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verage delay time per vehicl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4초

차량의 도착모형을 이용한 독립교차로 신호최적화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 Signal Optimization Algorithm at Isolated Intersections Using Vehicle Arrival Models)

  • 우용한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41-49
    • /
    • 2001
  • This study developed signal optimization algorithm by analyzing vehicle arrival patterns. The major principle of signal optimization is dissipate all queueing vehicle in 1cycle and assign delay time uniformly for all approaches. For this, this study used optimal green time and surplus green time. Optimal green time calculated by estimated traffic volume from vehicle arrival model. Surplus green time defined as the gap of optimal green time and queue dissipated time. And alternative cycle has minimum surplus green time was selected as the optimal cycle. Finally, total delay and average delay per vehicle can be calculated by using queueing theory.

  • PDF

5현시 신호체계 4지교차로의 좌회전 금지에 따른 효율성 분석 (Efficiency Questions of the Left-turn Prohibit in Case of 4-Leg Intersections with 5-Phase Signal System)

  • 변상철;박병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91-106
    • /
    • 1996
  • This paper deals with on the efficiency questions of the left-turn prohibit at an isolated intersection and a corridor with 5-phase signal system. Its objectives are three-fold ; (1)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left-turn prohibit with the use of an imaginary network, (2) to evaluate various factors under consideration in decision making on the left-turn prohibit, (3) to provide a framework for estimating and evaluating overall impacts of the left-turn prohibit in traffic network. the major findings using an imaginary network and computer packages such as MINUTP, TRANSYT-7F and STATGRAPH are followings. First, left-turn prohibit reduces cycle length by 33 seconds and delay time per vehicle by 36 seconds at an isolated intersection, and cycle length by 31 seconds and delay time per veicle by 43 seconds along a corridor. Second, total vehicle mile of travel and total travel time at an isolated intersection seem up to increase 38.85 miles(57.36km), 14.4 hour on the average, Regarding to a corridor, total vehicle mile of travel is increased by 50.14 miles(80.22km), but total travel time is decreased by129.9 hours. Third, the efficiency of left-turn prohibit are affected the following eight factors including left-turn volume(veh/hr) and ratio(%), average delay time per vehicle(sec/veh) and others. Finally, several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s to evaluate the impacts on the left-turn prohibit are formulated from the above eight factors. It can be expected that these models will take an important role in decision-making of left-turn prohibit.

  • PDF

접근로별 포화도를 고려한 Roundabout Signal Metering 운영방법에 관한 연구 (Roundabout Signal Metering Operation Methods by Considering Approach Lane's Degree of Saturation)

  • 안우영;이소영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217-226
    • /
    • 2013
  • PURPOSES : Under the capacity conditions with balanced approach flows, roundabouts give less delay than existing signalized intersections; however, flows over 450 vehicles/hour/lane with unbalanced approach flow conditions, roundabouts efficiency drops due to the short time difference between the critical gap and the follow-up head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ing a roundabout Signal Metering operation method by considering approach lanes degree of saturation. METHODS : A four-way-approach with one-lane roundabout is selected to compare the Signal Metering performance for the case of 16 different unbalanced flow conditions. Based on these traffic conditions, the performance is evaluated for 64 different cases of Signal Metering combinations by using SIDRA software. A degree of saturation(V/C ratio) sum for two adjoined approaches is used for the performance index of choosing Metered Approach and Controlling Approach. RESULTS : When the V/C ratio sum is 0.29~0.81 and Metered Approach flow is less than Controlling Approach flow, the average delay saving per vehicle is about 7 seconds; however, after this rage the delay saving decreases gradually until the V/C ratio sum reaches around 1.0. The range of V/C ratio sum 0.93~1.09 provides average delay saving per vehicle about 3 seconds. In case of V/C ratio sum is grater than 1.0 and the flows of Metered Approach is grater than Controlling Approach, the average delay per vehicle increases 3~11 times respectively. CONCLUSIONS : As expected, the Signal Metering provides substantial improvements in delay saving for the case of V/C ratio sum is 0.3~1.0 under the traffic flow conditions of Metered Approach is less than Controlling Approach.

회전교차로 우회전 별도차로 설치 효과 검토 (Effectiveness Analysis on the Installation of Right-Turn Bypass Lane in Roundabout)

  • 임진강;김경환;박병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29-37
    • /
    • 2010
  • 이 논문은 회전교차로 우회전 별도차로를 다루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회전교차로 기하구조의 설계요소 중 우회전 별도차로의 설치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VISSIM을 이용하여 우회전 별도차로의 설치 전 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우회전 별도차로 설치 방식인 양보에 의한 통제 형태와 합류에 의한 통제 형태의 운영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회전 별도차로 설치 후에는 우회전 교통량비의 증가에 따라 지체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최대 평균 약 2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보에 의한 통제 형태와 합류에 의한 통제 형태 모두 우회전 교통량이 증가할수록 지체가 감소하였다. 또한 합류에 의한 통제 형태가 양보에 의한 통제 형태보다 최대 평균 약 18% 지체감소 효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행교통량 변화에 따른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 (Operational Effectiveness of Roundabout by the Change of Pedestrian Traffic Volume)

  • 인병철;박민규;박병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24-31
    • /
    • 2011
  • 본 연구는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다루고 있다. 회전교차로는 신호교차로에 비해 지체감소와 친환경적이라는 기존 연구결과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설치가 고려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교통량을 고려한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교차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보행교통량과 진입교통량에 따른 분석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차량당 평균제어지체 비교 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VISSIM 프로그램이 교통 시뮬레이션 도구로 사용된다. 분석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행교통량에 근거하여 지체를 분석한 결과, 보행교통량이 회전교차로의 운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보행교통량이 증가할수록 회전교차로의 지체도 증가하여, 보행교통량 1,000인/시 일 때 1차로 회전교차로에서는 총 진입교통량 800pcph, 2차로 회전교차로에서는 1,600pcph 이상 진입 시 신호교차로가 회전교차로보다 운영효율이 높게 평가되었다.

보행신호 운영에 따른 회전교차로의 효과 분석 (Effectiveness Analysis of Roundabout Based on the Operation of Pedestrian Signal)

  • 김경환;박병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9
    • /
    • 2012
  • 이 연구는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보행신호 운영에 따른 회전교차로의 운영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VISSIM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보행신호 운영(7개), 교차로 유형(2개), 보행교통량(8개) 및 진입교통량(15개)에 따른 1,680개의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지 1차로 회전교차로는 유형 2, 4지 2차로 회전교차로는 유형 6이 다른 유형에 비해 운영효과가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보행신호 운영의 평균 지체가 비신호 횡단보도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4지 1차로는 표준 횡단보도가 2단 횡단보도에 비해 평균지체가 8.18% 감소하였다. 반면, 4지 2차로는 2단 횡단보도가 표준 횡단보도에 비해 36.53%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국내 로터리의 회전교차로 전환에 따른 운영효과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Operational Effectiveness Related to the Conversion of Rotary to Roundabout in Korea)

  • 임진강;박병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77-83
    • /
    • 2011
  • 이 연구는 회전교차로의 효과를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로터리를 회전교차로로 전환함에 따른 운영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로터리 20개 지점을 조사하고, VISSIM을 통해 개선 전 후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그 효과를 비교분석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국내의 로터리는 효과적인 회전교차로 운영을 위하여 기하구조 측면에서 많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교통량을 적용하였을 경우 로터리의 운영효과는 다소 좋은 것으로 나타나지만 그 차이는 매우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도시부 로터리의 경우 교통량이 증가할수록 차량당 평균지체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지방부의 경우 도시부에 비해 교통량이 적기 때문에 회전교차로의 평균속도는 로터리에 비해 약 10km/h의 속도저감효과를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기행렬 소거시간을 고려한 회전교차로 실시간 신호미터링 운영 연구 (A Study on Real Time Signal Metering Operation at Roundabouts by Considering Queue Clearance Time)

  • 이솔;안우영;이선하;조한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33-143
    • /
    • 2018
  • 회전교차로(Roundabouts)는 비교적 교통량과 보행자가 적은 교차로에 신호등 없이 설치되어 원형교통섬을 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통행하는 비신호 교차로이다. 회전교차로 설치이후 비정상적인 교통수요 발생 및 보행량 증가 시 운영효율성 감소에 따른 대처방안으로 회전교차로 신호미터링(Signal Metering)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신호미터링 운영 알고리즘(Algorithm)은 양보선과 검지기간 사각지대 및 회전차로에 존재하는 차량의 대기행렬을 고려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기행렬 소거시간(Queue Clearance Time)을 고려한 실시간 회전교차로 신호미터링 운영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VISSIM의 Com-Interface를 활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총 진입교통량 3,200~4,800대/시에 대기행렬 소거시간 21~50초를 적용 시 차량 당 평균지체가 16.1~71.7%까지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지 교차로에서 보행자 교통량에 따른 보행자작동신호기를 이용한 신호제어효율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n Signal Control Efficiency in a Three-Leg Intersection Adopting Pedestrian Push-Button System Following Pedestrian volume)

  • 김응철;조한선;정동우;김형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21-128
    • /
    • 2009
  • 본 연구는 기존 정주기식 신호제어로 인하여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3지 교차로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안으로써 반감응 신호제어를 기본으로 하고 보행자작동신호기를 사용하는 신호운영방식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반감응 신호제어의 경우 부도로에 교통량이 적을 때 주도로의 교통소통을 원활히 하여 교차로 내 지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보행자작동신호기는 보행자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보행자 신호를 작동시켜 발생하는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위의 두 가지의 장점을 모았을 경우 기존의 정주기식 신호제어와 반감응식 신호제어에 비하여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미시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VISSIM을 사용하여 정량화된 차량당 평균지체 감소의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인천의 1개 3지 교차로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각각의 신호제어 방식에 따라서 보행자 교통량을 변화시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나리오 별 분석을 통하여 차량당 평균지체시간을 비교한 결과, 대상교차로는 정주기식 신호제어에 비하여 보행자작동신호기를 이용한 신호제어방식이 최소 3.7초(10%), 최대 6초(16%)의 감소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반감응식 신호제어와의 비교에서는 보행자교통량이 측정교통량의 20% 이하일때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내부 미터링을 이용한 과포화 네트워크 신호제어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Signal Control Algorithms using Internal Metering for an Oversaturated Network)

  • 송명균;이영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85-19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에 과포화가 발생했을 경우 차량들이 경험하는 총지체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내부미터링을 이용한 신호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의 총지체를 계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상에 차량의 진입 및 진출을 검지할 수 있는 검지 시스템을 설치하였고 차량군 분산 모형을 이용하여 링크상에서 차량의 흐름을 추적하였다. 이어서 차량추적을 통하여 네트워크에서 모든 링크의 대기행렬 길이를 계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정지지체를 구하고, 시공도를 이용하여 정지지체를 접근지체로 변환하였다. 계산된 지체를 기반으로 계산된 지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내부미터링수준을 도출하는 알고리즘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미시적 모의실험 도구인 VISSIM을 이용한 모의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을 가상 네트워크에 적용할 경우 차량들이 경험하는 평균지체는 82.3초/대로써 COSMOS 방식의 89.9초/대나 TOD 방식의 99.1초/대보다 낮은 값이 도출되었다. 이것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이 과포화 네트워크의 신호제어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