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3초

스마트폰을 이용한 응급상황 대처 연구 (A Study of Coping Ways in Emergency Situations Using SmartPhones)

  • 구민정;서정만;장영현;한우철;백영태;표성배;임현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5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1호
    • /
    • pp.87-90
    • /
    • 2012
  •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빈번히 발생되는 정지의 위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심폐소생술의 방법을 스마트폰으로 습득할 수 있게 제작하였으며, 심폐소생 자동기기가 비치되어 있는 경우, AED(자동심장제세동기,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를 사용하여 심폐소생할 수 있는 방법을 단계별로 제공하고 동영상으로 따라해 볼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신체의 위급한 상황에 대한 발견 및 응급대처 후 인접한 병원에 접근하기 위한 위치정보를 바로 찾아 볼 수 있도록 메뉴를 설정하였으며, 부가적으로 화재시 일반차량들이 소방차의 길을 터주는 안내 동영상도 탑재하여 공익홍보 효과를 더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익적인 특성의 국민 대상 안내, 지침을 App으로 홍보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앞으로 일반적인 상업용 기업의 메뉴얼로 확장 가능하다.

  • PDF

물리치료사의 응급처치 지식 및 교육요구도 (First aid knowledge and education requirements of physical therapists)

  • 이남기;김동옥;최보람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3-11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irst aid knowledge and education requirements of physical therapists in a clinical setting.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80 physical therapists in Daejeon, Gwangju, and Seoul from July to December, 2016. Using only completed questionnaires, 201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3.0 program. Results: In the first aid knowledge, time to resuscitate heart after cardiac arrest and sprain had 91.0% and 99.0%, respectively, whereas partial respiratory obstruction and diabetes mellitus had 25.4% and 18.9%, respectively. The subjects working at advanced general hospitals(62.17)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t those at general hospitals(53.82). The subjects who experienced first aid education(59.16) had significantly higher points that those without first aid education(53.24). Regarding their requirements of first aid education, 64.0% replied that they wanted to lear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poisoning, burn, and frostbite were low educational requirement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peated first aid training that helps physical therapists in the field have sufficient first aid knowledge and increase that knowledge over time.

병원직원의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Ability of CPR of Hospital Staffs)

  • 이정화;성미혜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9권2호
    • /
    • pp.96-10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hospital staffs' performance abi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50 hospital staffs in B hospital located in Busan.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15, 2012 and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19.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formance ability of CPR depending on occupations, CPR experience, CPR situations, identification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location within the hospital, AED use experience, CPR training experience and AED training experienc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PR knowledge and performance ability in addition to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PR attitude and to performance ability.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ability of CPR were CPR attitude, occupations, CPR training experience, knowledge and identification of AED location within the hospital. Those factors explained about 40.1% of the varianc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for hospital staff to improve the levels of performance ability of CPR.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수행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for Intention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Nursing Students)

  • 박주영;김현진;송경진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1-140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for intention to perform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146 students at G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descriptive study.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6 to November 30, 2018. Results: In this study, intention to perform CPR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attitude of CPR (r=60, p<.001), self-efficiency of CPR (r=.53, p<.001), and confidence i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utilization (r=.47, p<.001).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actors influencing for intention to perform CPR were attitude of CPR (${\beta}=.60$, p<.001) and confidence in AED utilization (${\beta}=.26$, p<.001). Overall, approximately 41% of the variability in intention to perform CPR was explained by these variables ($R^2=.41$, F=50.04, p<.001).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the intention to carry out CPR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to strengthen a positive attitude toward CPR in fundamental nursing and clinical nursing practices in addition to improve confidence in AED utilization.

자동심장충격기 설치현황 및 관리 실태 조사 (A survey on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 서혜진;윤수지;김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45-251
    • /
    • 2018
  • 본 조사 연구는 일개 도내의 자동심장충격기 의무설치 기관의 자동심장충격기 설치현황 및 관리 점검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2017년 11월 20일부터 2017년 12월 2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169대의 자동심장충격기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로 파악하였다. AED는 168대(99.41%)가 기관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4시간 항시 자동심장충격기가 운영되고 있는 경우는 47대(27.80%), 기관 운영시간 외에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는 44대(26.00%)으로 파악되었다. 책임관리자가 구조 및 응급처치 교육을 받은 경우가 87명(51.43%)이었으며, 자동심장충격기의 관리현황은 배터리 충전상태의 문제가 있는 경우는 2대(1.20%), 환자 부착용 AED패드의 유효기간이 지난 경우로 7대(4.10%)로 조사되었다. 향후 자동심장충격기 관리책임자를 위한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체계적 유지관리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야 한다. 또한 자동심장충격기 설치 관리에 대한 법률 강화 및 제도적 정비를 통한 지속적인 관리실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일반인의 AED 사용에 관한 한·일 비교 연구 (South Korean and Japanese intention to use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situations)

  • 임승환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27
    • /
    • 2014
  • 연구 목적 : 한국에서 일반인의 의한 AED의 사용 사례를 극히 드물다. 병원 전 심정지 상황에서 특히 제세동이 필요한 환자의 소생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인에 의한 AED 사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AED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며, 한일 비교를 통해 사회적 특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 2013년 2월 25일부터 3월 4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한국에서 517명, 일본에서 520명의 데이터를 회수했다. 설문지를 통해 파악한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AED에 관한 지식 요인이 AED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 한국의 517 명의 응답자 중 220명, 42.6%만이, 그리고 일본의 520명의 응답자 중 387 명, 74.4%가 AED를 사용해 환자를 도우려는 의사를 가지고 있었다. 한국과 일본 모두 성별은 유의한 요인이었다(한국 odd ratio[OR] = 0.419, 일본 OR = 0.582). 양국 모두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AED를 사용해 환자를 도우려고 하지 않았다. AED에 관한 지식은 양국 모두에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었다. 국가 간의 차가 있었던 요인은 우선 연령이었다. 연령 요인이 한국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일본에서는 젊을수록 AED 사용의사가 높았다(OR = 0.968). 또한 일본에서는 심장병력이 유의한 요인(OR=2.099)이었다. 결 론: 본 연구는 AED사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 AED에 관한 지식임을 밝혔다. 따라서, 병원 전 심정지 상황에서 제세동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AED 설치와 함께 사회적 요인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Factors influencing success and safety of AED retrieval i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s in Singapore

  • NG, Jonathan Shen You;HO, Reuben Jia Shun;YU, Jae Yong;NG, Yih Yng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7-111
    • /
    • 2022
  • 연구 목적: 병원 밖 심정지(OHCA)에서 자동제세동기(AED)의 사용은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킨다. 싱가포르는 절도를 막고자 공공 AED를 '브레이크 글래스' 기전의 잠금 박스로 보호하고 있는데 지역사회 대응자들은 AED를 회수하기 위해 유리를 깨면서 부상을 당하곤 했다. 최초로 시도한 본 연구는 성공적인 AED 회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만연한 부상을 문서화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설문지를 작성, 배포하였다. 참가자는 지난 12개월 동안 OHCA에 대처한 자들이다. 비교 검정은 피셔-프리만-할턴 정확 검정 또는 피어슨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여 5% 유의 수준에서 시행되었고, 로짓링크함수를 사용하여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88명의 참가자가 적격했다. 성공적인 AED의 회수는 직업, 연령, 성별 및 시간 영향을 받지 않았다. myResponder 앱의 활성화로 OHCA에 대응했던 참가자들은 성공적으로 AED를 회수할 가능성이 높았다. (AOR 11.111, 95% CI: 2.141-58.824) 결 론: 모바일 myResponder 앱을 활용할 경우 AED회수 성공률이 훨씬 높았다. AED의 성공적 회수는 시간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성별, 연령, 직업과 무관했다. 싱가포르에서 지역사회 대응자들은 부상 위험에도 불구하고 심정지에 대응할 적극적 자세가 되어 있다.

일개 병원 신입간호사의 기본심폐소생술 학습경험, 지식 및 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Learning Experience,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Newly Graduated Nurses)

  • 천선희;오윤희;김성수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1-209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arning experienc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n newly graduated nurse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related to learning experi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4 new nurses in the hospital. They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CPR learning experience. They were evaluated by a written test and a skill test using a manikin and check list. Results: All participants attended CPR lectures and underwent practice while in university. Only 12.28% of participants were taught by a certified Basic Life Support (BLS) instructor. The mean scores of the written and skill tests were $79.82{\pm}12.69$ and $64.41{\pm}11.71$, respectively. The nurses lacked CPR knowledge related to checking breathing, the frequency of 30 chest compressions, compression rate,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use. They also lacked skill in performing CPR related to checking breathing and pulse and giving 2 breaths. CPR performance differed according to learning time (p=.047) and BLS educator (p=.029).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CPR performance by newly graduated nurses is poor and suggest that CPR education by trained instructors, practice-based education, and reeducation programs must be provided to newly graduated nurses in the hospital.

일부지역 치과위생사의 심폐소생술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implementation of CPR by dental hygienists in certain regions)

  • 천혜원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037-1051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nowledge of dental hygienists on CPR, their CPR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 in an effort to offer data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more effective CPR education program.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234 dental hygienists in Jeollanam and Jeollabukdo from February 24 to May 20, 2017. The questionnaire asked dental hygienists of the knowledge, attitude, performance ability in regards to CP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 ver. 19.0 program through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hi-squar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Cronbach alpha of their CPR knowledge was 0.78, and that of attitude to CPR was 0.79. The Cronbach alpha of CPR performance ability was 0.96. Results: The dental hygienists surveyed in this study who were aware of CPR accounted for 88.9% of total subjects. Dental hygienists who were certified in CPR accounted for 20.5% of total subjects. They received a score of 7.66 on CPR knowledge, 3.33 on attitude and 2.61 on performance abilit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knowledge and attitude, between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ability and between the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 (r=0.332, r=0.461, r=0.426). A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dental hygienists who were younger, who graduated from a four-year university or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who were CPR certificate holders, who received more CPR education, who were cognizant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who were more knowledgeable on CPR and who took a more positive attitude were more likely to be affected in terms of CPR performance. Conclusions: The dental hygienists surveyed were aware of CPR on the whole, but their CPR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were not sufficient to perform CPR in emergency situations. More intensiv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dental hygienists to have an accurate knowledge of CPR to carry it out with a positive attitude.

항공기 승무원의 기본응급처치 의식 조사 (Awareness level of basic emergency treatment by airline cabin crew)

  • 노상균;이재국;이정현;김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075-4082
    • /
    • 2011
  • 항공기 승무원은 최초 반응자로 비행기내 환자 발생 시 적절하고 신속하게 응급처치를 시행하여야 한다. 승무원의 기본응급처치 의식조사 결과, 출혈 관리, 소아 고열, 경련, 심근경색, 기도유지, 부분기도폐쇄 등에 대한 대처방법은 80.5%~97.8%로 올바르게 의식하고 있었지만 의식 없는 기도폐쇄, 호흡확인 방법, 영아자동제세동기 사용 등에 대한 대처방법은 3.2%~20.0%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내에서 발생되는 환자 중 발생빈도가 높은 유형, 해결하기 어려운 유형,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유형 등에 대한 응급처치 매뉴얼이 마련되어야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