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reduction

검색결과 486건 처리시간 0.036초

Electron Beam 조사에 의한 인삼분말의 살균효과 (Sterilizing Effect of Electron Beam on Ginseng Powders)

  • 이미경;이무하;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62-1366
    • /
    • 1998
  • 전자가속기(electron accelerator)에서 발생되는 electron beam을 이용하여 인삼분말류에 대한 새로운 살균기법을 확보할 목적으로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백삼 및 홍삼분말을 시료로 하여 그 살균효과를 감마선 조사법과 비교하였다. 백삼 및 홍삼 분말의 미생물 농도는 총세균이 $10^5\;CFU/g$ 수준이었고, 대장균군(coliforms)은 백삼분말에서는 시료 g당 $10^3\;CFU$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홍삼분말에서는 음성으로 나타났다. Electron beam 조사에 따른 오염미생물의 살균효과는 호기성 총세균이 7.5 kGy, 곰팡이 및 대장균군이 2.5 kGy 이하의 조사선량으로써 미생물의 농도를 검출한계 이하로 살균시킬 수 있었고, 실온에서 4개월 간 저장후에도 미생물의 생육은 없었다. 초기 오염 총세균의 농도를 90% 사멸시키는데 필요한 조사선량($D_{10}$값), 즉 총세균의 방사선 감수성을 확인해 본 결과, 전자선은 $2.85{\sim}3.75\;kGy$, 감마선은 $2.33{\sim}2.44\;kGy$ 범위로 시료의 미생물 농도와 에너지의 종류에 따라 다소 다른 값을 나타내었으나 전자선은 감마선과 유사한 살균력을 나타내어 실용 가능성이 인정되었다.

  • PDF

양송이배지로부터 분리한 두 Burkholderia 속 세균에 의한 인산가용화 효과 (Phosphate solubilizing effect by two Burkholderia bacteria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bed)

  • 오종훈;김영준;윤민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8-213
    • /
    • 2020
  • 양송이배지로부터 분리한 인산가용화균 Burkholderia contaminans PSB-A와 Burkholderia ambifaria PSB-B의 단일접종 및 동시접종에 따른 인산가용화 능력의 시너지 효과 및 상추생육효과를 조사하였다. 인산캄슘이 함유된 NBRIP 액체배지에 분리균을 접종하고 해리된 가용인산(soluble phosphorus)함량을 HPLC에 의해 분석하여 인산가용화능을 측정한 결과, 배양 3일차에 동시접종구 166.3 ㎍ mL-1, B. contaminans 143.7 ㎍ mL-1, B. ambifaria 127.1 ㎍ mL-1의 순으로 나타나 두 종의 인산가용화세균간의 동시접종에 의한 시너지효과가 다소 관찰되었다. 배지 내 pH 와 잔류 glucose 함량 변화도 모든 접종구에서 배양 1 - 3일 후 pH 7.0에서 pH 4.0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glucose 함량은 초기 10 mg mL-1 에서 4.3 mg mL-1 수준으로 검출되어 인산가용화능과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배양여액의 유기산 분석결과 gluconic acid 약 12.3 mg mL-1 와 malic acid 약 7.9 mg mL-1 수준으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결과적으로 두 세균이 분비하는 유기산이 배지의 pH를 감소시키고, 인산 가용화를 유도하는 주요 원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접종 4주 후 상추 생육차이를 조사한 결과, TCP를 첨가하지 않은 B. contaminans 접종구, B. ambifaria 접종구 와 동시 접종구에 비해 TCA 첨가한 모든 처리구에서 약 7-9% 수준의 생육증진효과가 보였으나, 단일접종과 동시접종구간에 유의수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Portulaca oleracea Seed Oil Exerts Cytotoxic Effects on Human Liver Cancer (HepG2) and Human Lung Cancer (A-549) Cell Lines

  • Al-Sheddi, Ebtesam Saad;Farshori, Nida Nayyar;Al-Oqail, Mai Mohammad;Musarrat, Javed;Al-Khedhairy, Abdulaziz Ali;Siddiqui, Maqsood Ahmed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8호
    • /
    • pp.3383-3387
    • /
    • 2015
  • Portulaca oleracea (Family: Portulacaceae), is well known for its anti-inflammatory, antioxidative, anti-bacterial, and anti-tumor activities. However, cytotoxic effects of seed oil of Portulaca oleracea against human liver cancer (HepG2) and human lung cancer (A-549) cell lines have not been studied previously.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ytotoxic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seed oil on HepG2 and A-549 cell lines. Both cell lines were exposed to various concentrations of Portulaca oleracea seed oil for 24h. After the exposure, percentage cell viability was studi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neutral red uptake (NRU) assays, and cellular morphology by phase contrast inverted microscopy. The results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percentage cell viability and an alteration in the cellular morphology of HepG2 and A-549 cells. The percentage cell viability was recorded as 73%, 63%, and 54% by MTT assay and 76%, 61%, and 50% by NRU assay at 250, 500, and $1000{\mu}g/ml$, respectively in HepG2 cells. Percentage cell viability was recorded as 82%, 72%, and 64% by MTT assay and 83%, 68%, and 56% by NRU assay at 250, 500, and $1000{\mu}g/ml$, respectively in A-549 cells. The 100 $100{\mu}g/ml$ and lower concentrations were found to be non cytotoxic to A-549 cells, whereas decrease of 14% and 12% were recorded by MTT and NRU assay, respectively in HepG2 cells. Both HepG2 and A-549 cell lines exposed to 250, 500, and $1000{\mu}g/ml$ of Portulaca oleracea seed oil lost their normal morphology, cell adhesion capacity, become rounded, and appeared smaller in size. The data from this study showed that exposure to seed oil of Portulaca oleracea resulted in significant cytotoxicity and inhibition of growth of the human liver cancer (HepG2) and human lung cancer (A-549) cell lines.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pH on Fermentation Pattern and Methane Production in the Rumen Simulating Fermenter (RUSITEC)

  • Bhatta, R.;Tajima, K.;Kurihara,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3호
    • /
    • pp.376-380
    • /
    • 2006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in vitro nutrient degradability, volatile fatty acid profile and methane production. The fermenter used was the semi-continuous system, known as the rumen simulation technique (RUSITEC). Sixteen cylinders were used at one time with a volume of 800 ml, the dilution rate was set at 3.5%/hour, the infused buffer being McDougall's artificial saliva. Basal diet (9.6 g DM) used in RUSITEC consisted of (DM) 6.40 g Timothy hay, 1.86 g crushed corn and 1.34 g soybean meal. The food for the fermentation vessel was provided in nylon bags, which were gently agitated in the liquid phase. The experiment lasted for 17 d with all the samples taken during the last 5 d. Treatments were allocated at random to four vessels each and were (1) two temperature levels of $39^{\circ}C$ and $41^{\circ}C$ (2) two pH levels of 6.0 and 7.0. The total diet contained ($g\;kg^{-1}$ DM) 957 OM, 115 CP and $167MJ\;kg^{-1}$ (DM) GE. Although increase in temperature from $39^{\circ}C$ to $41^{\circ}C$ reduced degradation of major nutrients in vitro, it was non-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temperature with pH also reflected a similar trend. However, pH showed a significant (p<0.05) negative effect on the degradability of all the nutrients in vitro. Altering the in vitro pH from 7 to 6 caused marked reduction in DMD from 60.2 to 41.8, CPD from 76.3 to 55.3 and GED from 55.3 to 35.1, respectively. Low pH (6) depressed total VFA production (61.9 vs. 34.9 mM) as well as acetate to propionate ratio in vitro (from 2.0 to 1.5) when compared to pH 7. Compared to pH 7, total gas production decreased from 1,841 ml to 1,148 ml at pH 6, $CO_2$ and $CH_4$ production also reduced from 639 to 260 ml and 138 to 45 ml, respectively. This study supported the premise that pH is one of the principal factors affecting the microbial production of volatile fatty acids and gas. Regulating the ruminal pH to increase bacterial activity may be one of the methods to optimize VFA production, reduce methane and, possibly, improve animal performance.

이산화탄소 레이저($CO_2$ laser)를 이용한 치은에 발생한 자극성 섬유종의 치료 (Treatment of Gingival Irritation Fibroma Using $CO_2$ Laser)

  • 최영찬;박주현;안형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2호
    • /
    • pp.119-122
    • /
    • 2010
  • 이산화탄소 레이저(Carbondioxide laser, $CO_2$ laser)는 구강 연조직 수술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레이저의 한 종류로 수분이 많은 연조직에 특히 좋은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수술도, 열소작술, 냉동수술, 전기수술 같은 기존의 외과적 술식들과 비교했을 때, 우수한 지혈 효과, 술 후 부종 감소, 세균집락 감소, 봉합 필요성 감소, 반흔 형성 감소, 술 후 통증 감소 같은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30세 남자가 상악 우측 구치부 협측 치은 부위에 발생한 경계가 뚜렷한 유경형 섬유성 병소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사진 검사 상 특기할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레이저를 이용한 절제 생검 계획하에 $CO_2$ 레이저(Panalas $CO5{\Sigma}$, Panasonic, 4.0W, 연속파 조사 방식)를 이용하여 보존적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병소의 절제 시 최소한의 출혈 양상으로 인해 우수한 시야 확보와 좋은 접근성을 유지할 수 있었고, 술 후 양호한 치유 경과를 보였으며, 환자는 아무런 불편감을 호소하지 않았다. 조직학적 진단은 "자극성 섬유종(Irritation fibroma)"이었다. $CO_2$ 레이저는 구강 내 병소의 외과적 치료에 적합한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있으므로, 치과의사들이 레이저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레이저를 이용한 술기에 대한 지식을 적절히 습득하여 사용한다면, 구강 연조직 질환의 효율적인 치료를 위한 좋은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티트리 에센셜오일의 생물활성 및 주요 성분 분석 (Bio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ssential oil of Tea Tree (Melaleuca alternifolia))

  • 양선아;전상경;이은정;임남경;정지영;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644-1650
    • /
    • 2008
  • 티트리 에센셜 오일은 호주 원주민들의 전통적인 피부 소독제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항균효과와 주요성분 등 많은 보고가 있으나 추출 방법이나 사용 부위 등에 따라 효능의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아로마테라피 등에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시판 티트리 오일의 성분과 효능을 평가하여, 다른 에센셜 오일과의 비교 이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티트리 오일의 주요성분은 GC-MS 분석에 의하여 ${\beta}$-terpinene (20.87%), ${\alpha}$-pinene (17.60%), p-cymene (11.23%), 3-carene (10.40%), trans-anethole (8.47%), limonene (4.65%)으로 밝혀졌으며, 5% 이하의 농도에서 3시간 미만까지는 피부세포에 독성이 없었다. 오일의 라디컬 소거능을 알아본 결과, DPPH와 ABTS의 양라디컬에 대하여 강한 소거능을 나타내어 강한 항산화능을 시사했다. 또한, 오일의 direct contact와 vapor-phase의 항균활성을 disc diffusion법으로 스크리닝 한 결과, direct contact 활성의 경우 그람음성균에 대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vapor는 S. aureus에 대하여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실제 많이 사용되는 티트리 오일의 성분과 생물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허브 오일들의 정확한 선택과 활용을 위한 기본적인 결과를 얻었다.

양돈분뇨처리에 있어서 연속폭기배양조(CABR)의 현장적용연구 (Field Application of a Continuously Aerated Bio-Reactor (CABR) for the Treatment of Swine Wastewater)

  • 이명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5-64
    • /
    • 1995
  •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광합성세균(Rhodopseudomonas capsulata)을 이용한 연속적 폭기식 생물 반응조(이하 CABR)를 이용한 무희석 양돈 분뇨의 처리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CABR를 이용하여 24시간 동안 양돈 분뇨를 폭기 처리한 결과 유입량의 40%가 증발되었고, 유입분뇨의 전체 BOD, COD중 87%, 32%가 각각 제거되었으며, 전질소(T-N), 전인(T-P)은 각각 110%, 112%로 증가되었다. CABR 배출액의 질소 형태를 분석한 결과 암모니아성 질소($NH_4-N$) 농도는 저하된 반면, 유기태 질소(Org-N)농도는 증가하였다. 양돈분뇨의 주요 BOD원이며 악취의 주요물질인 저급지방산은 CABR의 처리결과 거의 제거 되었다. 한편 CABR 배출액의 유기액비로서의 이용성을 검토하였다. CABR 배출액은 식물성장에 필요한 질소, 인산, 칼리의 함량이 비교적 균형있게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질소의 86%는 유기태질소(Org0N)로 되어 있어 완효성 비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또한 중금속의 함량도 낮아 위해성의 문제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목초)의 토경재배 실험결과 일반화학비료에 비해 생육량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질산태질소($NO_3-N$)의 작물내 함유량이 매우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CABR 배출액이 농작물 생산에 매우 적합한 유기액비로서 이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아포살균용 살균소독제 유효성 평가방법 확립 (Establishing Test Method of Sporicidal activity of Commercial Sterilants)

  • 김형일;전대훈;윤혜정;곽인신;엄미옥;성준현;박나영;원선아;배서영;이영자;김소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2-317
    • /
    • 2009
  • 세균포자는 살균소독제에 대해 영양세포보다 수백~수천배이상 저항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산화수소 및 과산화초산을 원료로 하는 아포살균용 살균소독제는 Escherichia coli 및 Staphylococcus aureus의 감소율을 측정하는 현행 살균소독제 유효성 평가방법을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아포살균용 살균속독제의 유효성 평가를 위해 Bacillus subtilis ATCC 6633 포자를 표준균주로 하여 아포살균용 살균소독제를 처리했을 때 초기포자수를 $10^3$이상 감소시키는지를 측정하는 정량적 표준시험방법을 확립하였다. 확립된 시험법은 아포살균력을 측정하는 국가표준시험법으로서 아포살균용 살균소독제의 유효성 평가에 적합하였다.

Optimization of Indole-3-Acetic production by phosphate solubilization bacteria isolated from waste mushroom bed of Agaricus bisporus

  • Walpola, Buddhi Charana;Noh, Jae-Geun;Kim, Chan Kyem;Kyung, Ki-Cheon;Kong, Won-Sik;Yoon, Min-Ho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3-62
    • /
    • 2013
  • A total of 35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waste mushroom bed of Agaricus bisporus in Buyeo-Gun, Chungnam and screened for the production of indole acetic acid (IAA). The best IAA producing strain was identified as Pantoea rodasii using 16S rRNA analysis. In addition to the IAA production, this strain could act as an efficient phosphate solubilizer (1100 ${\mu}g$ $ml^{-1}$ after 5 days of incubation) also. The selected strain was cultur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in order to assess the optimum conditions for maximum IAA production. The nutrient broth (NB) medium was recorded as the best medium, where the maximum IAA production (229 ${\mu}g$ $ml^{-1}$) was recorded at the start of stationary phase (12 hours after inoculation) of the bacteria growth. The performance of the strain was found to be maximum at the temperature of $30^{\circ}C$ followed by $25^{\circ}C$. IAA production was found to be increased with increasing tryptophan concentration (from 0.1 to 0.6%), however beyond this limit, a slight reduction in IAA production was observed. The strains' ability to produce IAA was further confirmed by extraction of crude IAA and subsequent TLC analysis. A specific spot from the extracted IAA preparation was found corresponding with the standard spot of IAA with same $R_f$ value. The results of HPLC analysis conducted in identifying and quantifying the IAA production more precisely, are in agreement with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done with colorimetric method. As revealed by the results of the pot experiment, the isolated strain could significantly enhance the growth (as measured by shoot and root growth) of mung bean plants compared to that of non-inoculated plant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esent strain, Pantoea rodasii has great potential to be used as bio-inoculants.

선인장색소 및 유산나트륨이 저 아질산염 소시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Pigment and Sodium Lactate on Nitrite-reduced Sausages)

  • 강종옥;이상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4호
    • /
    • pp.551-56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손바닥선인장 색소 및 유산나트륨이 저 아질산나트륨 소시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아질산염을 부분 대체(저감화)하고자 소시지를 제조하여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고 천연 폴리페놀이 함유된 손바닥선인장 추출 색소 첨가에 따른 소시지의 혈액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항목은 소시지의 적색도(a*), 총세균수, pH, 보수력, 조직분석, 관능검사, 쥐의 증체량 및 혈당이었으나,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인 항목은 TBA와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total, LDL, HDL) 및 중성지방이었다. 즉 TBA 값은 대조구에서,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은 처리구에서 각각 낮은 수치를 보였다(P<0.05). 그러나 처리구 중에서는 T2(30 ppm of nitrite+2% of sodium lactate+0.2% Opuntia ficus indica pigment)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30 ppm의 아질산나트륨, 2%의 유산나트륨, 0.2%의 손바닥선인장 색소의 혼합사용은 아질산나트륨의 통상 첨가량 100ppm(잔존량 70 ppm 이하)을 30ppm으로 줄여도 발색, 저장성 및 풍미에는 별문제가 없이 사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시에 혈중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이 감소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고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