보강된 식물상복원공법 (Enhanced Phytoremediation by Echinochloa crus-galli in Arsenic Contaminated Soil in the Vicinity of the Abandoned Mine)

  • 박지연;김주용;이병태;김경웅;이진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43권2호
    • /
    • pp.101-107
    • /
    • 2010
  • 폐광지역 비소오염 토양에 이용될 식물상복원공법으로서 논에서 쉽게 발견되는 피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식물을 이용한 토양 정화 공법이 가지는 장기간의 처리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을 해결하고자 PSM(phosphate-solubilizing microbes)과 EDTA(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를 처리하여 그 상승효과를 관찰하였다. PSM을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식물의 바이오매스가 증가하여 비교 시험구에 비하여 비소재거 효율이 약 16% 정도 증가하였다. EDTA 처리구에서는 토양 내 중금속의 이동성야 증가하여 BF(bioaccumulation factor) 는 증가하였으나, EDTA가 식풀의 성장을 저해해 오히려 제거 효율이 20% 정도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식물성복원공법에 PSM 및 EDTA의 처리는 식물의 비소 흡수를 어느 정도 증대시킬 수는 있으나, 특히 EDTA를 처리할 경우에는 처리 시기 및 처리량의 선택에 있어서 식물의 성장을 저해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제초제 Alachlor의 선택성에 관한 연구;I. 약해와 글루타치온 Conjugation 반응 (Studies on the Selectivity of Herbicide Alachlor;I. Phytotoxicity and Glutathione Conjugation)

  • 박창규;황을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4-49
    • /
    • 1987
  • 본 연구는 제초제인 alachlor이 가지는 선택성이 식물고유의 생화학적 차이에 기인한다는 가정하에, 이의 규명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공시작물인 대두, 배추 및 피는 alachlor 수용액의 처리로 경중의 약해를 입었으며 그 피해는 해당식물의 glutathione 또는 homoglutathione 함량이 많을 수록 적었다. 비효소적 반응조건 하에서 가한 alachlor의 17.7%가 GS-alachlor conjugate로 전환됨을 관찰하였으며, 이어 수행한 공시작물의 유묘시험에서는 처리한 C-14 표지 alachlor이 단시간(24hrs)에 4∼5개의 수용성 대사물로 전환되 었으며, 주요대사물로 대두에서는 homoglutathione-alachlor, 깨, 배추 그리고 피에서는 glutathione-alachlor conjugates를 잠정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3종의 공시식물의 경우, 식물체 내에서 glutathione (및 homoglutathione)과 alachlor와의 phase Ⅱreaction인 conjugation 반응이 해독반응으로 작용, alachlor의 선택성에 공헌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 PDF

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and Weed Occurrence Inhibition by Seed-Mulching in Wet Seeded Rice

  • Yang, Woon-Ho;Kim, Jae-Hyun;Kim, Je-Kyu;Han, Hee-Suk;Lee, Moon-Hee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80-84
    • /
    • 2002
  • In spite of simple and cheap cultivation method, water broadcast-seeded rice demonstrates uneven and unstable seedling establishment per unit land area and requires more herbicide and labor-input for weed control.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phytotron at 18$^{\circ}C$ to evaluate the adaptability of seed-mat mulching cultivation technologies in water seeded rice for the 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and the inhibition of weed occurrence without herbicide application. Five different kinds of mat with different mesh sizes and fabric properties were tested. The emergence of rice was the highest in Lawn-mat treatment, being comparable with the control, in which seeds were sown without mat. The Lawn-mat also exhibited the lowest mat tension. Mat tension may influence the emergence of rice. And once it was soaked in water, it didn't maintain its original shape any more. The emergence rate of rice was the lowest in Safer-mat treatment. In Lawn-mat treatment, which was the most effective for rice emergence in the first study, the differences of emergence and seedling establishment of rice depending on the seeding position (upper, beneath, and between mats) treatments were negligible, while they were higher in dry seeds than in pre-germinated seeds treatment. The emergence as affected by the kinds of mat also showed the same trend when tested using barnyard grass. Depending on the kinds of mat, the inhibition effect of weeds was the greatest in Safer-mat and the poorest in Lawn-mat.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and weed management without chemical could be achieved simultaneously by seed-mat mulching through the combination of effective mat for the emergence of rice and another efficient mat for the inhibition of weed occurrence. This possibility was also tested in the field.

토양중(土壤中)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 Pretilachlor의 분해성(分解性)에 미치는 몇가지 토양특성(土壤特性)의 영향(影響) (Effect of Some Soil Properties on Degradation of Herbicide Pretilachlor in Soils)

  • 문영희;마상용;장익선;양환승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200-204
    • /
    • 1988
  • 토양중(土壤中)에 있어서 제초제(除草劑) pretilachlor의 분해성(分解性)에 미치는 토성(土性),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 온도(溫度), 수분상태(水分狀態)의 영향(影響)에 대하여 연구(硏究)하였다. 토양중(土壤中) pretilachlor의 잔효기간(殘?期間)은 60g a.i./10a 처리수준(處理水準)에서 약(約) 50일(日)였으며, 피에 대하여 GR 50치(値)까지 달하는 기간(期間)은 약(約) $25{\sim}27$일(日)이었다. pretilachlor의 분해속도(分解速度)는 사양토(砂壤土)에서 보다 유기물(有機物)과 점토(粘土)의 함량(含量)이 높았든 사질식양토(砂質植壤土)에서 빨랐다. 토양중(土壤中) pretilachlor의 분해(分解)는 유기물첨가(有機物添加)에 의하여 촉진(促進)되였으며, $20^{\circ}C$에서 보다 $30^{\circ}C$에서, 습윤조건하(濕潤條件下)에서보다 담수조건하(湛水條件下)에서 빨랐다.

  • PDF

버드나무(Salix koreensis) 현탁배양(懸濁培養) 세포(細胞)의 대사산물(代謝産物) (Secondary Products in Cell Suspension Culture of Salix koreensis)

  • 박용구;신동일;이상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2호
    • /
    • pp.198-208
    • /
    • 1989
  • 버드나무의 잎으로부터 유도(誘導)된 callus의 현탁배양(懸濁培養)은 MS 기본배지(基本培地)에 2,4-D 1.0mg/l와 zeatin 0.1mg/l를 첨가(添加)한 액체배지(液體培地)에서 생장(生長)이 가장 좋았다. 액체배지(液體培地)에서 24일간(日間) 세포(細胞)를 배양(培養)한 후(後) 분리(分離)된 배양액(培養液)은 상치, 벼 그리고 피 종자(種子)의 발아(發芽)를 강(强)하게 억제(抑制)하여 배양중(培養中)에 생리활성(生理活性) 물질(物質)이 형성(形成)되는 것으로 추정(推定)되었다. 배양세포(培養細胞)에서는 pyrogallol, sinapic acid, cinnamic acid, tannic+gallic acid 그리고 P-chlorobenzoic acid 등(等)과 같은 여러 종류(種類)의 phenol 화합물(化合物)이 검출(檢出)되어 이들이 강(强)한 발아(發芽) 억제작용(抑制作用)을 하는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 PDF

직파재배답(直播栽培沓)에서의 잡초(雜草) 및 적미(赤米) 발생(發生) 생태(生態) (Ecology and Growth of Weeds and Weedy Rice in Direct-seeded Rice Fields)

  • 최충돈;문병철;김순철;오윤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9-45
    • /
    • 1995
  • 벼 직파재배답(直播栽培畓)에서의 효과적인 잡초방제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잡초발생 생태 및 적미(赤米)발생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92년부터 시험포장과 농가답을 대상으로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직파재배답(直播栽培畓)은 이앙답(移秧畓)에 비하여 피, 적미(赤米), 드렁새, 바랭이, 강아지풀 등의 1년생(年生) 화본과 잡초 발생이 많았다. 2. 파종사기별로 피와 벼의 출아소요기간(出芽所要期間)에 차이가 있었는데, 피의 출아기간(出芽期間)은 4월 5일 파종(播種)에서는 14일, 5월 15일 파종(播種)은 8일, 6월 25일 파종(播種)에는 4일이 소요되었으며, 각 시기별로 벼는 피에 비하여 4~6일 출아(出芽)가 늦었다. 3. 재배양식별(栽培樣式別) 잡초발생량 및 수량감소정도는 직파재배(直播栽培)>기계이앙(機械移秧)>손이앙 순이었으며, 직파재배(直播栽培)는 손이앙에 비해 잡초발생량은 2~3배 많고, 수량감소는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 40~60%,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70~100%로 특히 피의 발생이 많았다. 4. 보리를 앞작물로 하는 미맥2모작(米麥2毛作) 작부체계재배(作付體系栽培)가 벼 단작(單作)의 1모작(毛作) 재배(栽培)에 비하여 피를 비롯한 대부분의 잡초가 발생이 억제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약(約) 30% 정도의 발생경감 효과가 있었고, 수량(收量)도 다소 증수되었다. 5. 적미(赤米)의 발생은 파종시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는데, 2월에서 6월까지의 파종시기에서 0.4~3.6% 정도 발생되었으며,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발생량이 많았다. 6. 경운방법(耕耘方法)에 따라서도 적미(赤米)의 발생양상이 달라졌는데, 무경운(無耕耘)>로타리>경운(耕耘)+로타리 순이었으며, 무경운재배(無耕耘栽培)에서는 경운(耕耘)+로타리 재배(栽培)에 비해 6배 이상 발생량이 증가하였다. 7. 직파재배(直播栽培) 경과 연수에 따른 적미(赤米)발생량은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며, 재배년수(栽培年數)와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 PDF

유산양의 조사료 채식습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A Demonstrative Study on the Intake Habits of Dairy Goats (Saanen) Fed with Roughages)

  • 강병호;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3-72
    • /
    • 2009
  • 본 연구에 이용될 공시시료는 2007년과 2008년에 걸쳐 채집되었으며, 기호성 조사는 2008년 6월 21일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는 화본과와 두과목초(passes and legumes)류는 mixed passes,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및 white clover 의 5종, 야초와 잡초(native grasses 및 weeds)류는 mixed native grasses, Miscanthus sinensis Anderss,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barnyard grass 및 short awn의 5종, 사료작물과 볏짚(forage crops and straw)류는 barley +hairy vetch, wheat + hairy vetch, rye silage, barley silage 및 baled rice straw의 5종, 수염과 낙엽(browse and fallen leaves)류는 mixed browse, oriental white oak browse, Quercus serrta Thunb. oriental cherry fallen leaves 및 Japanese chestnut fallen leaves의 5종, 그리고 수입건초(imported hay and straw)류로 timothy, tall fescue hay, annual ryegrass, klinegrass 및 alfalfa의 5종 등 총 25종을 공시하였다. 공시축은 유산양(Saanen 우, 평균체중 $25{\pm}2.1kg$) 10두를 공시하였고, 시험은 유산양은 충남 금산군 추부면 유산양목장에서 수행하였다. CP, NDF, ADF, hemicellulose, cellulose, lignin 함량및 IVDMD는 채취장소, 초종, 생육단계 및 예취시기에 따라 조사료원별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유산양은 혼합목초(mixed grasses) 와 두과목초인 화이트 클로버(white clover)나알팔파(alfalfa) 등을 즐겨 채식하였으나, 콘포볏짚(baled rice straw)이나 호밀 사일리지 (rye silage) 등은 거의 채식하지 않았다. 유산양이 즐겨 채식한 조사료원은 NDF나 ADF와 같은 섬유소물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에 IVDMD는 높은 조사료를 주로 선택하여 채식하는 습성을 나타내었다(p<0.05). 유산양(Saanen)은 화본과 와 두과목초(34.6%)를 가장 즐겨 채식하였던 것으로 보아 초류채식형 (grazers)에 가까운 것을 재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