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erage discharge

검색결과 736건 처리시간 0.024초

외상 환자 관리에서 Critical Pathway의 적용 (Application of Critical Pathway in Trauma Patients)

  • 심홍진;장지영;이재길;김승환;김민정;박유석;박인철;김승호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5권4호
    • /
    • pp.159-165
    • /
    • 2012
  • Purpose: For trauma patients, an early-transport and an organized process which are not delayed in hospital stage are necessary. Our hospital developed a procedure, the trauma Critical Pathway (CP), through which a traumatic patient has the priority over other patients, which makes the diagnostic and the therapeutic processes faster than they are for other patients. Methods: The records of patients to whom Trauma CP were applied from January 1, 2011 through April 15. 2012. were reviewed. We checked several time intervals from ER visiting to decision of admission-department, to performing first CT, to applying angio-embolization, to starting emergency operation and to discharging from ER. In addition, outcomes such as duration of ICU stay, hospital stay and mortality were checked and analyzed. Results: The trauma CP was applied to a total of 143 patients, of whom, 48 patients were excluded due to pre-hospital death, ER death, transferring to other hospital and not severe injury. Thus 95 patients (male 64, 67.3%)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ifty-nine patients(62.1%) were injured by the traffic accident. The mortality rate was 10.5% and the mean Revised Trauma Score (RTS) of the patients was $6.4{\pm}2.0$. After visiting ER, decision making for admission was completed, on average, in 3 hours 10 seconds. The mean time intervals for the first CT, angio-embolization, surgery and discharge were 1 hour 20 minutes, 5 hours 16 minutes, 7 hours 26 minutes and 6 hours 13 minute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trauma CP did not show the improvement of time interval outcome, as well as mortality rate. However, this test did show that the trauma CP might be able to reduce delays in procedures for managing trauma patients at the university-based hospitals. To find out the benefit of CP protocol, a large scaled data is required.

낙동강 소수계별 유달부하량 산정 및 평가 (Computation and Assessment of Delivery Pollutant Loads for the Streams in the Nakdong River Basin)

  • 윤영삼;유재정;김문수;이혜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7-287
    • /
    • 2006
  • Production loads of the contaminants near the Nakdong-river are, BOD : $1,006ton{\cdot}day^{-1}$, TN : $117ton{\cdot}day^{-1}$, and TP : $21ton{\cdot}day^{-1}$. Among the sources of contamination, the biggest contribution to the production load was shared by the human population, which maintains 40.7% of BOD, 44.2% of TN, and 52.5% of TP production. Similarly, among the sources of discharge load, the human population contributed 45.0% of BOD, 34.5% of TN, and 45.8% of TP. Results of flow investigation in 2001 and 2002 indicate that among the side streams, Nam-river showed the greatest average flow. In case of main stream flow, it was increased in the downstream due to the increase of the influents from the side streams. In case of BOD, COD, TOC and SS, high values were detected at Keumho-river where industrial wastewater was discharged as high level concentration. In case of the main stream, Koryoung point where direct influence of Keumho-river and Seongseo industrial complex is evident showed high BOD, COD and TOC. Oxidized nitrogen compounds and total nitrogen showed similar patterns of BOD, COD, and TOC. Especially, nitrate nitrogen was relatively high at all points. However, in case of Chlorophyll-a, relatively high values were observed at mid- and downstream areas such as Koryoung, Namjee, Soosan, Moolkeum and Hakooeun. This could be caused by the slow flow rate and the abundant nutrient salts attributed by the side streams. Relatively better water quality was observed in 2002 when the flow was relatively abundant than that in 2001. Results of investigation during 2001-2002 showed that delivery load increased as the flow reaches downstream. In 2001, delivery loads at the downstream Soosan-bridge were BOD $22,152ton{\cdot}day^{-1}$, COD $45,467ton{\cdot}day^{-1}$, TN $22,062ton{\cdot}day^{-1}$, TP $926ton{\cdot}day^{-1}$. Delivery loads in 2002 were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rainfall. They are BOD $25,876ton{\cdot}day^{-1}$, COD $64,200ton{\cdot}day^{-1}$, TN $41,101ton{\cdot}day^{-1}$, and TP $1,362ton{\cdot}day^{-1}$.

경안천과 팔당호에서 총세균수의 분포 및 동태 (Distribution and Dynamics of the Total Bacterial Number in the Kyongan Stream and Paltang Reservoir)

  • 박경미;황순진;조경제;신재기
    • 생태와환경
    • /
    • 제34권2호통권94호
    • /
    • pp.119-125
    • /
    • 2001
  • 경안천과 팔당호 주요 유입부에서 2000년 9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수중 총세균수의 분포 및 변동을 조사하였다. 경안천 본류에서 총세균수는 하수처리장 배출수가 유입될 때 뚜렷이 증가하였다. 경안천 본류에서 유하거리 (km)당 총세균의 소멸량은 0.13${\times}10^{6}$cells/ml로서 하류로 이송되면서 하상에 침강 소멸되는 양이 상당하였다. 총세균수의 변동은 9${\sim}$10월, 11월 및 12${\sim}$2월에 평균값이 각각 1.74${\sim}$3.10${\times}10^{6}$cells/ml, 1.86${\sim}$7.30${\times}10^{6}$cells/ml 및 4.56${\sim}$8.75${\times}10^{6}$cells/ml 범위로서 세균의 생물량은 고수온기에 적었고 저수온기에 오히려 증가하였다. 총세균수는 수온이 >$10^{\circ}C$인 시기(9${\sim}$10월)보다 <$10^{\circ}C$인 저수온기(12${\sim}$2월)에 2.1${\sim}$3.0배 풍부하였다. 총세균수로 평가하였을 때 수질은 부영양상태였고 하수처리장 배출수는 경안천과 팔당호의 미생물 오염에 대한 가장 큰 source로 평가되었다. 경안천 뿐만 아니라 팔당호의 상수원 수질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하수처리장 배출수 관리에 대한 대책 마련이 매우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금강 하구호에서 수질의 계절변동과 오염도 (Seasonal Dynamis and Pollution Status of the Water Quality in the Kum River Reservoir)

  • 조경제;신재기
    • 생태와환경
    • /
    • 제33권3호통권91호
    • /
    • pp.251-259
    • /
    • 2000
  • 금강 하구호의 수질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8년 1월부터 1999년 9월까지 매월 조사하였다. 수질 인자 중 TN, TP, chl-a 및 투명도의 평균값은 각각 3,900 ${\mu}$g N/l, 160 ${\mu}$g P/l, 73 ${\mu}$g/l 및 0.8m로서 부영양화 특성이 잘 나타났다. TN 중에서 유기질소가 66%, 무기질소가 34%를 차지하였고 무기질소 중에서 NH$_{4}$와 NO$_{3}$는 각각 30%와 70%를 점유하였다. 또한 TP에 대한 SRP의 비율은 9% 이하였다. TN/TP 및 DIN/SRP비는 겨울에 높고 여름에 낮았다. SRSi는 0${\sim}$3.0 mg Si/l 범위로 변동 폭이 컸고 하계에 매우 높았으며 SRSi가 장기간 고갈되는 양상도 관찰되어 SRP와 더불어 담수조류(규조류)의 생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제한영양염으로 추정되었다. Chla는 동${\cdot}$하계에 각각 113 ${\mu}$g/l, 162 ${\mu}$g/l로서 월등히 높았고 이 시기는 규조류 Stephanodiscus와 남조류 Microcystis가 번무하는 시기였다. 하구 저수지의 수질오염도는 과영양상태로 평가되어 이에 대한 수질관리가 매우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낙동강에서 엔테로코커스의 분포특성 및 항생제별 내성률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Antibiotics Resistance of Enterococcus spp. in Nakdong River)

  • 성진욱;차순배;유광현;최광순;박제철
    • 생태와환경
    • /
    • 제46권3호
    • /
    • pp.360-366
    • /
    • 2013
  • 본 연구는 하수 및 가축분뇨 처리장 방류수, 하천수를 이용하여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VRE)의 검출여부를 확인하고 검출된 장구균의 표현형을 분석함으로써 하천에 대한 공공처리시설의 방류수에 포함되어있는 엔테로코커스의 영향을 파악하여 항생제 내성균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및 항생제 내성 연구에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엔테로코커스의 동정시험 결과 모두 32균주가 검출되었고 이는 모두 E. faecium으로 동정되었다. Multiplex PCR 시행한 결과 32균주 모두 Van A 표현형에 해당하는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으로 확인되었다. 조사지점별 세균의 E. faecium 집락수의 측정 결과 하수처리장 지역에서 평균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하천 지역의 경우 상류지점에서 하류 지점으로 갈수록 세균의 colony 숫자도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수처리장 방류수 시료 26균주에 대한 최소억제농도 검사 결과, 19개의 항생제 중 내성, 감수성을 보인항생제 수는 각각 14, 5종으로 내성을 보이는 항생제의 수가 약 7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하천 시료 6균주에 대한 최소억제농도 검사 결과, 19개의 항생제 중 내성, 감수성을 보인 항생제 수는 각각 14, 5종으로 내성을 보이는 항생제의 수가 약 7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여 하수처리장 방류수 시료의 검사 결과와 동일하였다.

시화산업단지 강우유출수 내 중금속 오염도 평가 및 오염원 추적 연구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Metal Pollution and their Potential Source in Stormwater Runoff from Shihwa Industrial Complex, Korea)

  • 이지현;정혜령;최진영;나공태
    • 생태와환경
    • /
    • 제53권1호
    • /
    • pp.91-10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특별관리해역인 시화호 유역의 산업단지 하천에 강우 시 비점오염의 형태로 유입되는 중금속의 유출 특성 파악 및 오염원 파악을 하천 토구를 통해 배출되는 강우유출수 내 용존 및 입자성 중금속(Cr, Co, Ni, Cu, Zn, As, Cd, Pb)을 조사하였다. 용존성 Co와 Ni은 강우 초반에 고농도로 유출된 후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대부분의 원소는 조사시기별 강우량 및 유량 변화에 따라 각각 다른 특징을 보였다. 입자성 중금속의 경우, 시간에 따른 부유물질의 농도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강우유출수 내 존재하는 중금속 중 Co, Ni, Zn는 용존 상태로 유출되는 비율이 높았고, Cr, Cu, Pb은 입자상 유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입자 상태로 유출되는 중금속의 인위적 오염도를 평가하기 위해 농집지수를 계산한 결과, Cu, Zn, Cd은 very highly polluted에 해당하는 심각한 오염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인 3간선수로 유역 인근의 도로먼지 중 125 ㎛ 이하에서의 중금속 농도와 비교한 결과, 강우유출수 내 Cu, Zn, Cd의 중금속이 금속제조관련 시설에서 절삭 혹은 가공 중에 발생하여 산업시설 표면에 축적되어 있는 금속물질이 강우유출수와 함께 수환경으로 유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강우유출수 내 총중금속 평균 유출부하량은 1회 강우 시 Cr 128 g, Co 12.35 g, Ni 98.5 g, Cu 607.5 g, Zn 8,429.5 g, As 6.95 g, Cd 3.7 g, Pb 251.75 g으로 금속제조와 관련된 산업시설이 주로 존재하는 유역의 특성을 잘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Topical EMLA Cream as a Pretreatment for Facial Lacerations

  • Park, Sung Woo;Oh, Tae Suk;Choi, Jong Woo;Eom, Jin Sup;Hong, Joon Pio;Koh, Kyung S.;Lee, Taik Jong;Kim, Eun Key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1호
    • /
    • pp.28-33
    • /
    • 2015
  • Background Topical anesthetics, such as eutectic mixture of local anesthetics (EMLA) cream, can be applied to reduce pain before minor procedure. This trial evaluated EMLA as pretreatment for facial lacerations and compared pain, discomfort and overall satisfaction. Methods This trial included consecutive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geq}16years$ of age who presented with simple facial lacerations. At triage, lacerations were allotted to either the routine processing group or EMLA pretreatment group according to date of admission. Initially, the emergency department doctors inspected each laceration, which were dressed with saline-soaked gauze. In the pretreatment group, EMLA cream was applied during wound inspection. The plastic surgeon then completed primary closure following the local injection of an anesthetic. After the procedure, all patients were given a questionnaire assessing pain using the 10-point visual analog scale (VAS) ("no pain" to "worst pain"). All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the emergency department nurse before discharge. Results Fifty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routine processing group, and fifty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EMLA pretreatment group. Median age was 39.9 years, 66% were male, and the average laceration was 2.67 cm in length. The EMLA pretreatment group reported lower pain scores in comparison with the routine processing group (2.4 vs. 4.5 on VAS, P<0.05), and lower discomfort scores during the procedure (2.0 vs. 3.3, P=0.60). Overal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MLA pretreatment group (7.8 vs. 6.1, P<0.05). Conclusions Pretreating facial lacerations with EMLA topical cream aids patients by reducing pain and further enhancing overall satisfaction during laceration treatment.

Six Sigma 활동을 통한 중증외상환자의 응급실 체류시간 개선 활동 (The Effect of Six Sigma Activity in Major Trauma Patients on the Time Spent in the Emergency Department)

  • 김현수;김옥준;최성욱;김의중;박영태;고대이;조윤경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3권2호
    • /
    • pp.119-127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horten the time spent at each stage of treatment and to reduce the total amount of time patients spen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by applying Six Sigma in the treatment of major trauma patients. Methods: This is a comparative study encompassing 60 patients presenting to the ED of Bundang CHA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08 and from July 2009 to March 2010. The stages of treatment for major trauma patients we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T1: total emergency department staying time, T2: duration of visit-radiologic evaluation time, T3: duration of visit-consult to department of admission, T4: duration of consultation-issue of hospital admissions time, T5: duration of visit-issue of hospital admissions time, T6: duration of issue of hospital admission-emergency department discharge time) and the total time patients spent in the ED was compared and analyzed for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Six Sigma. Results: After the application of Six Sigma, the numerical values in four of the six categori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T2, T3, T4, and T5. However, the average of the total time patients spent in the ED did not show any remarkable change because the T6 increased highly. The level of Six Sigma increased $0.17{\sigma}$.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Six Sigma for major trauma patients in the ED resulted in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rror rate for the total time patients spent in the ED. The Six Sigma activity has shown great potential. Therefore, the project is expected to bring better results in every stage of treatment if the levels of the hospital facilities are improved.

마산만 퇴적환경 오염에 따른 저서성 유공충 분포 변화 (Response of Benthic Foraminifera to Sedimentary Pollution in Masan Bay, Korea)

  • 우한준;김효영;정갑식;천종화;김성은;추용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4권2호
    • /
    • pp.144-154
    • /
    • 1999
  • 마산만은 인근도시로부터 산업폐수와 생활오수가 유입되어 매우 오염된 지역이다. 오염된 퇴적환경에 대한 저서성 유공충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하여 9정점의 표층퇴적물에서 지화학 및 유공충 분석을 하였다. 마산만은 경기만과 대산해역에 비하여 높은 중금속 함량을 나타내며 세계 평균세일의 중금속 함량과 비교하여도 Zn, Cd, Pb, As의 함량이 높아 이 지역의 퇴적물이 산업폐수에 의하여 오염된 것을 지시한다. 마산만의 퇴적물에 분포하는 저서성 유공충의 반응은 마산만이 오염된 것을 나타낸다. 마산만에 분포하는 저서성 유공충의 종의 수와 다양성은 가덕수로에 비해 크게 감소한다. 마산만에서는 사질 유공충이 우세하며 유공충 외각에서는 황철반점이 발견된다. 오염된 마산만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 Eggerella advena와 Trochammina pacifica는 이 지역에 높은 적응력을 가진 기회종이다. 이러한 자료들은 이 지역의 미래 환경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선이 될 것이다.

  • PDF

양산용 80 kW급 RF Plasma Torch System 개발 및 Si 나노분말 제조 공정 연구 (Development of 80 kW RF Thermal Plasma Torch System for Mass Production and Research of Si Nano-Powder Manufacturing Process)

  • 송석균;손병구;김병훈;이문원;신명선;최선용;이규항;김성인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6-78
    • /
    • 2013
  • 80 kW RF 플라즈마 토치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토치 시스템에 대한 온도, 유체 거동 분석 등의 보다 많은 정보의 추출을 위하여 3차원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파우더 주입관 위치, 입력 전류 변화에 따른 플라즈마 생성 특성, 세라믹 원통관 길이에 따른 플라즈마 방전 특성, 및 공정가스 유량에 따른 플라즈마 온도특성 등을 시뮬레이션 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설계 제작된 RF 열 플라즈마 토치의 경우, 최대 89.3 kW까지 파워 인가가 측정되었다. 개발된 80 kW급 RF 열 플라즈마 토치 시스템의 양산성 평가로 Si 나노분말을 제조하고 특성을 고찰하였다. Si 나노분말의 생산량이 평균 539 g/hr의 양산 수준과 71.6%의 높은 수율을 달성했으며, 제조된 나노 분말은 $D_{99}/D_{50}$가 1.98의 좋은 입경 균일 분포도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