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bran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5초

논에서 솔잎과 쌀겨의 혼합처리가 잡초방제 및 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ice bran and its mixture with pine leaves on efficacy of weed control and growth and yield of rice in paddy fields)

  • 이상일;박기웅;원옥재;박수혁;엄민용;황기선;김영태;변종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2호
    • /
    • pp.111-116
    • /
    • 2015
  • Combined applications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ere tested to examine the inhibitory effects to paddy weeds and increased yield of rice for developing techniques of environment-friendly weed management in paddy rice fields. Weed control efficacy at 60 days after treatment was improved to 88.8% b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hile weed control efficacy by single application of rice bran showed 67.5%. The other weed control efficacy combined with chestnut leaves and barley straws were 76.3% and 69.9% respectivel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as more effective to broadleaf weeds such as Monochoria vaginalis. Weed control efficacy by combined application with pine leaves was 100% until 70 days after rice transplanting and maintained weed control effect up to 90 days after transplanting. Rice yield by combined application of rice bran with pine leaves was 526 kg/10 a, which was higher yield than by combined application with barley straws, single application of rice bran, natural snail application and hand weeding.

도정부산물로부터 분리한 보리 폴리페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Barley Polyphenol Extract (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 석호문;서미숙;김흥만;안명수;이영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889-892
    • /
    • 2002
  • 보리 도정부산물은 맥강과 배아 획분으로부터 항상화 효능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폴리페놀성 물질(barley polyphenol extract: BPE)을 분리하고 이들 획분을 linoleic acid를 사용한 모델계와 옥배유를 기질로 한 유지의 자동산화를 통하여 이들의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TBA가 측정결과 bran III의 BPE는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고, 다른 획분 특히 bran I과 배아 획분의 경우는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지의 자동산화에 대한 BPE의 항산화효과를 과산화물가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저장 초기 10일에서 15일 까지는 첨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alpha}-tocopherol$ 및 BHT와 유사하거나 다소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20일 이후부터는 첨가농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40\;meq/kg{\cdot}oil$에 도달하는 기간을 유도기간으로 정하고 유도기간에 따른 상대적 항산화효과(RAE)를 측정한 결과 bran I과 배아 획분의 BPE를 0.02% 첨가시 RAE값은 각각 128 및 126이었고 0.1% 첨가시에는 135 및 133으로서 첨가량의 변화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BHT의 126보다 높게 측정되어 이들 획분은 향후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보리의 효소적(酵素的) 제분(製粉) 및 이용(利用)에 관한 연구 (Enzymatic Milling Process for Barley Flour Preparation)

  • 권태완;안병윤;최원상;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97-203
    • /
    • 1986
  • 부분도정한 보리를 미생물효소(Asp. niger 및 oryzae)에 의한 분해반응 및 미세 고형분의 용출, 여과, 침강 또는 원심분리,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제분할 때, 보리가루 획분$(73{\sim}76%)$, 맥강, 배아, 종구등의 잔유물 획분(3.6% 내외) 그리고 가용성물질 획분 등으로 분리하여 얻을 수 있었다. 이 때 가장 좋은 효소반응 조건은 온도 $45^{\circ}C$, 보리와 물의 비율 1 : 1.5(w/v)였고, ${\alpha}-a-mylase$역가 보다는 glucanase 와 Protease의 역가가 높은 효소를 사용할 때 더 좋은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얻어진 세가지 종류 획분의 성분 조성은 단백질, 지방, 섬유소 등에서 각각 현저한 차이를 보여, 각 획분의 특성별 구분 이용이 가능하였다.

  • PDF

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보리간장 맛의 평가 (Evaluation of Taste in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최웅규;박준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5-8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맛성분과 관능검사자료를 중회귀 분석하여 보리간장 맛을 평가하였다. 단순상관에서는 proline, alanine, methionine, lysine, histidine, lavulinic acid, ${\alpha}$-ketogutaric acid 및 citric acid와 관능검사 점수사이의 상관계수가 유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hreonine, serine, cystein, phenylalanine, succinic acid, arabinose, xylose 및 sucrose 둥의 성분은 관능검사 점수에 거의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단순상관분석으로는 보리간장 맛의 품질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결정계수가 0.93 이상을 나타내어 맛성분 함량과 중회귀식을 이용하여 보리간장 맛의 93%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식이섬유 첨가가 절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ddition of Dietary Fibers on Quality of Julpyun)

  • 이지영;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67-276
    • /
    • 1994
  • Recent epidemological observations suggested beneficial effects of dietary fiber on man's health. With the increased emphasis placed on the requirement for dietary fiber in the diet, there has been greater interest in successfully incorporating dietary fiber into food products. Hence, in this study, several dietary fibers such as cellulose, pectin, rice bran, barley bran and job's tears bran were incorporated into julpyun to determine their effects on some phys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Difference of water binding capacity(WBC) was found among dietary fiber sources. The WBC of pectin was highest and that of job's tears bran was lowest. The moisture contents of julpyun were increased as WBC of added dietary fiber sources was higher. In the rheometer measurement for julpyun added with dietary fiber, hardness of julpyuns added with cellulose and pectin was low. But, hardness of julpyun added cellulose was increased rapidly during storage at 4$^{\circ}C$. Springiness and gumminess wereshowed similar aspects to hardness. In the retrogradation speed by Avrami equation, the rate constant of julpyun added barley bran was low ao retrogradation occurred slowly.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julpyun added no dietary fiber showed good overall preference. Overall preference in sensory evalu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fter-swallowing and color.

  • PDF

보리 도정이 Fusarium 곰팡이독소 저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illing on Reduction of Fusarium Mycotoxins in Barley)

  • 백슬기;이미정;나주영;임수빈;최정혜;최장남;장자영;양정욱;이데레사
    • 식물병연구
    • /
    • 제29권4호
    • /
    • pp.384-389
    • /
    • 2023
  • 곡류의 도정은 곰팡이독소의 분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보리에서의 도정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트리코테씬과 제랄레논 독소에 오염된 겉보리 7점과 쌀보리 4점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도정 비율에 따라 도정하였다. 두 종류의 보리는 데옥시니발레놀과 아세틸 유도체(98.1-2,197.8 ㎍/kg), 니발레놀과 아세틸 유도체(468.5-3,965.1 ㎍/kg), 제랄레논(4.1-274.2 ㎍/kg) 등에 동시에 오염되어 있었다. 겉보리를 67%로 도정한 결과 데옥시니발레놀은 90.9%, 니발레놀은 87.7%, 제랄레논은 93.2%가 각각 감소하였다. 70%로 도정한 쌀보리의 경우는 데옥시니발레놀 88.6%, 니발레놀 80.2%, 제랄레논 70.1%이 각각 감소하였다. 두 보리 모두 데옥시니발레놀과 니발레놀의 아세틸 유도체는 100% 감소하였다. 그러나 보리겨는 도정 전 보리에 비해 곰팡이독소가 크게 증가하였다. 겉보리의 겨에서는 데옥시니발레놀, 니발레놀, 제랄레논이 각각 평균 357%, 252%, 169% 증가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쌀보리의 겨에서는 데옥시니발레놀, 니발레놀, 제랄레논이 각각 337%, 239%, 554%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리 낟알의 외피에 존재하는 곰팡이독소가 도정 과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도정을 통해 곰팡이독소가 낟알에서 겨로 집적됨에 따라 보리겨를 인축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독소의 오염 수준을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보리 도정부산물로부터 분리한 폴리페놀 추출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arley Polyphenol Extract (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 석호문;서미숙;김성란;박용곤;이영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75-779
    • /
    • 2002
  • 보리를 식용으로 하기 위해 도정, 할맥 또는 압맥 등으로 가공처리시 연마정도에 따라 도정부산물로 발생되는 bran $I{\sim}III$ 뿐 만 아니라, 배아, 파쇄립으로부터 폴리페놀 추출물을 얻은 다음 몇 가지 식품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n-Hexane으로 탈지시킨 bran 및 배아 시료를 75% 에탄올로 추출 여과 후 Sepabead-SP850 수지를 사용하여 얻어진 폴리페놀 획분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bran I이 43.68%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획분별 폴리페놀 화합물의 유형을 HPLC로 살펴본 결과 항산화 및 항변이원성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진 proanthocyanins와 prodelphinidin 다량체로 추정하였다. 획분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DPPH radical 소거활성으로 조사한 결과 bran I의 $EC_{50}$이 1.59 mg/mL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배아 > bran II > bran III 의 순이었다. 시료농도 0.01% 수준의 농도에서 ACE 저해작용은 배아가 40.04%로 가장 높았고,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모든 획분에서 70% 이상의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은 bran I과 II에서 $64{\sim}78%$ 내외의 활성을 보여 보리 폴리페놀 추출물의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보리의 도정을 통한 바이오에탄올 생산성 향상 연구 (Improvement of the Bioethanol Productivity from Debranned Barley)

  • 전형진;김율;김신;정준성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648-653
    • /
    • 2018
  • Bran of barley causes high viscosity in bioethanol production due to the large amount of ${\beta}$-glucans and fiber. High viscosity is the main cause of decreased productivity and decreased facility efficiency in ethanol production. In order to prevent high viscos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bioethanol from barley by debranning. As a result, it was able to reduced the viscosity (22.8 cP to 17.5 cP). And the fermentation speed and yield were improved as the activity of the enzyme and activity of yeast was also increased was improved due to the removal of non-fermentable components. In conclusion, debranning was advantageous in two ways. Firstly, bran removal increased the starch content of the feedstock and decreased viscosity of mash, improving ethanol fermentation. Secondly, by-products produced by debranning can use valuable products. It was remarkable results to the feasibility of bioethanol production from debranned barley.

팽이버섯 재배에서 미강 대체용 보리가루의 적정 첨가 비율 (Optimal additive ratio of barley flour for substitution of rice bran at cultivation of winter mushrooms)

  • 이찬중;문지원;유영미;한주연;정종천;공원식;이병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66-269
    • /
    • 2015
  • 팽이버섯 재배에서 영양원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미강 대체용 유기성자원을 선발한 결과 보리가루가 대체 배지재료로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강대체용 보리 가루가 10% 첨가된 배지에서는 9.5 cm로 대조구보다 균사생장이 조금 느렸지만, 보리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보다는 균사생장이 빨랐다. 보리가루 첨가량에 따른 균사밀도는 보리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밀도를 보였지만 처리 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이 높은 밀도를 보였다. 자실체 수량은 대조구가 165.4 g/850 ml였고, 보 269 이찬중 문지원 유영미 한주연 정종천 공원식 이병의리가루 30% 첨가된 처리가 163.9 g/850 ml로 가장 높았으며, 보리가루를 70%까지 첨가하여도 수량은 대조구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리가루의 첨가량에 따른 팽이버섯 자실체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갓의 직경은 보리가루 30%에서 가장 높았지만 보리가루를 첨가할 경우 오히려 낮은 경향을 보였다. 대의 두께와 길이는 보리가루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갓의 두께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대와 갓의 경도는 보리가루 30% 첨가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확기 자실체의 갓과 대의 경도는 보리가루만 10% 첨가된 처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대 색깔 중 L값은 보리가루가 첨가된 처리에서 높았지만, 갓의 L값은 보리가루가 첨가된 처리에서 낮았다. 그러나 a, b 값은 처리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ntioxidant Activity in Rice Cultivar, Wild Rice, and Barley

  • Ryu, Su-Noh;Park, Sun-Zik;Kim, Hong-Yeo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4-61
    • /
    • 2002
  •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of sixteen samples were tested using 1.1-diphenyl-2-picryl hydrazyl(DPPH) reactivity and TBARS substances assay in vitro. The methanol extracts of the rice brans from three wild rice -O. minuta, O. rufipogon, and O. barthii-were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next effective ones were the rice brans of Heugjinjubyeo and leaves of Tapgolbori. When tested on lipid peroxidation using a lipid peroxidation generation system mediated by $H_2O$$_2$/Fe$^{2+}$ in rat liver homogenates, the brans and hull of wild rice (O. minuta, O. rufipogon, and O. barthii) and rice bran of Heugjinjubyeo exhibited 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lipid peroxidation in the order of effectivenes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