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kground leakage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2초

Treatment Patterns and Outcomes of Anastomotic Leakage after Esophagectomy for Esophageal Cancer

  • Hyo Won Seo;Yeong Jeong Jeon;Jong Ho Cho;Hong Kwan Kim;Yong Soo Choi;Jae Ill Zo;Young Mog Shi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2호
    • /
    • pp.152-159
    • /
    • 2024
  • Background: Anastomotic leakage (AL) following esophagectomy represents a serious complication that often results in prolonged hospitalization and necessitates repeated interventions, including nothing-by-mouth (NPO) restriction, endoscopic vacuum therapy (EVT), or surgical repair.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atterns and outcomes of AL treatment.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esophagectomy for esophageal cancer at a single center between 2003 and 2020. Of 3,096 examined cases, 181 patients (5.8%) with AL were included in the study: 114 patients (63%) with cervical anastomosis (CA) and 67 (37%) with intrathoracic anastomosis (TA). Results: The incidence of AL was 11.9% in the CA and 3.2% in the TA group (p<0.001). Among patients with CA who developed AL, 87 (76.3%) were managed with NPO, 15 (13.2%) with EVT, and 12 (10.5%) with surgical repair. Over 90% of patients with cervical AL resumed an oral diet by the time of discharge, regardless of treatment method. Among patients with TA and AL, 36 (53.7%) received NPO, 25 (37.7%) underwent EVT, and 6 (9%) required surgery. Of these, 34 patients who were managed with NPO and 19 with EVT could resume an oral diet. However, only 2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resumed an oral diet, and 2 patients required additional EVT. Conclusion: Although patients with CA displayed a higher incidence of AL, their rate of successful oral intake exceeded that of those with TA, regardless of treatment method. Among patients exhibiting AL with TA, EVT was more commonly employed than in CA cases, and it appears effective.

폐수술 후 지속적 공기누출에 희석한 Fibrin Glue의 효과 (The Effects of Diluted Fibrin Glue about Continuous Air Leakage after Lung Surgery)

  • 최창우;이승진;이철세;이길노;이석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0호
    • /
    • pp.770-774
    • /
    • 2006
  • 배경: 폐수술 후 흉관을 통한 지속적 공기누출은 환자의 입원기간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농흉 등의 많은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누출을 막고자 화학적 흉막 유착술을 흔히 사용하게 된다. 본 연구는 폐수술 후 흉관을 통한 지속적 공기누출이 있는 환자들에게 희석한 Fibrin Glue를 이용한 흉막유착술을 시행하여 치료의 유용성과 합병증을 관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9월부터 2005 년 8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흉부외과에서 폐수술을 시행 받고 흉관을 통한 공기누출이 7일 이상 지속되었던 환자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용해시킨 fibrinogen 1.0 g과 aprotinin 50만 KIU를 50 cc 주사기 한 곳에 모았다(혼합액 A). 그리고 용해시킨 thrombin 5,000 IU와 calcium chloride 600 mg을 50 cc 주사기에 하나로 모았다(혼합액 B). 세 번째로는 cefazolin 1.0 g을 50 cc 생리식염수에 희석시켜서 50 cc 주사기에 모았다(혼합액 C). 환자의 흉관과 배액병 사이에 고무줄을 삽입하여 삽입된 고무관이 환자보다 상방으로 약 60 cm 올라가서 아래로 향하도록 loop형태의 모양이 되도록 하였다. 그리고는 가장 높은 고무관에 혼합액 A, B, C를 환자측 방향으로 순서대로 주입을 하였다. 결과: 16명 모두에서 다음날 공기누출이 사라졌다. 그리고 3일 후에 흉관을 모두 제거하였다. 부작용으로는 흉통이 12명(75%), 혈액검사상 백혈구 증가가 14명(88%), 고열과 한기가 14명(88%)에서 나타났다. 이러한 부작용들은 모두 일시적이었으며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시간경과와 함께 사라졌다. 결론: 저자들은 폐수술 후 흉관을 통한 7일 이상의 지속적 공기누출이 있던 1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희석한 Fibrin Glue를 흉관을 통해 주입하는 화학적 흉막유착술을 시행하여 모든 환자에서 공기누출이 멈추는 좋은 효과를 보았다. 희석한 Fibrin Glue를 이용한 화학적 흉막유착술은 별다른 합병증 없이 비교적 손쉽게 지속적 공기누출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Ivor Lewis 수술 후 발생되는 문합 부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술식 평가 (Experience with a Safe Anastomotic Method for Ivor Lewis Operation)

  • 김정원;이용직;장용진;박창률;정종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625-629
    • /
    • 2008
  • 배경: 식도암 수술에서 문합 부위 합병증은 수술 방법, 문합 위치 등과 관계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수술 후 환자의 삶의 질에도 중요한 부문을 차지한다. 저자들은 식도암 수술에 대한 고전적인 Ivor Lewis수술 중 stapling후 문합부의 조직 긴장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식도-위 문합 부위 합병증의 발생 빈도를 줄이도록 고안된 술식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7년 4월까지 식도암으로 Ivor Lewis 수술을 시행 받은 22명 중 외래 추적관찰이 가능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1세$(46{\sim}73)$이었고 남자가 17명(94.4%)이었다. 양성 문합 협착은 술 후 추적 관찰 중 연하곤란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식도조영술을 시행하여 식도내 풍선화장술이 필요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7.2개월$(1{\sim}45)$이었다. 수술 후 문합 부위 누출은 없었다. 양성 문합 협착은 1명(5.6%1에서 수술 후 4개월째 발생하였으며 수술 당시 식도 내경이 작아서 25 mm Stapler로 문합했었다. 식도내 풍선확장술을 2차례 시행한 후 증상이 호전되었으며 현재까지 38개월째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결론: Ivor Lewis 수술 후 발생하는 양성 문합 협착 등 합병증을 줄이기 위하여 고안된 본원의 문합 술식은, 다른 저자들과 비교하여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되며 이후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폐절제술후 발생한 합병증 및 사망률에 대한 후향적 고찰 (Retrospective Study for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Major Lung Resection)

  • 문광덕;이철주;김영진;최호;김정태;강준규;홍준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4호
    • /
    • pp.310-315
    • /
    • 2000
  • Background: A retrospectiye study was done for understanding morbidity and mortality after major lung resection. Material and Method: From June 1994 to August 1998, 203 patients received major lung resections for various causes. There were 142 males and 62 females with a mean age of 47.5 years. Initial complains were cough in 47.8%, sputum in 33.0%, hemoptysis or blood-tinged sputum in 23.2%, dyspnea in 18.2%, chest pain in 15.3%, weight loss in 10.8%, fever and chill in 4.9%. There were no complaints in 5.9% of the total patients. The underlying diseases were lung tumor(102 cases/50.2%), bronchectasis(28 cases/13.8%), aspergillosis(24 cases/1.8%), tuberculosis(20 cases/9.9%) and others (29 cases/66.5%) and pneumonectomy(68 cases/33.5%).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classified as : empyema, BPF, respiratory problem, persistent air leakage over 7 days, arrhythmia, ventilator applied over 24 hours, bleeding, wound infection and chylothorax. The postlobectomy complications were revealed as follow: empyema(3.7%), BPF(2.2%), respiratory problem(5.2%), persistent air leakage over 7days(8.9%), arrhythmia(2.2%), ventilator applied over 24 hours(2.2%), bleeding(1.5%), wound infection(2.9%), chylothorax(0.7%). The postpneumonectomy complications were revealed as follow : empyema(5.9%), BPF (5.9%), respiratory problem(17.6%), persistent air leakage over 7days(0%), arrhythmia(5.4%), ventialtor apply over 24 hours(7.4%), bleeding (7.4%), wound infection(2.9%) and chylothorax(1.5%). Reoperation was done in 8 cases (4.0%). There were 5.8% operative mortalities in pneumonectomy and 0.7% in lobectomy.

  • PDF

출혈성 쇼크에 의한 급성 폐손상에서 Phospholipase A2의 활성화에 의한 산화성스트레스의 역할 (Phospholipase A2 Contributes to Hemorrhage-induced Acute Lung Injury Through Neutrophilic Respiratory Burst)

  • 장유석;김성은;전상훈;신태림;이영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6호
    • /
    • pp.503-516
    • /
    • 2001
  • 연구배경 : 급성 출혈성 쇼크에서 발생하는 급성폐손상의 병인론을 호중구의 산소기 생성과 연관하여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급성출혈성쇼크에서 폐장내 산소기 생성의 주된 원인이 호중구의 침윤에 의한 것이며 이 때 PLA2의 활성화가호중구의 respiratory burst의 직접적인 원인임올 밝히고지 하였다. 방 법 : 체중 300-350 g 정도의 흰쥐에서 체중/kg 당 20ml정도의 혈액을 5분 동안 뽑아내어 급성 출혈성 쇼크를 유발하고 이 출혈성 쇼크 상태를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 후 급성 폐손상의 지표들을 측정하였다. 동시에 폐장의 미세구조의 변화 및 세포화학적인 검사를 통하여 폐장조직내의 산소기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PLA2 억제제인 mepacrine을 출혈직전에 투여하여 PLA2의 억제에 따른 변화도 검사, 비교하였다. 결 과 : 급성 출혈성 쇼크에 의해 유도된 급성 폐손상에서 호중구의 폐장내 침윤이 확인되었고 이 때 폐부종 및 조직내 산소기 형성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폐장내 PLA2의 활성도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mepacrine을 이용하여 PLA2를 억제한 결과, 폐부종의 감소, 산소기 형성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결 론 : 급성 출혈성 쇼크에 의한 급성폐손상은 호중구에 의한 산화성스트레스가 그 원인으로 생각되고 이 때 호중구에 의한 산화성스트레스의 발생에는 PLA2가 주된 역할을 한다고 사료된다.

  • PDF

경열공 식도절제술을 이용한 부식성 식도협착증의 치료 (Treatment of Corrosive Esophageal Stricture by Transhiatal Esophagectomy and Esophagogastrostomy)

  • 김재범;박창권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5-40
    • /
    • 2009
  • Background: Surgical treatment of corrosive esophageal stricture with colon interposition was very widely used. The colon interposition advantage is low reflux esophagitis risk and preservation of gastric capacity and peristalsis. This procedure was introduced by Orsoni and much improved. But, if stomach injury was minimal, gastric interposition is useful due to simple technique and low complication. Material and Method: Esophageal reconstruction by the transhiatal esophagectomy and intracervical esophagogastrostomy was done in 7 patients of corrosive esophageal stricture at Dong-Sa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7. Result: There were six female and one male patients raBackground Surgical treatment of corrosive esophageal stricture with colon interposition was very widely used. The colon interposition advantage is low reflux esophagitis risk and preservation of gastric capacity and peristalsis. This procedure was introduced by Orsoni and much improved. But, if stomach injury was minimal, gastric interposition is useful due to simple technique and low complication. Material and Method: Esophageal reconstruction by the transhiatal esophagectomy and intracervical esophagogastrostomy was done in 7 patients of corrosive esophageal stricture at Dong-Sa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7. Result: There were six female and one male patients ranging from 29 to 69 years of age. The complication was two anastomosis site leakage, one gastric necrosis and one mortality due to bowel strangulation and sepsis. Conclusion: Transhiatal esophagectomy and intracervical esophagogastrostomy is safety and useful method at selection case even though corrosive esophageal resection is debated.

  • PDF

안전 훈련 콘텐츠에 적합한 포스트 프로세싱 단계에서의 연기 렌더링 방법 (Smoke Rendering Method in Post-processing for Safety-Training Contents)

  • 박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644-1652
    • /
    • 2022
  • 체험자의 안전 문제로 실질적인 훈련이 불가능한 안전 훈련의 경우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 같은 실감미디어를 이용한 훈련 콘텐츠가 새로운 대안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감미디어 기술로 구현되는 안전 훈련 콘텐츠에 적용될 수 있는 연기 모델링 방법을 제안한다. 석유화학 플랜트와 같은 위험 지역에 사고가 발생하면 가스 유출 및 화재 발생으로 인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런 상황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연기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안하는 방법은 석유화학 플랜트와 같이 통로와 장치가 복잡한 배경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기 모델 기법이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장면 렌더링이 완료된 이미지에 대한 포스트 프로세싱 단계에서 볼륨 렌더링을 이용하여 연기를 표현한다. 공장을 배경으로 구현한 결과를 보면 제안하는 방법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연기의 변화를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ALI 배양법 이용한 비강 점막 상피세포의 미세구조와 $^{14}C$-mannitol 투과도 (Ultra-Structures And $^{14}C$-Mannitol Transport Study of Human Nasal Epithelial Cells Using ALI Culture Technique)

  • 곽경록;황지윤;이지석;박혜경;김윤성;이민기;박순규;김유선;노환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205-212
    • /
    • 2001
  • 연구배경 : 비강 점막을 통한 약물의 이동이나 대사 등은 실험 동물을 이용한 약력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사람의 비강 점막 상피세포의 투과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 등은 air-liquid interface (ALI) 방법으로 세포를 배양하여 그 미세구조와 in vitro에서 비강점막 상피세포에 대한 mannitol의 투과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내시경을 이용한 부비동 수술시 정상 하비갑개의 조직을 채취하여 ALI 방법을 이용하여 transwell내에 monolayer로 상피세포를 배양하였으며 blank filter, 배양 5일째 및 7일째에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TEER) 값을 측정하고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견고연접(tight junction)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배양된 세포의 mannitol의 투과도를 알아보기 위해 12일째에 $^{14}C$가 부착된 mannitol $4{\mu}mol$을 배양액과 함께 투여하고 1시간 동안 10분 간격으로 % leakage를 측정하였다. 결 과 : 사람의 비강 상피세포는 7일 내에 confluent monolayer로 배양되었으며 투과전자현미경상 섬모와 견고 연접의 형성이 잘 관찰되었다. TEER 값은 blank filter는 $108.5\;ohm.cm^2$, 배양 5일째는 $141\;ohm.cm^2$, 배양 7일째는 $177.5\;ohm.cm^2$로 측정되었다. Mono-layer를 통한 $^{14}C$-mannitol의 % leakage는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에 각각 $35.67{\pm}5.43$, $34.42{\pm}5.60$, $32.75{\pm}5.71$, $31.76{\pm}4.22$, $30.96{\pm}3.49$, $29.60{\pm}3.68%$로 나타났다. 결 론 : ALI 방법으로 배양된 사람의 정상 비강점막 상피세포는 생체와 유사하게 배양되어 세포의 투과도(transcellular permeability) 를 알아보는데 적합하며 in vitro에서 비강점막을 통한 약물의 transport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lood Vessel Enhancement by Directed Diffusion

  • Intajag, S.;Tipsuwanporn, V.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4년도 ICCAS
    • /
    • pp.101-106
    • /
    • 2004
  • In this paper, a blood vessel in an angiographic image, which plays an importance role in the diagnose diseases including in the eyes, brain and heart, is enhanced by using a directed diffusion technique. A fundamental component of the angiographic analysis is vessel segmentation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a preprocessing of the image into a form suitable for human analysis, or more importantly, for machine analysis such the segmentation. Vessel enhancement is a challenging problem due to the complex nature of vascular trees and to imaging imperfections. Some parts of the inherent imperfections in angiography are the intensity inhomogeneity between the larger and smaller vessels, and another imperfection is the leakage of contrast agent into the background tissue that provides to low contrast between vessels and tissue. In the proposed scheme, the directed diffusion solves the problem by formulating a local geometric structure, which consists of direction and scale of the blood vessels. The diffusion process uses the local structure to enhance by a diffusivity tensor.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applied to maintain sharpness and coherence-smooth the intra-regions into homogeneity better than traditional diffusion methods, which are Gaussian regulation and coherence enhancing diffusion.

  • PDF

수삼의 저장온도가 유통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on Quality of Fresh Ginseng during Distribution)

  • 이지현;최지원;홍윤표;김금숙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31-438
    • /
    • 2015
  • Backgr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out the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fresh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during distribution. Methods and Results : Fresh ginseng was washed, packed in $30{\mu}m$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film, then stored at 0, -2 and $-4^{\circ}C$. After 4 weeks of storage, ginseng was then stored at $5^{\circ}C$, as a simulation of the distribution process. Ginseng stored at $-4^{\circ}C$ showed higher respiration rate, ethylene production and electrolyte conductivity during the distribution phase than those stored at 0 and $-2^{\circ}C$. Decay and browning rate rapidly increased following 3 weeks of distribution in samples stored $-4^{\circ}C$. However ginseng stored $-2^{\circ}C$, which is below freezing point, for 4 weeks did not show the physiological change or quality deterioration. Ginsenoside contents decreased during storage for all plant, bu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storage temperatures. Conclusions : Storage at temperatures below $-2^{\circ}C$ can negatively affect respiratory characteristics and electrolyte leakage and increase quality deterioration and decay rates during distrib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