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g net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초

쌍끌이 기선저인망의 유수저항 특성 및 모형 실험시의 축척비 영향 (Flow resistance of bottom pair trawl nets and scale effect in their model experiments)

  • 김대진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2호
    • /
    • pp.203-21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w resistance of the bottom pair trawl nets. The bottom pair trawl nets being used in fishing vessel (100G/T, 550ps) was selected as a full-scale net, and 1/10, 1/25 and 1/50 of the model nets were made. Converted into the full-scale net by Tauti's modeling rule and Kim's modeling rule, when resistance coefficient k of each net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into above equation for flow resistance R and wall area of nets S values of each net ${\upsilon}$. Because resistant coefficient k decreases exponentially according as flow velocity ${\upsilon}$ increases to make $k=c{\upsilon}^{-m}$, c and m values of each net were compared. As a result, as the model was smaller, c and m values was smaller in the two rule into standard of 1/10 model value, decrease degree of 1/25 model was almost same in the two rule, decrease degree of 1/50 model was very big in Tauti's modeling rule. Therefore, in the result of experiment, because average of c and m values for similarly 1/10 and 1/25 model were given $c=4.9(kgf{\cdot}s^2/m^4)$ and m=0.45, R (kgf) of bottom pair trawl net could show $R=4.9S{\upsilon}^{1.55}$ using these values. As in the order of cod-end, wing and bag part for 1/25 and 1/50 model net were removed in turn, measured flow resistance of each, converted into the full-scale, total resistance of the net and the resistance of each part net were calculated. The resistance ratio of each part for total net was not same in 1/25 and 1/50 model each other, but average of two nets was perfectly same area ratio of each part as the wing, bag and cod-end part was 43%, 45% and 12%. However, the resistance of each part divided area of the part, calculated the resistance of per unit area, wing and bag part were not big difference each other, while the resistance of cod-end part was very large.

모형실험에 의한 트로올 어구의 성능 (Efficiency of Trawl Net by the Model Experiment)

  • 염말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4
    • /
    • 1984
  • 트로올어구의 예인속도와 그물의 저항 및 그물높이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모형의 크기가 유사한 2매형, 4매형 및 6매형 모형 트로올 어구를 제작하여 정지수조(길이 60m, 폭 4m, 깊이 3m)에서 예인장치를 이용하여 모형실험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그물저항은 4매형의 경우 예인속도의 1.75승에, 나머지의 경우 $1.96{\sim}l.98$승에 비례하였다. 2. 그물높이는 6매형의 경우 예인속도의 -0.83승에, $2{\sim}4$매형의 경우 $-0.72{\sim}-0.73$승에 비례하였다. 3. 예인중 전개상태는 예인속도가 $1.0{\sim}1.5kts$(실물어구의 예인속도)이하에선 그 상태가 나쁘고 $3{\sim}3.5kts$ 부근에서 가장 좋았다. 또 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자루그물 뒷 부분과 codend 부분의 상승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기선기현강의 연구 1, 재래식 어구의 유구저황과 그물꼴에 관하여 (STUDY ON THE ANCHOVY BOAT SEINE 1. On the Hydrodynamic Resistance and Performance of the Conventional Gear)

  • 이병기;양룡림;서영태;손부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3_4호
    • /
    • pp.79-91
    • /
    • 1971
  • 자루 입구의 둘레가 력자망지 150골(75m)되는 권현망어구의 $\frac{1}{10}$ 크기의 모형을 제작하여, 어구의 유분저항과 린망중의 그물꼴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형 어구로부터 환산된 실물어구의 유분저항은 (R은 kg, v는 m/sec) 전저항 $$R_1=30,000\;v^{1.2}\;(0.2{\leqq}v{\leqq}1.0)$$ 자루 저항 $$R_2=16,000\;v^2\;(0.2{\leqq}v{\leqq}0.6)$$ 2. 예망중의 그물꼴은 (1) 오비기(extension wing) 발줄의 전 길이 중, 앞 끝부터 약 $70\%$ 까지는 직선상으로 깊어지며, 해저에 나란한 부분은 안쪽 약 $30\%$ 정도이다. (2) 수비(inside-wing)의 마깥 언저리는 예망속도가 0.2 m/sec이상 되면, 자루와 수비의 연결부 보다 더 뒤로 쏠려서, 어군을 자루로 유도하는 데 합리적인 형상이 아니다. 이것을 시정하기 위해서는, 수비의 깊이 방향의 코스를 $\frac{1}{2}\~\frac{2}{3}$ 정도로 줄이거나, 또는 그물코의 크기를 그런 정로로 줄임과 동시에, 자루 입구에서 오비기 발줄로 가는 힘줄을 넣어서 수비에는 예망장력이 적게 미치도록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3) 앞치마(lower bosom)는 예망속도가 0.2m/sec이상 되면, 뒤끝치 들어 올려져서 수심이 깊은 어장에서는 수비에까지 유도된 어군도 이리로 해서 도피할 우려가 있다. (4) 문턱(upper bosom)의 계관 상의 경사 각도는 $35\~40^{\circ}$이다. 이것은 어군을 자루그물로 유도하게 유도하기에는 너무 크다고 보아진다. 따라서, 문턱은 좀 더길게 해서 경사 각도를 작게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5) 자루(bag net)의 모양은 예망속도가 0.2m/sec 이상 되면, 뒤쪽이 앞쪽보다 좁아져서, 구성상 앞쪽보다 뒤쪽을 넓게한 의도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자루 그물은 전체 모양이 길다란 원통형이 되게 구성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 PDF

권현망어구의 전개성능 (The Opening Efficiency of Anchovy Boat Seine)

  • 안영수;장충식;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3권2호
    • /
    • pp.118-131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권현망의 축소, 개량을 전제로 현행 어구를 2/1로 축소하여 해상실험을 행하였다. 실험에서는 양선간격을 100m, 200m, 300m의 3단계로, 예망속도를 0.6k't. 0.9k't, 1.2k't의 3단계로, 변화시켜가며 오비기, 수비, 자루그물, 깔대기 등의 망고를 계측하여 어구의 전개성능을 파악하였으며, 끌줄의 예망장력도 계측하여 어구어법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예망중 권현망의 날개에서의 망고는 수비에서 순조시 12.0~8.7m, 역조시 10.0~7.0m로 오비기에서 순조시 19.8~8.4m, 역조시 16.3~4.9m로 나타났다. 이들 망고는 예망속도와 양선간격의 증가에 따라 점차 낮아지며, 오비기와 수비에서 각각 정상적인 전개의 16%~66%, 18%~32% 정도를 나타내었다. 2. 자루에서의 망고는 입구에서 순조시 12.8~7.9m, 역조시 9.7~7.4m로, 깔대기에서 순조시 5.1~3.4m, 역조시 5.1~4.4m로 나타났으며, 입구에서의 망고는 정상적인 전개의 57%~98% 정도로 전개되었다. 이때 깔대기 망형상은 원형에 가까우나 예망속도가 저속일 때에 위쪽으로 떠오르는 경향을 보였다. 3. 자루의 형상은 자루뒤끝의 망고가 순조시 9.3~7.1m, 역조시 8.8~7.4m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자루뒤끝이 크게 끌어 올려지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이 현상은 예망속도가 느릴수록 양선간격이 좁을수록 더 두드러졌다. 4. 예망장력은 순조시 648~2,716kg, 역조시 1,050~6,010kg으로 나타났으며, 예망속도가 예망장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어구의 예망수층은 예망속도 및 양선간격이 증가할수록 안정되며, 예망속도가 느리고 양선간격이 좁을수록 불안정하여 자루뒤끝이 들리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 PDF

연안의 수중소음 분석에 관한 연구 (The Underwater Noise in the Coastal Seas)

  • 윤갑동;박해훈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2권3호
    • /
    • pp.36-41
    • /
    • 1986
  • Uederwater ambient noise was measured at the set net in the Neung-Po Eay. Th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depend upon oceanographic conditions of sound propagation and its implication on the source of ambient noise. The results of measurement and analysis were as follows: 1. The frequency of the maximum noise level of two passenger. vessels was around 300 Hz. The spectrum level of the fast vessel (the Air-Ferry) was lower than the little slow vessel (the Olympic) between 50-150 Hz in frequences. 2. The spectrum level of the surface in the playground of the set net was lower than the deeper water till 500 Hz, but over that frequency the level was getting lower as the depth was deep. 3. The spectrum level outside the bag of the set net was greater than the inside between 50 and 700 Hz, but over 1,500 Hz the level inside the bag was higher than the outside. 4. The spectrum level of the outside of the breeding tank was higher than the inside in the daytime. However at night opposite phenomenon occurs.

  • PDF

인망그물의 자동전개깃판에 관하여 (Net Mouth Automatic Opening Strips of Towed Net)

  • 장지원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4권1호
    • /
    • pp.17-21
    • /
    • 1988
  • 인망그물의 어획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철골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Fig.1과 같은 규격의 부드러운 나일론 천으로 단엽.복엽의 모형 전개깃판을 제작하여 유향과 이루는 영각별 유수저항과 양력을 측정 조사하였고, 이 전개깃판을 그물에 부착하였을 때의 어구의 동적 특성을 모형으로 시험하였다. 또 복엽 전개깃판에 의한 어구의 자동전개조 건에 관해서도 아울러 조사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엽전개깃판이 유향과 이루는 각도가 $30^{\circ}일$ 때 최소의 유수저항으로 최대의 양력을 얻을 수 있었다. 2. 안쪽 전개깃판은 $30^{\circ},$ 바깥쪽 전개깃판은 $40^{\circ}의$ 영각이 되도록 복엽 전개깃판을 구성하였을 때 수중 동태가 가장 안정되었고 Fig.1의 (a)와 (c)를 내외 전개깃판으로 하였을 때 최소의 유수저항으로 최대의 양력을 얻을 수 있었다. 3. 유속이 0.4m/sec 일 때 단엽 전개깃판과 복엽 전개깃판의 유수저항은 각각 모형 어구 전체저항의 27% 및 38%를 차지하였다. 4. 모형어구의 자동전개는 두깃판의 전연쪽은 6cm, 후연쪽은 3cm의 간격을 갖고 바깥쪽 전개깃판으 후연을 안쪽 전개깃판의 2/3되는 곳에 고정하고, 바깥쪽 전개깃판의 고삐줄은 전연쪽 간격의 3배 이상으로 길게 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여수 낭도 연안에서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easonal Fluctu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Long-bag Stow Net in Nang-island, Yeosu)

  • 유태식;윤병일;김준;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1-96
    • /
    • 2020
  • 여수 낭도 연안에서 낭장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연구하기 위해 2017년에 계절별로 4개의 정점에서 진행하였다. 어획된 어류는 총 9목 26과 37종, 10,208개체가 어획되었다. 농어목이 11과 16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우점종은 멸치(4,886개체, 47.9%), 보구치(842개체, 8.2%), 준치(369개체, 3.6%) 순이었다. 다양도는 1.24~3.23 범위를 보이며 5월이 가장 높았고, 우점도는 22.4~78.7% 범위를 보이며 11월이 가장 높았다.

음향 텔레메트리에 의한 정치망 원통의 체적 변화 해석 (Analysis on the volume variation of bag-net in set-net by acoustic telemetry)

  • 태종완;신현옥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2호
    • /
    • pp.115-125
    • /
    • 2004
  • 장기선 방식의 무선부이식 3차원 수중 위치 측정 시스템을 적용하여, 유향 및 유속에 따른 정치망 원통의 체적 변화를 구명하기 위한 현장실험을 2003년 4월 10일부터 4월 23일까지 자란만의 정치망에 대해서 실시하였다. 현장 실험에서 사용한 총 7개의 핑거 중 6개는 원통의 길이 방향에 부착하였고, 나머지 1개는 해저에 고정시켰다. 그리고, 유향 및 유속을 측정하여 정치망 원통의 체적변화를 조석 주기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형 가두리의 고정점에서 핑거의 x축, y축, Z축에 대한 위치오차는 0.2m, 0.4m, 0.1m로 나타났고, 평면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y축 방향의 오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핑거의 위치가 수파기를 잇는 기선 혹은 내부에 있기 때문에 위치오차가 작았고, 따라서 체적계산에 적용한 오차도 작았다. 2. 소조기 2003년 4월 11일(음력 3월 10일) 원통 의 체적 최소, 최대는 각각 4,173$m^3$, 4,757$m^3$으로 나타났고, 이 때의 유향 및 유속은 99.9$^{\circ}$, 12.9cm/s, 104.0$^{\circ}$, 2.4cm/s이었다. 원통 체적의 최대 변화폭은 584$m^3$으로 나타났다. 3. 대조기 2003년 4월 17일(음력 3월 16일) 원통의 체적 최소, 최대는 각각 2,016$m^3$, 4,454$m^3$으로 나타났고, 이 때의 유향 및 유속은 315.6$^{\circ}$, 16.1cm/s, 289.0$^{\circ}$, 5.7cm/s이었다. 원통 체적의 최대 변화폭은 2,438$m^3$으로 나타났다. 4. 조석주기에 따른 원통의 최대 변화폭은 소조에서 대조로 변하는 4월 11일부터 16일(2,579$m^3$)에 비하여 대조에서 소조로 변하는 4월 17일부터 20일 (3,552$m^3$)이 약 1.4배 이상이었다.

한국 완도해역 낭장망 어업의 어획량 변동과 수온의 영향 (Fluctuation of Bag-net Catches off Wando, Korea and the Effect of Sea Water Temperature)

  • 김진구;최옥인;장대수;김주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97-503
    • /
    • 2002
  • 우리나라 남$\cdot$서 해역에 위치한 완도 해역에서 1999$\~$2001년 3년간 낭장망에 의한 어획량 변동과 수온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완도 해역 수온은 1999년과 2001년에는 7$\~$10월 동안 $20^{\circ}C$ 이상을 유지하였으나, 2000년에는 8$\~$9월에만 $20^{\circ}C$ 이상으로 전년과 달리 저수온현상을 보였고, 인공위성 사진을 통하여 우리나라 남$\cdot$서 해역에 강한 전선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완도해역에서 출현한 어류는 73종으로 치어 및 유어가 대부분이었고, 이들 중 앞동갈베도라치, 양태, 전어, 민동갈돔류, 밀복류의 5종은 조석전선이 강하게 발달한 2000년에는 출현하지 않았다. 완도수협 멸치 생산량은 1999년 1,000톤, 2000년 620톤, 2001년 1,056톤으로 7$\~$8월부터 증가 경향을 보이며, 8$\~$10월에 최대를 나타내었다.

안강망어구의 모형실험 (MODEL EXPERIMENT OF STOW NET)

  • 고관서;김용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01-207
    • /
    • 1979
  • 재래식 안강망 어구를 축소비 1/40로 줄여서 전개 장치를 한 모형어구에 대하여 회류수조에서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모형어구의 저항은 수해와 암해르 부착했을 때 $R=1.66V^{1.02}$, 수해를 떼어내고 전개건과 뜸을 달았을 때 $R=3.11V^{1.54}$ (R:kg, V:m/sec)이며 실물에서 유속 1m/sec일 때 저항은 각각 5.2ton, 6.8ton정도이다. 2) **고는 모두직선적으로 감소하여 재래식에서는 h=89.22-2.42(V-15), $(V\geqq15)$, 전개건과 뜸을 달았을 때 h=89.20-0.87V, (h:cm V:cm/sec)이며 이것은 실물에서 유속 1m/sec일 때에도 **고는 약 20m 정도가 된다. **폭은 전개건줄의 길이로 조성할 수 있다. 3) **구의 단면적은 저속일 때는 비슷하나 유속 0.25m/sec 이상에서 전개건을 달았을 때가 월등히 증가하여 실물에서 유속 1.0m/sec일 때 약 $736m^2$가 된다. 어획효율도 단면적에 비례하므로 전개건을 달았을 때 그 효율은 1.53 이 된다. 4) 재래식 안****은 유속의 증가에 따라 옆판에 주름이 너무 많이 생기므로 적당한 성형율과 사단방법이 필요하다. 5) 전개건은 숫걸리줄, 암걸리줄 및 전개건줄의 길이와 그 결부위치의 조성으로 **고, **폭 및 **형을 어느정도 조성할 수 있으며, 정조시 전개건과 그 물이 어떤 상태에 있더라고 유속과 유향의 변화가 생기면 항상 전개력을 나타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