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k pH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3초

붉나무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Japanese Sumac Extracts)

  • 노정숙;정갑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27-534
    • /
    • 2019
  • 야산에 자생하는 붉나무(Japanese sumac)의 천연자원으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잎, 열매 및 수피 등 세부위를 열수로 추출하고, 이들 추출물의 몇 가지 추출특성과 아질산염 소거능 등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은 부위에 따라 6.62~13.84%의 범위였고, 유리 아미노산은 잎, 열매, 수피에서 각각 24종 37.9 mg/100g, 23종 27.0 mg/100g 및 27종 39.0 mg/100g의 함량이었으며, 7종의 필수 아미노산이 잎>수피>열매의 순으로 측정되었다. Naringin 상당량으로 구한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수피>열매>잎의 순으로 379.9~587.2 mg/100g이었으며, gallic acid 상당량으로 구한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잎>열매>수피의 순으로 80.4~111.2 mg/100g이었다. 붉나무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수피 61.93%>열매 57.38%>잎 55.49%의 순으로 측정되었으며, BHT (butylated hydroxytoluene) 소거능의 78.1~100%에 대응되었다.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열매 47.38%>잎 43.06%>수피 38.55%로서 각각 BHT의 65.6%, 58.8% 및 53.6%의 활성으로 비교되었다. 붉나무의 잎, 열매 및 수피 추출물의 환원력은 대조구로 사용한 BHT의 환원력에 비하여 각각 37%, 43% 및 46% 더 높게 평가되었으며, 금속이온 봉쇄능은 수피 27.3%>잎 20.6%>열매 11.2%의 순으로 상당히 낮게 측정되었다.

황백 색소 팔마틴의 면직물에 대한 염색성 연구 (Study on the Dyeing Behavior of Palmatine, a Major Coloring Compound of Phellodendron Bark, on Cotton Fabric)

  • ;;안춘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601-612
    • /
    • 2015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dyeing behavior of palmatine (a major coloring compound of Phellodendron bark in addition to berberine) using mercerization (M), tannic acid (T), mercerization-tannic acid (MT), and tannic acid -mercerization (TM) pretreatments. Mercerization was conducted using $20^{\circ}C$ of 20% NaOH for 5 minutes. Tannic acid treatment was conducted using 15% o.w.f. solution of tannic acid at $60^{\circ}C$ for 30 minutes and fixed with potassium antimonyl tartrate trihydrate. Dyeing was conducted using 1% o.w.f. palmatine chloride hydrate with 1:100 liquor ratio at $10-95^{\circ}C$ for 10-60 minutes in a dyebath of pH 3-9. MT method resulted in the highest dye uptake and was two times higher than the average dye uptake of T method. MT method provided the best result when the dyeing temperature was $80^{\circ}C$ or $95^{\circ}C$ and the dyeing time was 60 minutes. The pH of the dyebath had less effect on the dye uptake but a pH higher than 5 provided better results. The study confirmed that palmatine is a major coloring compound of Phellodendron bark and that the MT method can be used as a successful cotton dyeing method.

시용 유기물의 종류가 고추 재배지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c Amendments on Soil Microbial Community in Red Pepper Field)

  • 박기춘;김영숙;권오훈;권태룡;박상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8-125
    • /
    • 2008
  • 다비작물이면서 재배기간이 긴 고추 재배지에서 당년의 효과를 기대하고 시용되는 유기물은 각 지역마다 사용되는 종류가 다양함으로 이들이 토양 미생물 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수피, 우분, 왕겨, 볏짚과 이것으로 만든 퇴비가 토양의 화학적 미생물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퇴비가 pH를 포함한 토양 화학적 특성 변화에 가장 효과적이었고 수피는 유기물 증가에 기여하였다. 인지질 지방산의 토양 생물학적 지표 분석에서 퇴비는 방선균과 균근균 밀도 증가에 효과적이었으며, y19:0/18:1w7c와 단불포화/포화 지방산의 비율도 증가시켰다. 수피는 곰팡이 밀도 증가에 효과적이었고, 왕겨와 볏짚은 퇴비와 수피 만큼의 토양 미생물상 군락에 미치는 효과는 적었으나 왕겨가 볏짚 보다 컸다. 그리고 전체 미생물 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PLFA와 Biolog EcoPlate 성적을 주요인 분석으로 살펴 본 결과 수피가 두 가지 방법 모두에서 다른 처리 특히 퇴비 처리구와는 구별 되는 미생물 군을 형성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퇴비와 수피가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미생물상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특히 토양 미생물상에 미치는 두 유기 토양 개량제의 영향은 방향이 크게 다르므로 신선 수피의 토양 개량제로의 이용은 더 많은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아황산가스가 왕벚나무와 쥐똥나무 유묘의 수피산도, 엽중산도 및 엽내 수용성 황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lfur Dioxide on Bark Acidity, Leaf Acidity and Water Soluble Sulfur Contents of Prunus yedoensis and Ligustrum obtusifolium Seedlings)

  • 주영특;이상덕;김홍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19-223
    • /
    • 2002
  • 우리나라의 가로수 중 왕벚나무와 쥐똥나무를 공시하여 SO$_2$의 처리농도를 달리했을 때 각 수준에 의한 수피산도, 엽중산도 및 엽내 수용성 황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SO$_2$가 수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왕벚나무와 쥐똥나무의 각 농도별 수피산도는 전체적으로 SO$_2$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pH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SO$_2$ 농도별 처리에 따른 수피산도 증가율 변화에 있어서는 왕벚나무가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고, 4.0 pp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쥐똥나무에 비해 수피산도에 대한 상대적 감수성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농도별 엽중산도는 수피산도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SO$_2$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엽중산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구의 경우 공시목의 엽내 수용성황 함량 분석결과는 쥐똥나무(0.0105%)가 왕벚나무(0.0056%)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공시목 2개 수종 모두 SO$_2$ 가스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엽내 수용성 황 함량이 증가하였다.

현사시나무 수피에서 분리한 Grandidentatin Isomer의 입체구조결정 (Determination of Stereochemical Structure of a Grandidentatin Isomer from Populus alba × glandulosa Bark)

  • 권동주;김현석;이필호;배영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1호
    • /
    • pp.114-120
    • /
    • 2009
  • 현사시나무 수피를 채취하여 기건 시킨 후 70% 아세톤 용액으로 추출하고 농축한 후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수용성으로 순차 추출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대하여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와 분취 TLC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구조는 산 가수분해와 $^1H$-NMR, $^{13}C$-NMR, 2D-NMR 및 MALDI TOF-MS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grandidentatin A(cis-2-hydroxycyclohexyl 6-O-p-coumaroyl-${\beta}$-D-glucopyranoside)로 동정하였다. Grandidentatin A는 현사시나무 수피에서 처음 분리되었으며, 문헌에 보고되지 않은 신규화합물이다.

돈분의 퇴비화에 있어 악취 제거 기능성 물질의 첨가 효과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Supplementation as a Bulking Agent in Composting of Swine Manure)

  • 이상환;김인호;홍종욱;권오석;김정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13-121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unctional ingredients with supplementation as a bulking agent in composting of swine manure. Treatments were T1 & T5 ; Swine mature+Vermiculite, T2 & T6 ; Swine manure+Perlite, T3 & T7 ; Swine manure+Vermiculite+Perlite, T4 & T8 ; Swine manure+Bark. T1, T2, T3 and T4 were supplement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on d 0 of composting, T5, T6, T7 and T8 were supplement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on d 3 of composting. Functional ingredients were Fermkito and Yucca. During the composting period, changes of temperature were showed traditionally composting trend. Volatile fatty acids were decreased regardless of treatments in functional ingredients supplementation. Organic matter, T-N and C/N ratio were showed higher bark treatments than other treatments. pH and EC were ne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P$_2$O$_{5}$ and $K_2$O were showed level of 1-3%. In heavy metal, Cr were showed higher in vermiculite treatment than other treatments. In conclusion, vermiculite and perlite treatments were greater composting effects than bark.

  • PDF

소나무 수피의 페놀액화에 대한 다양한 산 촉매의 효과 (Effect of Various Types of Acid Catalysts on Phenol Liquefaction of Pinus densiflora Bark)

  • 문성필;로경란;이종문
    • 임산에너지
    • /
    • 제21권3호
    • /
    • pp.1-9
    • /
    • 2002
  • 소나무 수피의 페놀 액화시 다양한 종류의 산 촉매를 도입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소나무 수피의 페놀 액화시 무기산 촉매로서 염산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나, 90%이상의 액화를 위하여 적어도 11 mmol이상의 염산의 첨가가 필요하였다. 사용된 카르본산류의 경우 triflouroacetic acid (TFA)가 액화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나 80%이상의 액화는 어려웠다. 그러나 유기설폰산 촉매류, 즉, p-toluenesulfonic acid (PTSA) 및 methanesulfonic acid (MSA)의 경우 소량의 첨가로도 낮은 액화온도에서 높은 액화율을 얻을 수 있었다. 특히 PTSA는 140℃의 낮은 액화 온도 조건에서도 92%의 액화율을 나타내어 수피 페놀액화 시 매우 효과적인 촉매로 판명되었었다.

  • PDF

수피${\cdot}$돈분 부산물 비료의 부숙단계별 특성 변화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Bark and Piggery Manure By-Product Fertilizers During the Composting)

  • 양재의;박창진;용석호;김정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72-377
    • /
    • 1999
  • 본 연구는 부산물 비료의 부숙도 판정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우리 나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피 부산물 비료와 돈분 부산물 비료를 대상으로 원재료로부터 완제품 생산까지 부숙단계별 시료의 물리적${\cdot}$화학적${\cdot}$생물학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숙이 완료됨에 따라 수피 부산물 비료의 경우 유색(black)으로, 돈분 부산물의 경우 암갈색으로 변화되었으며, 수피 부산물의 경우는 43일경과 후에, 돈분 부산물의 경우는 40일경과 후에 원 시료의 냄새가 사라지고 퇴비취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숙된 수피 부산물 비료의 pH와 EC는 각각 pH6.5와 $1dS{\cdot}m^{-1}$에서 안정화되었으며, 돈분 부산물 비료의 경우는 pH7.2와 $6dS{\cdot}m^{-1}$에서 안정화되었다. 부숙이 진행됨에 따라 유기물함량은 점차 감소하여 수피 부산물 비료의 경우 120일 경과후 62%, 돈분 부산물 비료의 경우 40일경과 후 59%로 안정화되었다. 부숙 기간 중 총 질소의 함량은 수피 부산물 비료의 경우 $1.1{\sim}1.5%$, 돈분 부산물의 경우 $1.5{\sim}2.2%$를 유지하였다. 두 가지 비료 모두에서 암모니아태 질소는 초기에 증가하다 중기 이후 감소하였고, 질산태 질소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무기태 질소의 전체 함량은 증가하였다. 부숙이 완료된 퇴비의 유기물/질소비는 수피 부산물 비료의 경우 25에서, 돈분 부산물 비료의 경우 27에서 안정화되었다. 부숙이 진행됨에 따라 CEC는 증가하였는데, 완숙단계에서 수피 부산물 비료의 경우 $87cmol(+)\;{\cdot}\;kg^{-1}$으로, 돈분 부산물 비료의 경우$70cmol(+)\;{\cdot}\;kg^{-1}$으로 증가하였다. 조섬유 중 Cellulose와 Hemicellulose는 부숙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Lignin의 비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부산물비료의 부숙단계별 시료의 특성변화는 부산물 비료의 부숙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wo New Lichen Species, Thelopsis ullungdoensis and Phylloblastia gyeongsangbukensis from Korea

  • Halda, Josef P.;Oh, Soon-Ok;Liu, Dong;Lee, Beeyoung Gun;Kondratyuk, Sergey Y.;Lokos, Laszlo;Park, Jung-Shin;Woo, Jung-Jae;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48권6호
    • /
    • pp.443-449
    • /
    • 2020
  • Two new species, Thelopsis ullungdoensis and Phylloblastia gyeongsangbukensis are described from Ullung-Do (Island), South Korea. The closest relatives from Europe and Korea are epiphytic Thelopsis flaveola which differs by their immersed or semi-immersed yellow ascomata, ascospores without halo and their habitat of smooth bark (mainly Fagus) in humid and cold climates. Thelopsis gangwondoensis differs by its bigger semi-immersed ascomata (600-700 ㎛ in diam.), oblong halonate ascospores (8-12 × 6-8 ㎛) and its habitat of smooth bark of deciduous trees. P. gyeongsangbukensis differs from its relatives within the genus in having 5-septate ascospores (22-26 × 6-8 ㎛), semi-immersed, subglobose ascomata with a flattened top (250-400 ㎛) and a thin, matt, uneven gray-brown to gray-green continuous thallus without isidia.

닭고기의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함량에 관한 소나무 껍질추출물의 급여효과 (Effect of feeding Korean red pine bark extract on the levels of fatty acid and cholesterol in chicken meats)

  • 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6-8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Korean red pine bark extract as an antibiotic replacements on cholesterol, fatty acids and the shelf-life of chicken meat. To accomplish this, chickens were fed the optimal level of red pine bark extract that was found to replace antibiotics in the diet of broilers. A total of 180 male broilers(Ross strain 308) were divided into three treated groups, T1(control group), T2(8 ppm of avilamycin) and T3(65 ppm of red pine bark extract per kg diet). The lipid content was reduced by 24.67% and 20.49% in T3 group, while the cholesterol level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T3 group by 20.49% and 20.55% when compared to the T1 and T2 group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aturated fatty acid level was lower in the T3 group than in the T1 and T2 groups, while the unsaturated fatty acid level of the T3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TBARS value of chicken thigh muscle containing its skin on the 7th day of low temperature storage was significantly lower by 23.86% and 21.17% in the T3 group than in the T1 and T2 groups, respectively. Evaluation of the color of the meat revealed that the $L^*$value (lightness) and $b^*$value(yellowness) were higher in the T3 group than in the T1 and the T2 groups, but that the pH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3.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ddition of 65 ppm red pine bark extract to the diet of broilers should improve their meat quality with respect to the lipid contents and shelf-life when compared to the addition of antibio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