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ed transfer crane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6초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셔틀 캐리어 이송능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A Shuttle Carrier at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 하태영;최용석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6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ransport ability of AGV(Automated Guided Vehicle) and SHC(SHuttle Carrier).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of transport vehicles is that AGV depends on container crane or transfer crane to do loading/unloading container, but SHC is very independent to it. Therefore, the transport ability of SHC is expected to be higher than AGV, So, in this paper, we established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two types of transport vehicles and analyzed the results. Simulation model was established to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with perpendicular yard layout, and applied closed loop operation of transport vehicle between apron and stacking yard. In the result, SHC showed very superior than AGV aspect of container crane productivity and vehicle fleets,

  • PDF

슬립을 고려한 트랜스퍼 크레인의 주행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cking Control of a Transfer Crane with Tire Slip)

  • 정지현;이동석;김영복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212-1219
    • /
    • 2010
  •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container terminal is to handle the cargo effectively in the limited time. To achieve this object, many strategies have been introduced and applied to. If we consider the technical trends and environment of the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it is necessary that the systems for cargo handling are equipped with more intelligent control technologies. To cope with this tendency, from the middle of the 1990's, the automated RMGC (Rail-Mounted Gantry Crane) and RTGC (Rubber-Tired Gantry Crane)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to handle containers in the yards. Recently, in these cranes, the many equipments like CCD cameras and sensors are mounted to cope with the automated terminal environment. If we want to obtain more efficient handling performance, the modelling, tracking control, anti-sway system design, skew motion suppressing and complicated motion control problems must be considered in the control system design and application process. Considering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the system modelling with the tire slip and a tracking control approach are proposed. Especially, we design the tracking control system based on the 2DOF servosystem design approach to cope with undesirable disturbance input.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e desirable performance and usefulness of the designed control system.

Development of Operation Strategy to improve Efficiency for Twin Automated Transfer Crane in a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 Park, Byung-Joo;Choi, Hyung-Rim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605-611
    • /
    • 2007
  • In order to become a mega hub port, major ports all over the world are making every effort to enhance their productivity through efficiency of internal operation. Accordingly,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a container terminal, a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is considered as the best alternative. A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is using such automated handling equipment as AGV(Automated Guided Vehicles) and ATC(Automated Transfer Crane). The efficient equipment oper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enhancing the productivity of a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In a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the most important equipments are AGV and ATC. Each block of containers with a vertical layout is generally operating two ATCs. The two ATCs can be crossed or not at each block. In the case of operating crossover ATC, it has an advantage of high flexibility that ATC work is possible at both TP(Transfer Point) of each block. But it has also a disadvantage that the yard has to be operated at a low storage level of containers in the terminal yard. Recently, for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which are being prepared for opening in Korea, they plan to use uncrossed twin ATC in order to make the storage level of their yards high at a low cost. Therefore, studies have to be mad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win ATC system based on the flexibility that the crossover ATC system has.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an operation strategy to improve efficiency of twin ATC at each storage block in a yard.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수입 컨테이너 장치 블록 크기 결정을 위한 모형 (Models for Determining the Size of Import Container Block i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 김기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705-710
    • /
    • 2007
  •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생산성은 자동화된 트랜스퍼 크레인(Automated Transfer Crane, ATC)의 속도에 관계된 성능뿐 만 아니라 컨테이너 블록의 크기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ATC의 컨테이너 취급시간과 장치공간을 고려하여 수입 컨테이너 장치 블록의 크기를 어떻게 결정할 것인가에 대해서 다룬다. 먼저, 전형적인 수입 컨테이너 블록에서 ATC의 컨테이너 취급시간을 평가하는 모형을 제시한다. 둘째, 수입 컨테이너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는 세 가지의 수리모형을 제시한다. 컨테이너 장치 블록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제시한 모형들에 대한 수치예제를 제시한다.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운송장비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A study on efficient operation method of handling equipments i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 이상완;최형림;박남규;박병주;권해경;유동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2년도 추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 /
    • pp.63-70
    • /
    • 2002
  • 중심(Hub)항만이 피기 위한 주요과제는 자동화이다. 선진항만은 이미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을 실용화하고 있는 단계이고, 국내의 경우는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을 구축하기 위한 기본계획 및 실시설계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의 핵심은 자동화 장비인 ATC(Automated Transfer Crane)와 AGV(Automated Guided Vehicle)의 효율적인 운영이다. 자동화 장비의 효율적인 운영은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에 효율적인 3가지의 An 운영규칙과 AGV 배정규칙을 사용하여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컨테이너 선적시간을 최소로 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장비운영규칙을 제안하고자 한다.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자동화 장비 운영에는 예기치 않은 교착이나 간섭이 발생하므로, 장비운영에 관한 계획은 이벤트 중심으로 실시간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계획에 가장 적합한 An 운영규칙과 AGV 배정규칙을 제안하고, 이들 규칙들의 수행도를 평가하기 위해 실제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생길 수 있는 다양한 환경들에서 시뮬레이션 한다. 이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파라미터-야드의 리마샬링(re-marshaling)정도, 컨테이너 처리 개수, 운영 AGV 대수-에서 가장 로버스터(robust)한 자동화 장비의 통합운영규칙을 제시한다.

  • PDF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의 이적작업에 관한 시뮬레이션 연구 (A Study on Simulation of Remarshalling Work in a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 이주호;최용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03-208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의 ATC에 의한 이적작업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은 수직배치의 장치장 형태이며 한 블록에서 반입, 반출, 양하, 적하의 네가지 작업이 발생하게 되므로 운영측면에서 장치장 할당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효율적인 장치장 운영을 위해서 ATC에 의한 한 블록내에서의 이적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하여 이적작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장치장 할당에 관한 방법을 제시한다.

  • PDF

자동화터미널의 ATC 운영전략 개발 (A Development on the ATC Operation Strategy of the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 김우선;남기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5-24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개발예정인 자동화터미널에 적용가능한 효율적인 ATC 운영로직을 개발하기 위해서 ATC 장비 운영전략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ATC의 효율적인 운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동적운영로직을 개발하고, 단순한 할당규칙을 수립하여 시뮬레이션 실험으로 로직검증을 하였다. 실험결과 ATC 생산성 저해요인인 간섭을 최소화하는 간섭최소화전략과 능동적인 간섭회피전략이 ATC의 대기시간 및 간섭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ATC의 운영효율성을 향상시켜서 자동화터미널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AN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동화 크레인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utomated Transfer Crane System using CAN Network)

  • 김만호;하경남;이경창;홍금식;이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55-560
    • /
    • 2005
  • 전체 시스템을 최적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정보공유의 필연성 등으로 대다수의 제어 시스템이 디지털 제어 시스템으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제어 시스템이 원활하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점대점 연결방식이 아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시스템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산업용 네트워크를 지능형 항만 물류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할 연구가 최근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MEA 2000의 기반이 되는 CAN 프로토콜을 이용한 크레인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단순화된 네트워크 기반 제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트랜스퍼 크레인의 고정도 주행제어에 관한 연구 : 2자유도 서보계 설계법을 이용한 제어계 설계 및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ccurate Tracking Control of a Transfer Crane Based on the 2DOF Servosystem Design Approach)

  • 김영복;이권순;한승훈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7-62
    • /
    • 2006
  •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container terminal is to handle the cargo effectively in the limited time available. To achieve this objective, many strategies have been introduced and applied. To create an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it is necessary for the cargo handling equipment to be equipped with more intelligent control systems. From the middle of the 1990's, automated rail-mounted gantry cranes (RMGC) and rubber-tired gantry cranes (RTG) have been widely used to handle containers in yards. Recently, many pieces of equipment, like CCD cameras and sensors, have beenmounted in these cranes to cope with the automated terminal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try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more intelligent automated cranes, which allow for more effective cargo handling in yards. For this purpose, the modeling, tracking control, anti-sway system design, skew motion suppressing, and complicated motion control and suppressing problems must be considered. Especially, in this paper, the system modeling and a new tracking control approach are discussed, and an experimental study is performed based on a two-degree-of-freedom (2DOF) servosystem design.

자동화 크레인 시스템을 위한 IEEE1451 기반 스마트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IEEE1451-based Smart Module for Automated Transfer Crane System)

  • 하경남;김만호;이경창;이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51-256
    • /
    • 2005
  • 항만 물류 시스템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항만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한 자동화 크레인 시스템의 개발이 다양하게 진행 중이다. 자동화크레인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각종센서와 액츄에이터를 정밀 제어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스템에 장착되는 네트워크 기반 스마트 모 듈은 센서 선호획득 및 필터링 기능, 데이터 연산 및 통신기능이 한 보드상에 구축되어 있어 고장이나 프로토콜이 지원이 다른 모듈을 사용할 경우 모듈 전체를 교체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IEEE 1451 기반의 네트워크 독립적인 스마트 모듈을 제안하고 제안한 스마트 모듈의 성능을 평가하여 크레인 시스템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