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king loss rate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19초

양배추 분말 첨가가 제빵 적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bbage Powder on Baking Properties of White Breads)

  • 이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74-680
    • /
    • 2010
  • 양배추 분말을 첨가한 건강 기능성 식빵을 제조하기 위해 밀가루에 양배추 분말을 2.5%~10% 첨가하여 반죽에 대한 물성, 제빵적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첨가한 양배추 분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색도는 L값은 유의적으로 저하하였고, a값과 b값은 양배추의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양배추 분말의 첨가에 의해 반죽의 pH값과 제조한 빵의 무게는 증가하였고, 빵의 부피와 비용적 및 굽기 손실률은 감소하였다. 양배추 분말을 첨가하는 양을 증가시킬수록 경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대조구와 2.5%, 5.0% 첨가구 간에는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맛에서 대조구의 기호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양배추 분말을 제빵공정에 첨가하는 것은 빵의 색, 부피 등 식빵의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대조구와 비교했을 때 식빵 제조시 양배추를 5%까지 첨가하는 것은 관능적 특성에는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어린 감 과실 분말 첨가가 쌀쿠키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oung persimmon fruit powder on rice cookie quality)

  • 성종환;박한솔;정헌식;김동섭;김한수;이영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060-1066
    • /
    • 2017
  • 어린 감 과실의 활용과 쌀쿠키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밀가루나 글루텐 무첨가 쌀쿠키의 품질특성에 어린 감 분말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쌀쿠키는 쌀가루 대비 감 분말을 0, 1.5, 3, 6 및 12%를 각각 첨가하여 반죽을 한 다음 두께 3 mm 직경 35 mm 원판으로 성형한 후 $170-180^{\circ}C$ 오븐에서 굽고 그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손실률과 퍼짐성 지수는 감 분말첨가량에 따라 증가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는 감 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높아짐을 나타내었다. 색도 $L^*$값과 $a^*$값은 감 분말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증가됨을 보였다. 총페놀 함량과 DPPH 유리기 소거능은 감 분말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DPPH 유리기 소거능은 첨가량 3%에서 큰 폭으로 증가함을 보였다. 따라서 어린 감 과실 분말첨가가 쌀쿠키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이 확인되었고, 쌀쿠키의 일반 품질특성 저하 없이 항산화능 증대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감 분말의 첨가량은 3% 정도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기자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ycii fructus Powder added Sponge Cake)

  • 신길만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3-75
    • /
    • 2015
  • 본 연구는 당뇨병, 신경마비 증세 등에 효과가 있는 구기자 분말을 10~40%씩 각각 첨가하였다. 스펀지케이크의 반죽의 비중, pH, 부피, 무게, 색도, 조직감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비중과 무게측정 결과, 대조군의 비중은 0.46, 무게는 139.3 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구기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높이는 대조군이 5.02 cm, 부피는 340.67 mL, 비용적은 $2.47cm^3/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0% 첨가 구까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났다. 색도는 L(명도)는 대조군이 78.3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0% 첨가군이 35.56로 가장 낮게 나타냈다. b(황색도)는 대조군이 27.38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40% 첨가군이 38.27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구기자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a,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게 나타났다. 조직감인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은 대조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구기자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관능검사는 맛(taste), 종합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bility)에서 구기자 분말 10% 첨가군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실험을 통해 구기자 분말 10%를 첨가하면 건강 지향적인 측면을 고려한 스펀지케이크 상품으로 개발이 가능한 적절한 배합비로 사료되었다. 또한, 이 실험을 기초로 하여 적당량을 구기자를 첨가한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제과제빵, 식품에 사용 가능한 적합한 배합비를 찾아내 제조 실험을 해야겠다고 판단된다. 그 결과로 더욱 맛있고 질이 좋은 구기자 첨가 제품의 상품화를 추구하는 연구를 계속할 생각이다.

제조방법별 솔잎추출물을 이용한 제빵 적성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 김은주;김수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42-547
    • /
    • 1998
  • 제조방법별 솔잎추출물의 기능성 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솔잎추출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밀가루를 기준으로 각각의 추출물은 12.4%, 31%, 43.4%, 62%함유)한 dough의 pH, 1차 발효 후의 dough의 pH, dough부피, 제품의 부피, 굽기손실율, hardness,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가스 발생량을 높여 제품부피 향상에 연관이 있는 dough의 pH는 CPNP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mixing 직후의 반죽과 1차 발효 후의 dough pH도 CPNP가 가장 낮게 나타났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dough부피는 각 첨가구마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제품부피도 추출물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70%와 100% 첨가구에서는 무첨가구보다 다소 높은 경향을 보여, 가스량 발생을 좌우하는 dough의 pH가 제품부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굽기손실율은 추출물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가스 발생량이 높았고 반죽과 제품부피가 컸던 CPNP에서 가장 높은 손실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분의 노화와 관계있는 hardness는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20% 첨가구에서는 CPNP가 무첨가구보다 다소 낮은 경향이었으나, 50%, 70%, 100% 첨가구에서는 무첨가구와 CPNP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솔잎추출물 첨가량과 관능검사와의 관계는 0일보다 7일간 저장한 후 맛과 조직감이 떨어지는 경향이었고, 50% 이상 첨가한 FPN의 조직감은 7일간 저장하여도 약간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제품의 솔향 강도는 제조방법에 관계없이 추출물의 첨가가 많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 PDF

단백질가수분해효소를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Addition of Protease)

  • 윤성준;조남지;문성원;김미숙;이영승;윤옥현;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761-766
    • /
    • 2015
  • 아밀로그램 특성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단백질가수분해효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고점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냉각 후 점도 역시 $850.2{\pm}10.03{\sim}830.4{\pm}8.88B.U.$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비중과 pH 및 굽기 손실률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높이는 대조군이 $4.24{\pm}0.18cm$, 단백질가수분해효소 첨가구가 $4.84{\pm}0.09{\sim}5.06{\pm}0.11cm$ 정도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비용적은 대조군 $3.53{\pm}0.06cc/g$과 비교하여 $3.66{\pm}0.13{\sim}4.21{\pm}0.02cc/g$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계란단백질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을 가수분해하여 반죽이 연화되고 윤활성이 증가하여 최종제품의 부피, 기공, 색상 및 품질이 향상되었다는 연구 결과(16)와 유사하였으며 crust의 적색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경도는 대조군의 0일차가 $323.96{\pm}30.84$였고, 실험군은 $324.36{\pm}28.53{\sim}280.08{\pm}26.66$으로 감소하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2일차의 경도는 PC-2가 $420.64{\pm}43.46$, PC-3이 $393.79{\pm}34.64$, PC-4가 $373.35{\pm}30.82$로 대조군의 $456.01{\pm}37.64$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관능검사는 껍질색과 내부 색상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맛, 향, 조직감, 촉촉한 정도, 식감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스펀지케이크에 단백질가수분해효소를 첨가하면 부피, 높이, 비용적에 영향을 주어 부피가 증가하고 품질 개선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마늘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Garlic Powder)

  • 홍순영;신길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85-491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pan breads with garlic powder. Three different powder concentration levels of 1%, 2% and 3% were added to flour to make the breads. The contents of moisture and crude fat of the breads added with garlic powder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However, ash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The pH increased with increasing garlic powder concentration. The weight of breads increased with increasing garlic powder concentration, while the volume and baking loss rate of breads decreased. In color values, with increase of garlic powder concentration, L value decreased, but a and b values increased. The water activity in the breads decreased by increasing garlic powder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control group. In the texture analyzer measurement, hardness of the breads increased with increases of garlic powder concentration, but springiness decreased. In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the quality of the 1% garlic powder breads showed the highest in tast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color, appearance, mouth feel and texture of the breads decreased with the increasing garlic powder content.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white breads with 2% garlic powder content was shown to have the best quality.

녹차빵의 품질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Bread)

  • 김정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657-661
    • /
    • 1998
  • Green tea powder (3%, 6%, 9%) was added to green tea bread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bread were investigated. A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pH of the dough, the pH of control was 5.6 and the pH of the investigated. A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pH of the dough, the pH of control was 5.6 and the pH of the samples were 5.34, 5.29 and 5.26 each. As it is seen above,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the pH of the three different dough. Therefore, it could be that the pH of the dough doesn't really affect on the volume of the bread. As the amount of the green powder was changed, the weight of bread, volume of bread, baking loss rate, the color of the surface, the tenderness of the crumb were affected. The 9% of the green powder gave the most distinguishable affect on these factors. As the amount of thee green tea green tea powder caused the change of color. The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addition of the green tea powder affected significantly on the quality of the bread. Considering the result of the test, 3% of the green tea powder bread is the best for the production of the bread.

  • PDF

홍게(Chionoecetes japonicus) 다릿살 분말을 첨가한 마들렌의 제조 및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ocessing of Madeleine Containing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aus Leg-Meat Powder)

  • 김병목;정민정;전준영;김동수;정인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77-284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deleine combined with lyophilized red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leg-meat powder (CM). The madeleine was prepared by the addition of wheat flour containing 0, 1, 5, 10, 15 and 20% concentrations of CM. Moisture content, pH, and baking loss rat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groups. Light color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le red and yellow color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le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adhesiveness did not differ from CON (madeleine containing 0% CM). In terms of sensory characteristics, appearance and color did not differ compared to CON, while taste, flavor and overall preference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CM10 having the highest score among the groups. The present study assesses the potential of this improved formula as a convenience food.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aprika Powder)

  • 최순남;김현정;정남용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39-846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paprika powder on bread quality. Breads were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0%, 2.5%, 5.0%, 7.5% and 10.0% of paprika powder based on wheat flour. The weight of breads with paprika powder ranged from 526.5~537.3 g; that of the control was 525.0 g. The volume of the breads prepared by adding paprika powder was 1946.1~2114.3 mL, whereas that of the control was 2144.4 mL. The height, specific volume and baking loss rate of breads with added paprika powder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aprika powder. The hard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and chewines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paprika powder. The Hunter L values of breads decreased, whereas a and b values increased. The sensory quality of the paprika powder breads tested by color, moistness and chewiness was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In particular,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bread with the addition of 5.0% paprika powder had the best quality.

쌀가루 첨가량을 달리한 당귀파운드케이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 Containing Angelica gigas NAKAI with Various Levels of Rice Flour)

  • 안상희;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63-771
    • /
    • 2012
  •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und cakes containing Angelica gigas NAKAI(Korean Angelica) with various levels of rice flour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ecific gravity of dough, and it had the lowest value of 0.848 in the control group. The weight of pound cak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ddition of rice flour, but the volume, specific volume and baking loss rat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addition of rice flour. The moisture content and pH of pound cakes were fou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rice flour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ntrol group was 51.02%, whereas pound cakes with rice flour ranged from 51.90~55.75%. The L value of brightness was increased, but a and b value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addition of rice flour. In all of items of texture, the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pound cakes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rice flour. Sensory evaluation scores in terms of appearance,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for pound cakes showed that 50% and 75% substituted sample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dition of 50~75% rice flour is the best substitution ratio for Korean Angelica pound cak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