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Sulfur Dioxide on Bark Acidity, Leaf Acidity and Water Soluble Sulfur Contents of Prunus yedoensis and Ligustrum obtusifolium Seedlings

아황산가스가 왕벚나무와 쥐똥나무 유묘의 수피산도, 엽중산도 및 엽내 수용성 황 함량에 미치는 영향

  • 주영특 (강원대학교 산림자원보호학과) ;
  • 이상덕 (강원대학교 산림자원보호학과) ;
  • 김홍률 (경희대학교 임학과)
  • Published : 2002.12.0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bark acidity, leaf acidity and water soluble sulfur contents by SO$_2$, 1-2 seedling of Prunus yedoensis and Ligustrum obtusifolium were treated 5 level (0. 0.5, 1, 2, 4 ppm) of SO$_2$. The ta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case of bark and leaf acidities, pH values decreased as SO$_2$ concentration was high. Prunus yedoensis compare with Ligustrum obtusifolium had high relative susceptibility because rates of increase in bark and leaf acidities were high according to SO$_2$ concentration. Water soluble sulfur contents in the leaves also increased as SO$_2$ concentration was high. Prunus yedoensis compare with Ligustrum obtusifolium had high relative susceptibility because increase rates of water soluble sulfur contents in the leaves were high according to SO$_2$ concentration.

우리나라의 가로수 중 왕벚나무와 쥐똥나무를 공시하여 SO$_2$의 처리농도를 달리했을 때 각 수준에 의한 수피산도, 엽중산도 및 엽내 수용성 황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SO$_2$가 수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왕벚나무와 쥐똥나무의 각 농도별 수피산도는 전체적으로 SO$_2$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pH는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SO$_2$ 농도별 처리에 따른 수피산도 증가율 변화에 있어서는 왕벚나무가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고, 4.0 pp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쥐똥나무에 비해 수피산도에 대한 상대적 감수성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농도별 엽중산도는 수피산도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SO$_2$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엽중산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구의 경우 공시목의 엽내 수용성황 함량 분석결과는 쥐똥나무(0.0105%)가 왕벚나무(0.0056%)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공시목 2개 수종 모두 SO$_2$ 가스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엽내 수용성 황 함량이 증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문홍, 1975: 수목의 아황산가스 패해에 관한 연구. 임시연보, 22, 31-36.
  2. 김창호, 황유철, 임경빈, 1992: 대기오염이 전주-군산간 국도 변 왕벚나무에 미치는 영향(I)-수용성황, Pb, Cd, 함유량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81(2),117-123.
  3. 과학기술처, 1987:대기오염과 산성우가 삼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pp.78
  4. 이임균, 김영채, 1994: 아황산가스 및 ABA 전처리가 침엽수 유묘의 생장피해와 생리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83(3), 331-343.
  5. 정 권, 1988: 서울시내 가로수의 수용성 유황함량 조사연구(제4보). 서울특별시 보건환경연구원보, 24, 456-462.
  6. 차윤정, 이경준, 1991: 도심지역의 아황산가스에 의한 대기오염과 수목엽내의 수용성 유황 함량 및 수피산도와의 관계. 한국임학회지, 80(3),279-286.
  7. 竹原秀雄, 1969: 大氣汚染硏究. 4, 134.
  8. 作物分析委員會 編, 1975: 栽培作物分析法. 養賢堂, pp.606.
  9. 千葉成, 1973: 不良環境不 綠花 關係 硏究(II), 主要 錄花樹木 時間別 耐性化較, 第34回 日林講, 410-413.
  10. 前野道雄, 1973: 大氣汚染植物被害眞集. 日本公衆衞生協會, 6-15.
  11. Darrall, N. M., 1989: The effect of air pollutants on physiological processes in plant. Plant, Cell and Environment, 12, 1-30.
  12. Derwent, R. G., 1990: The long range transport of ozone within Europe and its control. Environmental Pollution, 63, 299-318.
  13. Hamashima, S., 1974: Relationship between damage of pine tree and air pollution by sulfur dioxide.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4(3), 226-228.
  14. Yunus, M., N. Singh and M. Ipbal. 1996: Global status of air Pollution, Plant response to air pollution. John Wiley & Sons, West Sussex, 1-34.
  15. Kangasjarbi, J., J. Talbinen, M. Utrianen, and R. Karjalainen, 1994: Plant defence systems induced by ozone. Plant, cell and Environment, 17, 783-794.
  16. Solberg, R. A. and D. F. Adams, 1956: Histological responses of some plant leaves to hydrogen fluoride and sulfur dioxide. American Journal of Botany. 43, 755-760.
  17. WHO / UNEP / GEMS, 1988: Assessment of Urban Air Quality. Geneva.
  18. WHO / UNEP, 1992: Urban Air pollution in Megacites of the world. World Health Organization /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Blackwell. Oxf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