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ic titra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PC 카메라를 이용한 수돗물의 과망간산칼륨소비량 적정 자동화 (Automatic Titration for KMnO4 Consumption Test of Tap Water Using Personal Computer Camera)

  • 이형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95-100
    • /
    • 2008
  • An automatic titration system using a PC-camera with a color filter on its lens was used in the $KMnO_4$ consumption test of tap water and distilled water in relation to blank tests. The very faint pink color of titration end point could be effectively detected by using a yellow cellophane paper as a color filter. The average hue value (Havg) of 192 pixels in the image of the sample solution being titrated was computed and followed up at regular time intervals during titration in order to detect the titration end point. The Havg decrease of 2 degrees from the average of first 10 Havgs was regarded as reaching the end point. The volume of 0.01N $KMnO_4$ consumed by a tap water sample was $0.728{\pm}0.022ml$ in manual titration and $0.735{\pm}0.013ml$ in automatic titration (p=0.580). The volume of 0.01N $KMnO_4$ consumed by a distilled water sample was $0.383{\pm}0.015ml$ in manual titration and $0.367{\pm}0.015ml$ in automatic titration (p=0.252). The high p-values for t-test suggested that there were good agreements between manual and automatic titration data and the automatic method proposed in this article was considered to effectively replace the manual titration.

미량확산법에 의한 휘발성염기질소 분석에서 PC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적정 (Automatic Titration Using PC Camera in Volatile Basic Nitrogen Analysis by Microdiffusion Method)

  • 이형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35-137
    • /
    • 2005
  • 미량확산법에 의한 휘발성염기질소 분석에서 PC카메라를 이용하여 자동적정하기 위하여 자동적정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자동적정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자동적정방법은 피적정액 화상 중 마우스 포인터에 의하여 지정된 화소의 Green값과 Red값이 적정종말점에서 서로 반전되는 것을 이용하였다. 돈육시료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부패도가 다른 모든 시료에서 자동적정과 수동적정간에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서로간에 높은 상관성이 있었고 잘 일치하였다.

PC 카메라를 이용한 식초, 우유 및 탁주의 산도 적정 자동화 (Automatic Titration Using PC Camera in Acidity Analyses of Vinegar, Milk and Takju)

  • 이형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1583-1588
    • /
    • 2007
  • PC 카메라를 이용하여 식초, 우유 및 탁주의 산도 적정을 자동화하였다. 피적정액의 화상에서 선택된 144개 pixel의 hue값의 평균값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산출하고, 이 평균값의 변화를 추적하여 적정액의 공급을 제어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식초와 우유의 적정에서는 hue값 평균값이 적정전보다 5이상 증가하는 것을 종말점으로 하였으며, 탁주의 경우에는 70이상 증가하는 것을 종말점으로 하였다. 이 방법을 식초, 우유 및 탁주의 산도 적정에 적용한 결과, 식초의 경우에는 수동적정과 자동적정의 0.1 N NaOH용액의 소요량이 각각 $21.409{\pm}0.066mL$$21.403{\pm}0.055mL$였고, t-test 결과 p값이 0.841이었다. 우유의 경우에는 수동적정과 자동적정의 0.1 N NaOH용액의 소요량이 각각 $1.390{\pm}0.025mL$$1.388{\pm}0.027mL$였고, p값은 0.907이었다. 탁주의 경우에는 수동적정과 자동적정의 0.1 N NaOH용액의 소요량이 각각 $4.738{\pm}0.028mL$$4.752{\pm}0.037mL$였고, p값은 0.518이었다. 세가지 경우 모두 유의수준 0.05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므로(p>0.05), 본 연구의 자동적정 방법을 산도 적정에 응용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으며, 색변화를 이용하여 종말점을 검출하는 대부분의 적정에 무리 없이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마이크로 pH전극을 이용한 휘발성염기질소의 자동적정 (Automatic Titration Using Micro pH Electrode in Volatile Basic Nitrogen Analysis)

  • 이형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07-509
    • /
    • 2006
  • 미량확산법에 의한 휘발성 염기질소 분석에서 고체소자센서가 부착된 마이크로 pH 전극을 사용하여 적정 과정을 자동화하기 위하여 자동적정시스템을 구성하고 자동적정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 자동적정시스템으로 돈육시료의 휘발성염기질소 분석을 수행한 결과 부패도가 서로 다른 모든 시료에서 자동적정과 수동적정의 평균들 간에 유의수준 15%에서도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두 방법의 평균치들 사이에 높은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당량점 예측 알고리듬에 의한 가성소다 처리 섬유감량 시스템용 자동적정 장치 설계 (Design of an Automatic Titration System for Caustic Soda Treatment System Using the Equivalent Point Estimation Algorithm)

  • 조진호;진경찬;유병희;구성모;김명남;이종현;이홍락
    • 센서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8-35
    • /
    • 1994
  • 폴리에스 섬유의 감량을 위한 가성소다 처리 시스템에서 감량정도를 알기 위해서는 가성소다의 농도 측정 장치가 필요하다. 감량공정에서는 여러번의 농도측정이 요구되므로 단위농도 측정 공정은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따른 당량점 검출 알고리듬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매 적정액 주입 후 측정되는 각 pH값들로써 적정곡선을 추정하였고, 정확한 당량점을 예측하기 위해서 카디날 스프라인 알고리듬을 사용하였다. 처리시간이 경과되는 동안의 여러 당량점들을 이용하여 섬유의 감량 직선을 자동적으로 추정하고 그래프로 나타낼 수 있게 하였으며 섬유감량 시스템의 감량종료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자동적정 장치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설계하였다.

  • PDF

반사분광분석기법을 채용한 광학적 반자동적정장치의 제작과 응용 (Construction and Use of an Optical Semi-Automatic Titrator Employing the Technique of Reflectance Photometry)

  • 황훈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513-519
    • /
    • 2001
  • 반사분광분석기법을 채용한 광학적 반자동적정장치를 제작하여 산-염기적정, 산화-환원적정, 침전적정,그리고 착화적정과 같은 네가지 대표적 유형의 적정분석에서 적정장치의 효용성을 알아보았다. 광학적 반자동적정장치는 적정분석에서 적정액의 색만이 변하는 산-염기적정, 산화-환원적정, 그리고 EDTA적정의 종말점 뿐 아니라 적정이 진행되는 동안 적정액에서 고체 입자들이 형성되는 침전적정의 종말점 역시 성공적으로 판별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의 광학적 반자동적정장치는 앞으로 완전한 형태를 갖춘 광학적 자동적정장치의 제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 PDF

Determination of Stability Constants Using Electrochemical Methods for the Complex Formation of Platinum and Palladium with Polyelectrolytes

  • Park, Joon Seo;Chung, Koo Soon
    • 분석과학
    • /
    • 제8권4호
    • /
    • pp.691-698
    • /
    • 1995
  • The complexation of platinum and palladium with synthetic polyelectrolytes was studied. The successive and overall stability constants of Pd(II) with PEI and 2PVP were obtained by potentiometric titration. Because of the slow equilibrium time, the potentiometric titrations were performed using the home-made automatic titrator in order to analyze the complexations according to the modified Bjerrum method. The complex formation constant of Pt(IV) with 2PVP, measured by differential pulse polarography, was calculated from the peak currents that were obtained in non-complexing media and in solution containing 2PVP.

  • PDF

분광학적 적정기(SPT)와 기존 적정기의 산-염기 적정 동등성 검증 (Validation of acid-base titration equivalence between spectroscopic titrator (SPT) and conventional titrators)

  • 신지원;김예진;이효성;신지선;유혜인;채원석
    • 분석과학
    • /
    • 제34권6호
    • /
    • pp.267-274
    • /
    • 2021
  • 분광학적 검출에 의해 종말점을 확인하는 적정기(Spectrator; SPT)와 기존 적정기(automatic burette; ABT, autotitrator; ATT)를 사용한 분석 결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동일한 시료에 대한 산-염기 적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기 다른 적정장치를 사용하여 얻어진 측정값(종말점)의 직진성, 동등성, ANOVA, F-테스트, t-테스트 등을 통하여 차이점을 통계학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직진성에서 확인된 결정계수는 모두 0.999 이상이고 통계적으로 분석된 결과에 의하여 측정값에 차이가 없다는 귀무가설은 채택되었다. 새로운 실험방법에 대한 일치성을 확인하는 Bland-Altman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적정장치에서 얻어진 측정값에서 불일치 양상이 확인되지 않았다.

자동형 양압유지기의 자동적정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uto-titrating Algorithm for Auto-titrating Positive Airway Pressure)

  • 박종욱;에르덴바야르;김윤지;이경중;이상학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32-136
    • /
    • 2019
  • This study proposes an auto-titrating algorithm for auto-titrating positive airway pressure (APAP). The proc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as follows. First, sleep apnea-hypopnea and snoring events were detected using nasal pressure. Second, APAP base pressure and SDB events were used for automatic titration of optimal pressure. And, auto-titrating algorithm is built into M3 (MEK-ICS CO. Ltd., Republic of Korea) for evaluation. The detection results of SDB showed mean sensitivity (Sen.)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of 85.7% and 87.8%, respectively. The mean pressure and apnea-hypopnea index (AHI) of auto-titrating algorithm showed $13.0{\pm}5.2cmH_2O$ and $3.0{\pm}2.4$ events/h, respectively. And,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whether the performance of our algorithm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utoSet S9 (p>0.05). These results represent better or comparable outcomes compared to those of previous APAP devices.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성능에 미치는 산소/질소 함유 관능기들의 영향 (Influence of Oxygen-/Nitrogen-containing Functional Groups on the Performance of Electrical Double-Layer Capacitor)

  • 김지은;권용갑;이중기;최호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6호
    • /
    • pp.1043-104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DLC, Electrical Double Layer Capacitor)의 전극소재로 쓰이는 활성탄소의 안정화를 위해 산소함유관능기를 최소화하고 질소함유관능기의 도입을 통해 유기용액계의 전해질을 가지는 EDLC의 축전용량을 개선하는 연구를 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후리에 변환 적외선분광기(FTIR, Fourier Transform Infrared), 자동원소분석기(EA, Elemental Analysis), 보엠(Boehm) 적정법, 충 방전 테스트 등의 분석법을 이용하여 그 결과를 확인하였다. 산 처리를 통하여 산소함유관능기가 도입되고 요소처리를 통하여 질소함유관능기가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질소함유관능기 도입을 통하여 EDLC의 g 당 방전용량을 2 mA 상승시켰으며 빠른 속도로 최대 충 방전 성능을 달성하였다. 반면 산소함유관능기는 전해질 속의 전하가 탄소표면에 흡 탈착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낮은 방전용량을 보였고, 충 방전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방전용량의 큰 감소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