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ks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5초

과채류껍질 추출물의 학습능력수행 및 기억력증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ruit and Vegetable Bark Extract on Learning Ability and Memory Improvement)

  • 김현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3호
    • /
    • pp.261-267
    • /
    • 2018
  • 본 연구는 광범위한 식품 용도에서 독성을 일으키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과일껍질은 질기고 거친 식감과 떫은 맛이 많은 관능성의 문제로 껍질의 섭취를 꺼려하여 폐기물로서 버려지고 있지만, 과일껍질은 무기질, 비타민, 폴리페놀과 같은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일반적으로 소비하는 과일류 중 과일껍질 유래의 과피 부분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사과 또는 배의 과채류 껍질추출물을 활용하여 최근 문제시 되고 있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예방 및 치료 할 수 있는 학습능력 수행 또는 기억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사과껍질과 배껍질의 혼합 추출물은 사과껍질과 배껍질의 추출물 각각에 비하여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억제활성이나 스코폴라민 유도 동물 모델의 수미로 실험에서 학습능력 수행방 및 기억력 증진효과가 더욱 현저하였다. 이는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상승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볼 때 과채류 껍질 추출물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억제, 단기기억, 장기기억 활성 촉진으로 콜린성 신경계를 자극하여 기억 및 학습증진에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항치매 물질로 사료된다.

Antitumor effect of Careya arborea against Ehrlich ascites carcinoma with reference to lipid peroxidation and enzymatic and non enzymatic antioxidant system in Swiss albino mice

  • Kumar, R Sambath;Sivakumar, T;Senthil, V;Murthy, N Venkateswara;Balasubramaniam, V;Sabi, R Kanaga;Sundram, R. Shanmuga;Perumal, P;Mazumder, U K;Gupta, M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8권2호
    • /
    • pp.154-163
    • /
    • 2008
  • The methanol extract of stem barks of Careya arborea Roxb. (MECA) (Family- Myrtaceae) was evaluated for antitumor activity and antioxidant status against Ehrlich's Ascites Carcinoma (EAC) bearing Swiss albino mice. After 24 h of tumor inoculation the MECA was administered at the doses of 50, 100 and 200 mg/kg body weight/mice/day for 14 days. After the last dose and 18 h fasting mice were sacrificed. The effect of MECA on the growth of transplantable murine tumor, life span of EAC bearing hosts, hematological profiles, serum and liver biochemical parameters were estimated. The MECA showed significant (P < 0.01) decrease in ascites volume, packed cell volume and viable cell count and prolonged the life span of EAC tumor bearing mice. Hematological profiles reverted to more or less normal levels in extract treated mice. The MECA also produced protective effect by decreasing the activity of serum enzymes, bilirubin and increase the protein and uric acid levels. MECA significantly (P < 0.05) decreased the levels of lipid peroxidation, while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the levels of glutathione content, vitamin C, vitamin E, superoxide dismutase and catalase CAT. The results indicate that MECA exhibited significant antitumor and antioxidant activity in EAC bearing mice.

소나무 수피의 화학적 처리에 의한 Cu(II) 흡착 효과 (Efficacy of Cu(II) Adsorption by Chemical Modification of Pine Bark)

  • 박세근;김하나;김영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8호
    • /
    • pp.930-93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종류인 Pinus densiflora로부터 채취한 수피를 이용하여 수용액으로부터 구리 제거를 위한 회분식 흡착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리 흡착에 수피의 화학적 처리가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 N 수산화나트륨(NaOH)과 1 N 염산(HCl)을 이용하여 전처리하였다. 구리 농도가 100 mg/L이고 pH가 $3\sim6$인 수용액에서 수산화나트륨(NaOH)을 이용한 수피의 화학적 전처리는 구리의 흡착량을 $139\sim184%$ 정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냈으나, 염산(HCl)을 이용한 수피의 전처리는 구리의 흡착량을 $37\sim42%$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대체적으로 수피에 의한 구리 흡착은 pH $5\sim6$에서 최대 흡착량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주어진 pH 범위내에서 수용액의 pH가 구리 흡착에 미치는 효과는 크지 않았다. 수피의 구리 흡착은 유사 2차 동역학 모델로 설명이 가능하였으며, 수산화나트륨(NaOH)으로 전처리한 수피의 경우 초기 농도가 100 mg/L에서 2배로 증가함에 따라 유사 2차 동역학 모델식으로부터 계산된 흡착량$(q_e)$은 6.58 mg/g에서 12.77 mg/g로 증가한 반면에 속도 상수$(k_2)$는 0.284 g/mg/min에서 0.014 g/mg/min으로 감소하였다. 수피의 구리 흡착특성은 Langmuir와 Freundlich 등온식에 의해 모두 잘 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피에 존재하는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RCOOH)이 구리 이온의 흡착에 관여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하여 전처리한 수피에서 나타나는 구리의 높은 흡착효율은 수피에 존재한 에스테르(ester) 화합물과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화합물이 가수분해되어 생성된 카르복실산 염(sodium carboxylate)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목 추출물의 발암 억제효과 및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 of Taxus cuspidata Extracts)

  • 황병호;조국난;최근표;정성원;김은정;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62-1068
    • /
    • 1996
  • 한국산 주목나무의 부위별 항함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주목나무의 잎, 수피, 그리고 뿌리 부분으로 나누어 알코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 원성 실험과 인간 암세포주를 이용한 세포성 장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세부분의 에탄올 추출물 수율은 30%정도였다. Bacillus subtillus Hl7 및 M45균주를 이용한 rec-assay와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 두균주를 이용한 Ames tes에서도 공시 시료 모두 농도 증가에 관계없이 변이원성은 없었다. 그리고 직접 변이 원인 MNNG를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는 TA100에서 3가지 추출물 모두 50$\mu\textrm{g}$/plate 첨가시 98%이상의 강한 항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었고 4NQO에 대한 억제효과에서는 TA98 및 TA100 모두 두균주에서 98% 이상의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간접변이원인 Trp-P-1에 대한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에서는 3가지 추출물 투여시 73~89%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B(a)P에 대해서는 16~60%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중 뿌리 추출물이 가장 강하였다. 한편 정상간암세포인 WRL68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결과 $0.5$\mu\textrm{g}$/{\mu}\ell의$ 농도에서 22~36%의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나, 간암세포인 Hep3B에 $대해서는0.5$\mu\textrm{g}$/{\mu}\ell$ 투여시 잎 추출물 72%, 수피 추출물 87% 그리고 뿌리 추출물이 90%의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 PDF

약용식물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Diabetic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 이연리;윤나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81-686
    • /
    • 2015
  • 약용식물 23종 메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항당뇨 활성으로는 ${\alpha}$-amylase 저해 활성,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검정하여 혈당강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약용식물을 선발하고자 한다. 약용식물의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1.50~15.25 mg GAE/g의 다양한 함량 범위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함량은 주목열매(15.25 mg GAE/g), 화살나무줄기(15.12 mg GAE/g), 두충잎(14.24 mg GAE/g)으로 3종이 나타났다. 60% 이상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본 약용식물로는 두충 줄기수피(80.10%), 구기자나무 뿌리(64.25%), 화살나무 줄기(73.59%), 비수리(78.20%), 주목열매(70.52%), 뽕잎나무 잎줄기(67.81%) 부위 추출물로 6종이 선발되었다. ${\alpha}$-Glucosidase를 80% 이상 저해한 약용소재로는 두충 줄기심재, 두충 줄기수피, 화살나무 줄기, 마, 율무, 녹두 6종이 선발되었다. ${\alpha}$-Amylase를 80% 이상 저해한 약용식물로는 칡뿌리, 두충 줄기수피, 두충잎, 구기자 열매, 화살나무 잎줄기, 화살나무 줄기, 조릿대 지상부, 마, 뽕잎나무 잎줄기 추출물 등 9종이 선발되었다.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이 우수했던 약용식물들은 향후 새로운 의약품 개발 및 성인병 예방의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하는 데 있어 좋은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X VIII) -다릅나무(Maackia amurensis) 수피의 추출성분의 분리 및 항산화 활성-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 (X VIII) -Isol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emical Constituents from Maackia amurensis-)

  • 김우진;이학주;이상극;강하영;최돈하;최태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135-144
    • /
    • 2007
  • 다릅나무 수피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95% 에탄올로 추출하고 석유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동결건조시켰다. 디클로로메탄 가용부 및 에틸아세테이트 가용부를 Sephadex LH-20과 silica gel 6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다양한 용매를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TLC로 확인한 후 $^1H-$, $^{13}C-NMR$, COSY, NOESY, HMQC, HMBC 등의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한 구조를 구명하였고, FAB 및 EI-MS로써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기기분석 결과, 7-O-$\beta$-D-glucopyranosyl-4'-methoxyisoflavone, 7-O-$\beta$-glucopyranosyl(1'''->6'')-$\beta$-D-glucopyranosyl-4'-methoxyisoflavone, 7-O-$\beta$-D-glucopyranosyl(1''''->6''')-$\beta$-D-glucopyranosyl(1'''->6'')-$\beta$-D-glucopyransoyl-4'-methoxyisoflavone, 7-O-$\beta$-D-glucopyranosyl-4', 6-dimethoxyisoflavone으로 각각 동정하였다. 단리 물질의 항산화 활성은 DPPH법에 의한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alpha$-tocopherol보다 낮게 나타났지만 BHT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배과원에서 꼬마배나무이 월동성충의 수상 이동시기 예측 모형 (An Empirical Model for the Prediction of the Onset of Upward-Movement of Overwintered Caccopsylla pyricola (Homoptera: Psyllidae) in Pear Orchards)

  • 김동순;양창열;전흥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28-233
    • /
    • 2007
  • 꼬마배나무이(Caccopsylla pyricola)는 배나무의 주요한 해충으로 배나무의 거친 껍질 밑에서 성충상태로 월동하는 해충이다. 봄철 날씨가 따뜻해지면 월동성충은 활동을 시작하여 나무 가지로 이동하고 단과지에 알을 낳는다. 본 연구는 기계유유제를 이용한 꼬마배나무이 월동성충 적기 방제를 위하여 월동해충이 나무위로 이동하는 시기를 예측하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봄철 배나무 거친 껍질 밑 및 수상 단과지에서 꼬마배나무이 월동성충 밀도를 조사하여, 성충의 상대적인 이동비율(단과지에서 상대적 발생비율)을 계산하였다. 임의로 $5\sim9^{\circ}C$까지 $1^{\circ}C$ 간격으로 꼬마배나무이 월동성충 활동에 필요한 하한온도를 선정하고 2월 1일부터 일별 최고온도 자료를 이용하여 상대적 이동비율이 0.8 이상 되는 날까지 각 하한온도를 초과하는 누적일수를 계산하고 비교하였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꼬마배나무이 월동성충이 낳은 알 초발생일까지 누적일수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하한온도를 6으로 했을 때 각 예측일까지 누적일수의 평균에 대한 변이 계수가 가장 낮았으며, 평균 누적일수가 12에 도달할때 월동성충의 이동이 일어났고, 25일 때 산란이 관측되었다. 이 조건의 모형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수원 및 천안 지역에서 포장적합결과 모형 예측결과는 실측 이동시기를 잘 표현하였다. 기타 실제 농가포장에서 꼬마배나무이 월동성충 이동시기 예측모형의 활용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황백(Phellodendri Cortex)으로부터 분리한 지방세포 분화 저해물질 (Adipocyte Differentiation Inhibitor Isolated from the Barks of Phellodendron amurense)

  • 김경희;안순철;이명선;권오송;오원근;김민수;손천배;안종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03-509
    • /
    • 2003
  • 비만 저해 물질을 탐색하고자 전통의학에서 사용되는 200여 종류의 식용 또는 약용식물을 대상으로 지방세포 분화저해활성을 보이는 생약식물을 선별하여 용매층으로 활성이 이행되는 생약 중 황백(Phellodendri Cortex)을 최종적으로 후보식물로 선정하였다. 황백을 메탄올로 추출한 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ODS RP-18 column chromatography, HPLC 등을 수행하여 지방세포 분화 저해활성을 갖는 화합물 PC-4를 분리하였다. PC-4는 노란색의 분말형태로 메탄올을 용매로 UV 최대흡수치를 조사한 결과, 222, 265, 349, 429 nm에서 최대의 UV의 흡수치를 보였으며 산이나 알카리 조건에서 최대 흡수치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EI-mass spectrum을 측정한 결과, 분자량이 336.1로 예상되었으며 $^1H-NMR,\;^{13}C-NMR,\;DEPT,\;^1H-^1H\;COSY$, HMQC, HMBC NMR spectrum을 통해, PC-4는 isoquionoline alkaloide계열의 berberine으로 동정되었다. PC-4는 지방의 대사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인 fatty acid synthase와 pancreatic lipase에 대한 저해활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지방세포 분화 저해활성은 $1\;{\mu}g/mL$의 낮은 농도에서도 관찰되었다.

수피에 의한 삼보광산 폐수의 중금속 흡착 (Adsorption of Heavy Metal Ions on Sambo Mine Runoff by Barks)

  • 안병준;고경무;이형;백기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4호
    • /
    • pp.40-47
    • /
    • 2001
  • 삼보광산 폐수(총 중금속 농도 : 107 ppm) 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 $Zn^{2+}$(42.1 ppm) 과 $Mn^{2+}$(53.1 ppm)을 미처리 상수리나무와 소나무 수피로 정수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칼럼 시험을 수행하였다. 수피 각각 6kg을 2단 칼럼(직경 45 cm, 높이 60 cm) 에 나누어 넣고 1 ${\ell}$/min의 유속으로 폐수를 칼럼에 통과시키며 15일간 일정 시간마다 여액의 중금속 농도를 분석하였다. $Zn^{2+}$은 상수리나무 수피로 처리함에 따라 24 hr 동안 10 ppm 이하로 유지되었다. 즉 64%의 흡착율을 보였다. 한편 소나무 수피는 15 hr 동안 20 ppm 정도로 약 53%의 흡착율을 나타내었다. $Mn^{2+}$은 수피에 흡착이 저조하여 10 hr 이내 까지만 20-35%의 흡착율을 나타내었다. 수종 간에 Mn2 + 의 흡착율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수피를 삼보광산의 폐수에 함유된 중금속 흡착제로 사용할 경우 $Zn^{2+}$에는 효과적이었으나. $Mn^{2+}$의 흡착용으로는 적당하지 않았다.

  • PDF

사과나무의 겹무늬병(윤문병) 및 사마귀병 (우피병)의 병원균과 병원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White rot and Blister Canker in Apple Trees caused by Botryosphaeria berengeriana)

  • 이두행;양장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2-88
    • /
    • 1984
  • 사과나무의 과실 부패현상과 가지 사마귀현상의 평원균 및 그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가지 및 과실, 벚나무${\cdot}$복숭아나무${\cdot}$자두나무${\cdot}$능수버드나무 및 자작나무의 가지 등 7종의 병든식물에시 분리된 것은 Dothierella mali (Botryosphaeria berengeriana 의 불완전세대)가 대부분이었고 사과의 썩은 과실에서는 Alternaria sp.와 Pencicillium expansum도 분리되었으며, 배의 썩은 과실에서는 Phomopsis sp.도 분리되었다. 2. B. berengeriana의 10개 분리균을 4종 재배에 배양한 결과 균사생장, 균총의 모양 및 색깔의 차이에 따라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시된 분리균은 배지에 특이한 색깔을 나타내지 않았다. 병자각은 자좌속에 형성되었으며, 모양은 구형 또는 편구형으로 흑갈색이었고, 크기는 사과 병조직의 것이 $103.5-287.5\mu\times92.0-287.5\mu$사이었다. 병포자는 보통 무색, 단포, 타원형-방추형으로써 사과나무 가지에서 분리한 균의 크기의 범위는 $4.3-7.2\mu\times20.0-31.5\mu$(평균 $5,9\times25.4\mu$)이었다. 병포자는 발아전후에 1개, 2개 또는 3개의 격막이 생기는 것도 있었다. 배지 또는 접종부위에 형성된 병자각 안에는 소형포자도 형성되었다. 접종식물의 잎과 과실에는 겹무늬의 갈색-흑갈색 병반이 나타났고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햇가지에는 사마귀상 돌기가 접종부위에 생기는 것이 있었으며, 복숭아나무 및 벚나무의 가지에는 조피형 동고성 병반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