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straw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9초

농가부산물 ( 채소잎 ) Silage 조제시험 (Studies on Silage Preparation of Vegetable By-products)

  • 이상범;김원영;유제곤;상병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3-27
    • /
    • 1983
  • 가을 김장철에 일시적으로 생산되는 채소잎으로 품질이 좋은 양질 Silage를 생산하기 위하여 본 시험을 실시 하였으며 시험구를 6개구로 설치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1. 채소잎70%, 볏짚20,% 맥강10% 혼합구가 Silage질이 가장 좋았고 유기산 생성량도 많고 낙산 함량은 없었으며 타구에 비하여 가장 우수하였다. 2. 맥강을 첨가한구는 첨가치 않은 구에 비하여 기호성이 좋았고 조단백질 함량도 높았다. 3. 유기산 조성에의한 Silage품질은 총 산함량에 비하여 낙산 생성이 최하 $0{\sim}120%$ 정도로 나타냈고 반면 양질의 Silage 조제에 필요한 유기산 함량은 $53{\sim}90%$로 양호하였고 PH는 기대 한바 보다 높았다. 4. 외관상으로 볼 때 색깔, 냄새, 촉감 등이 양호한 편이고 기호성도 좋았다. 결론적으로 채소잎은 훌륭한 Silage의 재료이다.

  • PDF

농산 및 임산폐자원의 xylan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 생산(I) - Xylan의 단리 및 정제 - (Manufactures of Functional Materials by Using Xylan from Agricultural & Forest Residues(I) -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Xylan -)

  • 변지혜;임부국;양재경;장준복;이종윤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3호
    • /
    • pp.25-33
    • /
    • 2000
  • 본 연구는 농산 및 임산폐자원을 폭쇄처리한 후 xylan을 단리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과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농산 및 임산폐자원으로는 볏짚, 보릿짚 및 신갈나무를 시료로 하였다. 농산 및 임산폐자원의 화학 조성을 살펴보면, 볏짚 및 보릿짚에서의 추출물 함량과 무기물 함량은 신갈나무보다 약 10~20% 정도 높게 나타났다. 폭쇄전처리는 20kgf/$cm^2$의 압력에서 3, 6분처리 하였다. 폭쇄처리된 시료의 리그닌 함량은 폭쇄처리 전보다 약 3~22% 정도 높게 났다. 열수 및 0.5% 수산화칼륨 용액 추출에 의한 xylan 단리를 시도하였다. 열수 및 0.5% 수산화칼륨 용액 추출에 의해서 단리된 xylan의 형태를 살펴보면, 열수추출로 단리된 xylan은 소당류 형태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차적으로 열수 및 0.5% 수산화칼륨 용액으로 단리된 xylan을 5% 수산화바륨 용액과 에탄올 적하법으로 정제를 시도하였다. 최종적으로 정제된 xylan의 xylose 함량은 약 85% 이상이었지만, 기타의 당류들이 존재하였다.

  • PDF

총체보리 사일리지 급여가 한우 미경산우 및 경산우의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of Whole-Crop Barley Silage on the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Hanwoo Heifers and Cows)

  • 문승주;국길;장기영;백광수;이왕식;김원호;김광현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3권3호
    • /
    • pp.179-182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between November 2007 and October 2008 in the experimental farm of Chunnam National Universit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of whole crop barley silage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Hanwoo heifers and cows. Two diets, rice straw or whole crop barley silage separately from concentrate were fed 11 Hanwoo heifers and 26 Hanwoo cows. In control group (=CON), heifers (n=6) and cows (n=13) were fed 7 kg (/head) rice straw and 4 kg (/head) commercial diet. In whole crop barley silage group (=WBG), heifers (n=5) and cows (n=13) were fed 8 kg (/head) whole crop barley silage and 1 kg (/head) commercial diet. 1. Conception rates for first service in CON or WBG heifers were 66.7% (4/6) and 60.0% (3/5), respectively, and the services per conception cows were $1.5{\pm}0.2$ for CON and $1.4{\pm}0.2$ for WBG group. 2. Days to post-partum insemination were $106.6{\pm}26.3$ days for CON and $85.6{\pm}12.6$ days for WBG group, and days to post-partum conception in CON or WBG were $128.4{\pm}27.1$ and $96.8{\pm}16.8$ days, respectively. 3. Post-partum conception rates for first service in CON or WBG were 76.9% (10/13) and 84.6% (11/13), respectively, and caving interval was $418{\pm}50.7$ days for CON and $392.8{\pm}20.7$ days for WBG group.

돈분액비 시용 논에서 경운방법이 청보리 생육 및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illage Methods after Application of Liquid Pig Manure on Silage Barley Growth and Soil Environment in Paddy Field)

  • 양창휴;이상복;김택겸;유진희;류철현;이정준;김재덕;정광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285-292
    • /
    • 2008
  • 벼 수확 후 돈분액비 시용 논에서 경운방법에 따른 청보리 재배시 생육 및 토양영향을 평가하고자 2004년 10월부터 2006년 5월까지 2년에 걸쳐 지산통에서 액비 무시용과 화학비료 표준시비량에 대한 N100%, 150%, 100+50%, 200%를 시용하고 무경운, 무경운 + 볏짚피복 및 로타리경운 후 휴립광산파 하였다. 토양화학성 변화, 토양 중 무기태질소 함량, 유거수 중 화학성분, 사료가치 및 수량성 등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액비 시용 후 시간별 암모니아 가스 방출량은 액비 시용량이 많을수록 높았으며 볏짚피복 및 로타리 처리로 현저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토양화학성 변화는 액비 시용량이 많을수록 pH, EC, CEC가 높아지고 유기물, 유효인산 및 치환성양 이온 함량이 증가되었으며, 무경운 + 볏짚피복구에서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토양 중 $NH_4-N$, $NO_3-N$ 함량은 액비시용량이 많을수록, 무경운+볏짚 피복구 > 로타리경운구 > 무경운구 순으로 많았으며 수확기에는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표면 유거수 중 무기성분 유실량은 무경운구 > 로타리경운구 > 무경운+볏짚피복구 순으로, 액비시용량이 많을수록 증가되었고 SO4, $NO_3-N$, K 성분이 많이 용탈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청보리 건물수량은 무경운 N100%($1,185kg\;10a^{-1}$) 대비 무경운+볏짚피복구 N100%+50%, N200% 및 로타리경운구 N200%에서 49% 증수되었다. 청보리에 대한 사료가치 중 조단백질 함량은 로타리경운구 N150%가 9.7%, ADF 함량은 로타리경운구 N150%가 29.4%, NDF 함량은 무경운+볏짚피복구 N150%가 5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답리작 청보리 재배시 안전생산을 위한 돈분액비 시용량은 볏짚을 전량 환원 후 액비 기비N100%를 살포하고 로타리경운하여 1.5 m 간격으로 휴립광산파 재배하면 관행(NPK) 수준의 수량을 얻을 수 있으며 지하수 및 하천오염을 경감할 수 있다.

농산부산물(農産副産物)을 이용(利用)한 식용(食用)버섯 재배(栽培) (Mushroom Production Technology with Crop Residues)

  • 차동열;박정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
    • /
    • pp.47-55
    • /
    • 1984
  • 양송이 재배(栽培)에 있에서 볏짚을 주재료(主材料)로 사용(使用)할때의 퇴비재료(堆肥材料)의 배합(配合), 야외퇴적(野外堆積) 및 후발효(後醱酵)에 관(關)한 시험(試驗)과 볏짚을 이용(利用)한 느타리버섯 재배(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를 수행(遂行)한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변 다음과 같다. 가) 합성퇴비배지(合成堆肥培地)의 탄소원(炭素源)으로서 볏짚은 보리짚과 밀짚보다 발효(醱酵)가 신속(迅速)하고 퇴비(堆肥)의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이 높으며, 배지(培地)의 질(質)이 양호(良好)하여 양송이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이 현저(顯著)히 높았다. 나) 보리짚퇴비(堆肥)는 볏짚퇴비(堆肥)보다 생산성(生産性)이 낮으나 보리짚과 볏짚을 50:50으로 혼합(混合)하면 볏짚과 대등(對等)한 수량(收量)을 얻을 수 있었다. 다) 퇴비배지(堆肥培地)의 전유기태질소(全有機態窒素)와 자실체수량간(子實體收量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으나 암모니아태질소(態窒素)와는 균사생장(菌絲生長) 및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에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라) 볏짚을 주재료(主材料)로 사용(使用)할때 무기태질소원(無機態窒素源)으로서 요소(尿素)가 가장 좋았고 유안(硫安)과 석회질소(石灰窒素)는 부적당(不適當)하였다. 요소(尿素)는 3회(回) 분시(分施)할때 손실(損失)이 감소(減少)되었고, 퇴비(堆肥)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이 증가(增加)하였다. 마) 유기태영양원중(有機態營養源中) 들깨묵, 참깨묵, 밀기울, 계분등(鷄糞等)의 첨가(添加)는 퇴비(堆肥)의 발효(醱酵)를 양호(良好)하게 하고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을 증가(增加)시켰다. 바) 양송이 볏짚퇴비(堆肥)를 제조(製造)할때 터널기계화(機械化)하므로 수량(收量)이 13 % 증수(增收)되었고,생산비(生産費)가 34 % 절감(節減)되었다. 사) 볏짚과 밀짚을 이용(利用)하여 느타리버섯 재배(栽培)가 가능(可能)하고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을 뱃짚구(區)에서 높았다. 아) 느타리버섯 볏짚배지(培地)를 $60^{\circ}C$로 6시간(時間) 열처리(熱處理)하므로서 균사생장(菌絲生長)이 양호(良好)하였고 자실체수량(子實體收量)이 높았다.

  • PDF

조사료원에 따른 한국 재래산양의 채식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s of Korean native goats fed with roughage sources)

  • 강병호;이인덕;이수기;이형석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3호
    • /
    • pp.445-452
    • /
    • 2011
  • The object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food habits of Korean native goats fed with various roughage sources. The experimental trials were conducted at Unbong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in 2008. The experimental roughages include five sources and 25 species in all; grasses and legumes: 5 species (mixed grasses,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white clover), native grasses and weeds: 5 species (mixed native grasses, Miscanthus sinensis Anderss,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Barnyard grass, short awn, forage crops and straw: 5 species (barley + hairy vetch, wheat + hairy vetch, rye silage, barley silage, baled rice straw), browse and fallen leaves: 5 species (Mixed browse, Oriental white oak, Quercus serrta Thunb., Oriental cherry fallen leaves, Japanese chestnut fallen leaves), and imported hay and straw: 5 species(timothy hay, tall fescue straw, annual ryegrass straw, klinegrass hay, alfalfa hay). Ten Korean native goats were selected which had nearly the same body weight (average $24{\pm}2.8$ kg).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digestibility of each roughage source and spe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sampling area, plant species, growth stages and cutting period (p<0.05). Among all the 25 species of roughages, the favorite intake species order by Korean native goat was observed like this: Quercus aliena, Querancas serrta Thunb and Mixed browse, which was a lower intake compared to other domestic herbivores. The Korean native goats ate more roughages which had low fibrous contents, but high dry matter digestibility. The Korean native goats ate more roughages which had low fibrous contents, but high dry matter digestibility.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each roughage source, total intake amount by Korean native goats was showed as browse and fallen leaves (33.1%) among trials roughage sour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od habit of Korean native goats seems to be closer to the browser.

유산양의 조사료 채식습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A Demonstrative Study on the Intake Habits of Dairy Goats (Saanen) Fed with Roughages)

  • 강병호;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3-72
    • /
    • 2009
  • 본 연구에 이용될 공시시료는 2007년과 2008년에 걸쳐 채집되었으며, 기호성 조사는 2008년 6월 21일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는 화본과와 두과목초(passes and legumes)류는 mixed passes,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및 white clover 의 5종, 야초와 잡초(native grasses 및 weeds)류는 mixed native grasses, Miscanthus sinensis Anderss,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barnyard grass 및 short awn의 5종, 사료작물과 볏짚(forage crops and straw)류는 barley +hairy vetch, wheat + hairy vetch, rye silage, barley silage 및 baled rice straw의 5종, 수염과 낙엽(browse and fallen leaves)류는 mixed browse, oriental white oak browse, Quercus serrta Thunb. oriental cherry fallen leaves 및 Japanese chestnut fallen leaves의 5종, 그리고 수입건초(imported hay and straw)류로 timothy, tall fescue hay, annual ryegrass, klinegrass 및 alfalfa의 5종 등 총 25종을 공시하였다. 공시축은 유산양(Saanen 우, 평균체중 $25{\pm}2.1kg$) 10두를 공시하였고, 시험은 유산양은 충남 금산군 추부면 유산양목장에서 수행하였다. CP, NDF, ADF, hemicellulose, cellulose, lignin 함량및 IVDMD는 채취장소, 초종, 생육단계 및 예취시기에 따라 조사료원별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유산양은 혼합목초(mixed grasses) 와 두과목초인 화이트 클로버(white clover)나알팔파(alfalfa) 등을 즐겨 채식하였으나, 콘포볏짚(baled rice straw)이나 호밀 사일리지 (rye silage) 등은 거의 채식하지 않았다. 유산양이 즐겨 채식한 조사료원은 NDF나 ADF와 같은 섬유소물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에 IVDMD는 높은 조사료를 주로 선택하여 채식하는 습성을 나타내었다(p<0.05). 유산양(Saanen)은 화본과 와 두과목초(34.6%)를 가장 즐겨 채식하였던 것으로 보아 초류채식형 (grazers)에 가까운 것을 재확인하였다.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RICE STRAW BY SHEEP IV. EFFECT OF SOYBEAN MEAL AND BARLEY SUPPLEMENTATION ON EATING AND RUMINATION BEHAVIOR

  • Warly, L.;Fariani, A.;Mawuenyegah, O.P.;Matsui, T.;Fujihara, T.;Harumoto,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7권2호
    • /
    • pp.273-277
    • /
    • 1994
  • A $3{\times}3$ latin square desig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eating and rumination behavior in sheep fed rice straw (RS) supplemented with soybean meal (SBM) and barley at three different levels of crude protein: low (40 g CP/d, LCP), medium (67 g/d, MCP) and high (94 g/d, HCP). In addition, all the supplemen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the same amount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275 g). Daily time spent eating and eating rate of RS were not affected by any supplementation. However, time spent ruminating in sheep fed HCP diet was markedly shorter (p<0.05) than in those fed LCP and MCP diets. Rumination index (ruminating time/100 g DM intake) was also significantly reduced (p<0.05) by increasing level of protein supplementation.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the daily number of rumination periods tended to be lower, while daily number of boli regurgitated was considerably higher in sheep fed HCP diet than in those fed LCP and MCP diets. Increasing level of protein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the number of chews per bolus, bolus time and rate of chewing during rumination. It is suggested that increasing level of protein supplementation was associated with more effective microbial reduction of rumen digesta particle size and consequently reduced the time spent ruminating.

요소-멜라민수지로 접착된 파티클보드에 농작물 짚 첨가의 효과 (Effect of Agricultural Straw Addition in Particleboard Bonded with Melamine-urea-formaldehyde Resin)

  • 이종규;김종인;오용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76-480
    • /
    • 2005
  • 벼와 보리 등의 농작물 짚은 파티클보드의 원료로서 부분적으로 대체 첨가 사용할 수 있었다. 파티클보드 접착용 요소-멜라민수지 접착제를 실험실에서 수지 접착제 고형분량에 대해 5% 멜라민을 첨가하여 합성하였다. 두개의 농작물 짚을 전건 목재파티클 무게에 대해 10, 20, 30, 40% 대체하여 혼합하고 합성한 요소-멜라민수지 접착제로 파티클보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파티클보드는 물리적, 기계적 성능과 치수안정화에 대해 성능을 비교하였다. 성능평가 결과는 파티클보드에 볏짚과 보릿짚의 대체 첨가율이 증가됨에 따라 제조한 파티클보드의 성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줬다. 전체적으로 농작물 짚은 파티클보드 제조의 원료로서 15%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