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blight.

검색결과 358건 처리시간 0.033초

참다래 꽃썩음병 예방약제 최적 살포 체계 (Optimum Spray Program of Preventive Bactericides for the Control of Bacterial Blossom Blight of Kiwifruit)

  • 신종섭;박종규;김경희;정재성;허재선;고영진
    • 식물병연구
    • /
    • 제10권4호
    • /
    • pp.297-303
    • /
    • 2004
  • 참다래 꽃썩음병은 주로 항생제 살포에 의해 방제되고있다. 스트랩토마이신황산염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 농용신 쿠퍼 수화제와 옥쏘리닉에시드 수화제가 15개의 후보약제들 대상으로 한 실내시험 및 포장시험을 통하여 참다래 꽃썩음병 예방약제로 선발되었다. 참다래 꽃썩음병 방제를 위하여 스트랩토마이신황산염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와 농용신 쿠퍼 수화제의 살포적기는 개화기이고, 여러 가지 살포시기별 다양한 약제살포 조합 중에서 참다래 꽃썩음병 방제를 위한 스트랩토마이신황산염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수화제와 농용신 쿠퍼 수화제의 최적 살포 회수는 참다래 개화기인 5월 초부터 10일 간격으로 3회로 판명되었다.

수도(水稻) 백엽고병(白葉枯病)의 저항성(抵抗性) 유전(遺傳)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Varieties)

  • 최재을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91-198
    • /
    • 1977
  • 수도(水稻) 고병유전(枯病遺傳) 양식(樣式)과 백엽고병(白葉枯病) 저항성(抵抗性)과 출수기(出穗期)와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본병(本病)에 이병성(罹病性)인 TN1, IR 24를 모본(母本)으로 하고 저항성(抵抗性)인 IR 1545-339-2, IR 1544-340, IR 1698-237-2, 62-595, Kele를 부본(父本)으로 한 조합(組合)과 이병성(罹病性)인 Yushin, Milyang 23을 모본(母本)으로 하고 IR 1529-680-3, IR 28, IR 29, RP 663-337-7-8-4-1-1, RP 291-20을 부본(父本)으로 한 교배조합(交配組合)의 $F_1$$F_2$에 백엽고병균계(白葉枯病菌系) 71-23, 76-1을 접종(接種)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IR 1529-680-3, IR 28, IR 29, RP 663-337-7-8-1-1, RP 291-20, 62-595가 71-23 균계(菌系)에 의(依)한 저항성(抵抗性)은 단순우성유전자(單純優性遺傳子)에 의(依)해 교배(交配)되었다. 2. IR 1545-339-2, IR 1544-340, IR 1698-237-2 Kele가 71-23 균계(菌系)에 의(依)한 저항성(抵抗性)은 단순(單純) 열성(劣性) 유전자(遺傳子)에 의(依)해 지배(支配)되었다. 3. IR 1545-339-2, IR 1544-340, IR 1698-237-2가 76-1 균계(菌系)에 의(依)한 저항성(抵抗性)은 단순우성유전자(單純優性遺傳子)에 의(依)해 지배(支配)되었다. 4. 동일(同一)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도 사용(使用)하는 균계(菌系)에 따라 유전양식(遺傳樣式)과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도 사용(使用)하는 균계(菌系)에 따라 유전양식(遺傳樣式)과 저항성(抵抗性) 정도(程度)에 차이(差異)가 있었다. 5. 백엽고병(白葉枯病) 저항성(抵抗性)과 출수기(出穗期)와의 사이에는 아무런 관련성(關聯性)도 없었다.

  • PDF

수도 흰잎마름병 저항성 유전자 발현에 관한 연구 I. 흰잎마름병균의 증식 및 이동과 저항성과의 관계 (Studies on Manifestation of Bacterial Leaf Blight Resistant Gene I.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stance of Rice to Bacterial Leaf Blight and the Multiplication and Spread of the 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

  • 김한용;최재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2-136
    • /
    • 1990
  • 수도 흰잎마름병(Xanthomonas campestris pv. oryzae) 병원세균(K1)의 조직내에서의 증식과 이동 그리고 수공을 통해 추출되는 병원세균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항성 품종에서는 접종 3일후에 약 $10^3$cfu/$\textrm{cm}^2$로 12일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나 리병성 품종에서는 접종 6일에 약 $10^4$cfu/$\textrm{cm}^2$에서 접종 12일에는 약 $10^{8}$-$10^{9}$cfu/$\textrm{cm}^2$로 계속 증식하였다. 2. 병원세균의 접종부위로부터 상, 하향 이동속도 및 증식속도는 상향이동이 약간 빠른 경향이었으며 리병성 품종에서 빠른 증식과 이동속도를 보여 저항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3. 병원세균의 증식 및 이동은 생육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4. 감염된 잎의 수공을 통해 나오는 병원세균의 농도는 조직내에서 병원세균의 증식 및 이동과 일치하였으며 저항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 PDF

답잡초를 대상으로 벼 흰빛잎아름병 기주절위구명 (Paddy Weeds Serving as the Possible Reservoirs for Rice Bacterial Leaf Blight)

  • 김길웅;제상율;손재근;이수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0-44
    • /
    • 1981
  • 답잡초 돌피 외 19종을 대상으로 병원균군, 접종방법 및 잡율의 생육시기를 달리하여 벼흰빛잎마름병의 기주범국 구명시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나도겨풀, 강아지풀, 독새풀 등은 밀양 2003에 준한 이병성을 나타냈으며, 그 밖에 바랭이, 왕바램이 알방동산이, 너도방동산이, 바람하늘지기 등에서 이병성을 보였으나 광엽잡초에는 전혀 이병되지 않았다. 2. 생육초기에 이병성을 크게 보인 강아지풀, 나도겨풀, 독새풀은 생육전기간을 통해서 이병성이 컸으며, 균군간에는 제일군이 병원성이 다소 큰 것 같았다. 3. 접종방법별로는 유상접종인 핀 및 가위 접종이 무상접종의 분무접종보다 이병성이 켰다.

  • PDF

Effect of GlycinecinA on the Control of Bacterial Leaf Spot of Red Pepper and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 Jeon, Yong-Ho;Moonjae Cho;Cho, Yong-Sup;Ingyu Hwa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5호
    • /
    • pp.249-256
    • /
    • 2001
  •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8ra produces a bacteriocin called glycinecinA, which specifically inhibits the growth of bacteria belonging to Xanthomonas species. GlycinecinA was produced by culturing Escherichia coli DH5 containing biosynthetic genes for glycinecinA, and was tested for its control effect against X. vesicatoria on red pepper and X. oryzae pv. oryzae on rice. The bacteriocin activity was much higher in the cell extract than in the supernatant. It reached a maximum level at the stationary phase, ws maintained up to 2 months at room temperature and approximately 10 months at $4^{\circ}$. The optimum concentration of glycinecinA for the control in the greenhouse and in the field was 12,800 AU/ml. In this study, the activity of glycinecinA on rice and red pepper leaves continued for 7-8 days, during which the pathogen populations remained at low levels. Bacterial leaf spot of red pepper and bacterial leaf blight of rice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bacteriocin treatments. The control efficacy was as high as, or even higher than, the chemical treatment of copper hydroxid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acteriocin is a potential control agent for bacterial diseases.

  • PDF

Pseudomonas cichorii와 P.viridiflava에 의한 Ficus 속 식물의 세균성뿌리썩음병 및 세균성잎마름병 (Bacterial Root Rot and Bacterial Leaf Blght of Ficus spp. by Pseudomonas cichorii and P. viridiiflava in Korea)

  • 이은정;차재경;최재을
    • 식물병연구
    • /
    • 제6권1호
    • /
    • pp.6-9
    • /
    • 2000
  • 1998년 수원, 성남, 양재, 대전의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고 있는 인삼고무나무(Ficus retusa), 황금대만고무나무(Ficus retusa \`Golden leaf\`), 벤자민고무나무(Ficus benjamina)에 새로운 세균병이 관찰되었다. 인삼고무나무의 뿌리에 무름증상을 보이는 세균병을 \"P.cichorii\"에 의한 인삼고무나무의 세균성뿌리썩음병\", 황금대만고무나무와 벤자민고무나무에 마름증상을 보이는 세균병을 \"P.viridiflava에 의한 황금대만고무나무와 벤자민고무나무의 세균성잎마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마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제안한다.

  • PDF

2013-2014년도 경북 북부지역 사과 주요 병해 발생조사 (Survey of Major Diseases Occurred on Apple in Northern Gyeongbuk from 2013 to 2014)

  • 천원수;전용호
    • 식물병연구
    • /
    • 제21권4호
    • /
    • pp.261-26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북부지역의 주요 사과 산지를 대상으로 재배 중에 발생하는 병해의 발병상황을 조사하고 병원균을 조사하였다. 경북 북부지역의 주요 사과 재배지에서 발병하는 주요 병은 탄저병, 겹무늬썩음병, 점무늬낙엽병, 갈색무늬병, 가지마름병이었다. 특히 2013년에 비해 2014년에는 갈색무늬병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10월의 강수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된다. 점무늬낙엽병과 탄저병, 겹무늬썩음병도 모든 포장에서 발병되었다. 또한 P. syringae pv. syringae에 의한 가지마름병의 발병이 지역에 따라 10-20% 정도 발병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과 재배에 있어 주요병해에 대한 중점 방제 대상 병해를 선정하여 관리하여야 하며, 또한 근래 문제되지 않았던 P. syringae pv. syringae에 의한 가지마름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및 방제 연구가 수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Streptomyces bottropensis Suppressing Rice Bacterial Blight

  • Park, Sait-Byul;Lee, In-Ae;Suh, Joo-Won;Kim, Jeong-Gu;Lee, Choon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1권12호
    • /
    • pp.1236-1242
    • /
    • 2011
  • Xanthomonas oryzae pv. oryzae (Xoo) is the most devastating pathogen to Oryza sativa and has been shown to cause bacterial blight. Two bioactive compound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Xoo strain KACC 10331 were isolated from a Streptomyces bottropensis strain. The ethyl acetate extract was fractionated on a Sephadex LH-20 column, and then purified by preparative HPLC. The purifi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bottromycin A2 and dunaimycin D3S by HR/MS and $^1H$ NMR analyses. The MIC value against Xoo and the lowest concentration still capable of suppressing rice bacterial blight were 2 ${\mu}g$/ml and 16 ${\mu}g$/ml for bottromycin A2, and 64 ${\mu}g$/ml and 0.06 ${\mu}g$/ml for dunaimycin D3S, respectively. These two compounds were shown to exert different bioactivities in vitro and in rice leaf explants.

Evaluation of control methods for the best practicing conditions for the control of bacterial blossom blight of kiwifruit

  • Kim, G. H.;Park, J. K.;J. S. Shin;J.S. Hur;J. S. Jung;Y. J, Koh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94.1-94
    • /
    • 2003
  • Control of bacterial blossom blight of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has been mainly depended on chemical control. Recently cultural practices such as trunk girdling of kiwifruit trees and rainproof installation over kiwifruit trees also were conducted as the alternative control practices. Each of the control methods was evaluated for the best practicing conditions for the control of bacterial blossom blight of kiwifruit. Among the various combinations of spray times and spray periods, optimum spray program of antibiotics was turned out to be 3 times with intervals of 10 days from early May during the flowering season of kiwifruits. Optimum periods of trunk girdling of kiwifruit trees were from late March to late April. Trunk girdling with 20-30 mm wide showed best control efficacies on bacterial blossom blight, irrespective of the heights of girdling on trunks of kiwifruit trees. Optimum period of rainproof installation over kiwifruit trees was from March till late April, irrespective of installation methods.

  • PDF

고추 풋마름병.역병 복합 저항성 계통육성 (Breeding Lines with Multiple Resistance to both Bacterial Writ and Phytophthora Blight in Pepper(Capsicum annuum L.))

  • 한정혜;김주영;황희숙;김병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8권
    • /
    • pp.9-17
    • /
    • 2000
  • 풋마름병과 역병에 복합저항성인 계통을 육성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앞서 역병 저항성으로 육성한 계통(16-2-3-2 = 역병 저항성 '칼미초', 19-1-3-7-1-1, 19-2-4-5-3-2 = 역병 저항성 '수비초', 김 등, 1996)과 풋마름병 저항성 계통(KC350 = MC 4, KC353 = PBC631)을 교배하여 육성한 $F_5$$BC_1F_4$, $F_6$$BC_1F_5$ 세대에 대해 1999년과 2000년에 각각 풋마름병과 역병에 대한 복합저항성을 검정하였다. 풋마름병과 역병에 복합 저항성을 보인 개체를 선발하여 다음 세대의 종자를 채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