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claving method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8초

대파 향미유의 원재료 부위별 향미특성 (Flav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arts of Raw Materials on Allium fistulosum L. Seasoning Oil)

  • 구본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65-469
    • /
    • 2005
  • 대파를 부위별로 분획하여 대파 전체, 잎, 줄기, 뿌리를 동량 처리하여 각각 autoclaving법에 의하여 대두유를 기질로 WOSO를 제조하였다. 이들 4종 WOSO의 이화학적 특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대파 잎향미유의 경우 Lovibond 색상에서 고유의 청색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내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휘발성 향기성분은 총 35종이 검출되었으며, 주요 향기성분은 methyl propenyl trisulfide와 propenyl propyl trisulfide이었으며, 각각 대파 뿌리향미유에서 가장 높은 26.94 ppm, 26.26 ppm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propenyl propyl disulfide 등이 WOSO의 향미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성분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carbonyl 화합물 함량은 각각 79.46 ${\mu}g$, 77.17 ${\mu}g$, 76.32 ${\mu}g$, 73. 62 ${\mu}g$이었다. 결론적으로 WOSO에서 고유의 구수한 향미를 나타내는 부위는 잎이나 줄기가 아니라 뿌리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솔잎향미유 처리에 의한 건면의 품질개선 효과 (Quality improving effect of dries noodle according to treatment of pine needle seasoning oil)

  • 손무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1-194
    • /
    • 2001
  • Autoclaving법으로 제조한 솔잎향미유(pine needle seasoning oil, PNSO) 0~3%(w/w)와 유화제를 2:1(w/w)로 혼합하여 식염수에 용해시킨 후 이를 밀가루와 반죽하여 건면을 제조하였다. PNSO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흡수율, 부피팽창율, 고형분 용출율은 감소하였으며, 조리시간은 연장 되는 것으로 나타나 적정 처리량은 2~3%(w/w) 수준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관능검사 결과 PNSO의 처리에 따라 조리면에서 솔잎 고유의 녹색이 나타났으며, 조리면의 표면이 매끈하였고, 쫄깃쫄깃한 rheology 및 texture가 크게 개선되었다. PNSO 2%(w/w) 이상 처리군에서는 조리 후 20~30분이 경과하여도 조리면의 쫄깃쫄깃한 특성이 그대로 유지되어 식당, 단체급식소 등의 대량 취식용으로도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Microwave를 이용한 배지 융해와 공기 제거 (Usefulness of microwave to melt rehydrated media and to remove oxygen from anaerobic tube media)

  • 정윤섭;이귀녕;이삼열
    • 미생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8-152
    • /
    • 1980
  • The microwave of 2450 MHz, generated by a household cooking oven, was evaluated for its applicability to melt various rehydrated media and to remove dissolved oxygen from tubed media for anaerobic culture. The effect on the sterilization of E. coli in selective media was also evaluat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0 The microwave oven was useful in saving time for melting media and in eliminating heat and combustion gas from the laboratory, which were inevitable by-products in the conventional flame method. 2) Dissolved oxygen could be removed without boiling over by exposing the tubes of anaerobic culture medium after putting them in a wire basket in a beaker with water. 30 The count of E. coli during the melting of MacConkey and EMB agar were similar to those treated with open flame. The microwave treatment was not considered a possible mean to replace autoclaving even in these selective media.

  • PDF

솔잎 향미유의 제조와 기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Pine Needle Flavor oil)

  • 원종숙;안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9-138
    • /
    • 2001
  • 우리나라 어디서나 자생하고 있어서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고 예로부터 약용, 향료, 구급 식료품 등으로 사용되어 온 소나무잎의 일반성분과 향기성분을 분석한 후 솔잎의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autoclaving법을 사용하여 솔잎 및 솔잎분말 향미유를 제조하여 저장중의 색도 변화와 산화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실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솔잎과 솔잎 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이 각각 54.5와 8.2%, 조지방량은 4.9와 8.1%, 조단백질량은 1.4와 2.9%, 조회분은 0.8과 2.3%, 조섬유는 2.3과 4.9%, 탄수화물은 36.2와 73.7%였다. 2. 옥배유를 기질로 하여 제조한 솔잎 향미유의 산패도는 솔잎과 솔잎분말로 만든 솔잎 향미유들의 유도기간이 솔잎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유의 유도기간보다 각각 1.1 및 1.2배 증가되어 산패 억제가 인정되었으며 그 효과는 솔잎보다 솔잎분말로 제조된 향미유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3. 솔잎향미유의 저장중 색도의 변화는 기기적인 수치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육안적으로는 PNO(pine needle falvor oil)는 저장에 따라 투명해지는 반면 PPNO(flavor oil from powdered pine needle)는 혼탁해짐을 알 수 있었다. 4. 솔잎 분말 향미유에서 33종의 향기 성분들이 분리되었으며 주 된 성분은 $\alpha$ -pinene 20. 1ppm(31.1%), pentane 6.4ppm(9.8 %), tricyclene 4.8ppm(7.5%) camphene 4.4ppm(6.8%), hexanal 4.0ppm(6.2%), propane 3.9ppm(6.0%), $\beta$ -pinene 3.6ppm (5.6%), limonene 2.5ppm(3.9%)등 8종이었으며, 이들 주요성분의 총량은 49.6ppm으로 전체 검출량의 76.8%를 차지하였다. 5. 솔잎 분말 향미유를 송편 제조시 솔잎 향을 주는 참기름의 대체 기름으로 사용가능성의 관능 검사 결과, 기호성이 낮았으나 솔잎 분말 향미유와 참기름을 1 : 1v/v로 혼합한 경우는 기호도가 참기름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또한, 이 혼합유에 대해서 정량적 묘사검사를 실시한 결과 참기름의 고소한 향과 맛, 솔잎 분말 향미유의 솔잎향과 맛 등과 같은 특성들을 비교적 강한 것으로 인지(p<0.01)되어 송편의 맛과 향을 줄 수 있는 참기름대체 향미유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유백피 추출물의 항세균 작용 (Antibacterial Activity of Ulmus pumila L. Extract)

  • 이홍용;김치경;문택규;임치주;성태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
    • /
    • 1992
  • 유백피 추출물의 항세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 다른 농도의 추출물의 함유한 배지에서 MIC를 측정하고,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이 추출물은 실험에서 사용된 세균 중 S.aureus, S.epidermidis, S.faecalis, B.subtilis, M.luteus와 같은 그람 양성균 및 E.coli, S.typhi, P.vulgaris, P.aeruginosa와 같은 그람 음성균에서 높았고, K.pneumoniae에 대해서는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 추출물 중의 항세균 효과를 가진 물질은 $121^{\circ}C$에서 20분간 멸균한 후에도 항세균 효과에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 PDF

전자선 조사를 이용한 볏짚의 친환경 전처리 공정 (Environmentally-Friendly Pretreatment of Rice Straw by an Electron Beam Irradiation)

  • 이병민;이진영;김두영;홍성권;강필현;전준표
    • KSBB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297-302
    • /
    • 2014
  • The autoclaving assisted by an irradiation pretreatment method was developed without toxic chemicals to produce fermentable sugars for their conversion to bioethanol. In the first step, electron beam irradiation (EBI) of rice straw was performed at various doses. The electron beam-irradiated rice straw was then autoclaved with DI water at $120^{\circ}C$ for 1 h. A total sugar yield of 81% was obtained from 300 kGy electron beam-irradiated rice straw after 72 h of enzymatic hydrolysis by Cellulase 1.5L (70 FPU/mL) and Novozyme-188 (40 CbU/mL). Also, the removal of hemicellulose and lignin was 32.0% and 32.5%, respectivel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nvironmentally-friendly pretreatment method of rice straw by an electron beam irradiation could be applied for bioethanol production in plant.

바이오에탄올 원료로서 활용평가를 위한 낙엽의 전처리 비교 (Comparison of pretreatment of fallen leaves for application evaluation by Bio-ethanol raw material)

  • 최효연;김재형;박대원
    • 에너지공학
    • /
    • 제23권3호
    • /
    • pp.241-246
    • /
    • 2014
  • 본 연구는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고자 대표적인 임업부산물인 낙엽을 바이오매스로 하여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효소가수분해 공정을 적용하여 당화반응 특성을 비교 하였다. 전처리 방법은 화학적으로 산(HCl), 알칼리(NaOH, $NH_3$)처리하였고 각각 침지법, 교반법, 고압멸균법을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처리 효율은 효소가수분해 진행 후 포도당 생산량으로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알칼리 전처리에서는 산 전처리 대비 18% 높은 글루코즈 생산량을 보여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임업폐기물 화학적 전처리 방법으로는 알칼리처리가 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화학적 처리방법 중 각 방법을 적용하여 비교한 결과, 모든 방법이 알칼리-수산화나트륨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목질계 바이오매스 중 하나인 낙엽을 기질로 전처리 및 효소가수분해 공정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차후 바이오에탄올 생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생장배지 및 추출액의 멸균이 알팔파 Autotoxicity 의 유묘 생물검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Medium and Extract Sterilization on a Seedling Bioassay of Alfalfa Autotoxicity)

  • 천상욱;;한성욱;구자옥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85-190
    • /
    • 1999
  • 알팔파의 식물체로부터 자감작용에 관여한 물질은 알팔파 재배 후에 연작되는 알팔파의 발아와 유묘생장 및 입모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러한 물질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알팔파·잎추출물의 자감작용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유묘생물검정의 감수성을 개선코자 몇 가지 생장배지 및 추출액의 멸균방법을 비교하여 발아와 초기 유묘 생장을 억제하는데 한계 적정농도를 결정하였다. 여과지를 이용한 종이배지보다는 한천과의 혼합배지에서 추출액에 대한 발아 및 유묘신장 반응이 더 민감하였으며, 한천배지에서 뿌리신장, 발아 및 배축 신장을 50% 억제하는 추출액 농도는 각각 2.7, 3.8 및 9.9g $kg^{-1}$으로 나타나, 뿌리신장이 발아나 배축의 신장보다 추출액의 autotoxic 물질에 대해 더 민감하였다. 100ppm의 streptomycin은 유의적으로 발아율을 촉진시켰으나, 추출액이 없는 대조처리의 뿌리 신장을 43%억제시켰다. $125^{\circ}C$ 고열 증압 멸균은 추출물의 활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멸균 가능한 방법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고열증압멸균에 의한 추출액을 한천과 혼합한 배지에서 생물검정이 이루어짐으로써 더 높은 일관성과 정확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뿌리신장은 알팔파 잎 추출물의 자가작용 효과를 검정하는데 최선의 판단기준이 될 수 있음을 결론지을 수 있다.

  • PDF

치과 핸드피스용 감염방지구의 임상적 효용성 (Clinical Efficacy of Latex Cover for Dental Handpiece)

  • 이기호;백동헌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3호
    • /
    • pp.237-245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 치료 시 라텍스 감염방지구가 핸드피스의 오염을 방지하고 고압 멸 균 소독과 같은 전통적 소독을 대신하는 방법이 될 수 있는 지 조사하는 것이다. 구강 내 상주균 대신 사용한 균주는 E. fecaelis (ATCC 29212) 이며 구강을 대신하는 2cm 의 정방형 cavity 가 형성된 실험용 bowl 을 제작하였다. 라텍스 재질의 덮개는 $Orokeeper^{(R)}$ (Orobiotech Co., Korea)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실험 핸드피스는 고압멸균소독기에서 멸균 후 사용하였다. 4가지 실험으로 이루어 졌다 : 핸드 피스의 다양한 부위에 대한 세균 오염 평가, 알코올 소독솜으로 핸드피스의 전면 및 헤드부 에 소독 후 소독시간에 따른 세균오염 평가, 핸드피스 사용 후 air-water spray 시간에 따른 핸드 피스의 전면 및 헤드부에 대한 세균오염 평가, 라텍스 덮개의 반복 사용에 따른 핸드피스의 오염도에 대한 평가 등이다. 실험결과 라텍스 감염방지구로 덮여진 부분과 비교할 때 덮여져 있지 않은 부위의 오염 도가 매우 심하였다. 그러나 핸드피스 사용 후 15초간 알코올 솜으로 닦아내거나, 15초간 기수분사를 한 후에는 소독 수준 까지 균이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오로 키퍼 같은 라텍스 감염방지구는 15초간의 알코올 세척 또는 사용 후 15초 기수분사와 함께 사용하면 멸균 소독을 할 수 없는 어려운 상황에서 교차감염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열처리 방법에 따른 가공 인삼 열수추출물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 water extracts of processed ginseng based on different heat treatments)

  • 강윤한;저우뤠이;김효진;김지은;신일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5-163
    • /
    • 2018
  • 본 연구는 고온 고압의 autoclaving 조건에서 2시간 내외로 증삼한 인삼과 그 용출액으로 2단계 열풍건조법으로 제조한 홍삼을 분말로 하여 그 열수추출물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즉 시료로 사용한 홍삼의 제조는 고온 고압으로 증삼한 용출액을 건조시 증삼 표면에 바르고 건조하여 외형이 흑삼 모양으로 변하였다. 홍삼 분말로부터 열수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당, 산성다당체, 조사포닌 등의 함량을 분석하고, 색차계와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미 성분을 측정하였다. Autoclave를 이용한 홍삼 열수추출물(ARG)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9.06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3.38 mg NE/g, 총당 35.22 g/100 g, 산성다당체 10.90 g/100 g, 조사포닌 10.22 g/100 g으로 나타났다. 본 홍삼제조법에 의해 얻어진 홍삼을 이용한 열수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조사포닌 등의 최종 함량이 다른 홍삼 제조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고온 고압으로 단시간에 얻은 증삼액인 용출액은 진세노사이드 조성이 다양하였다. Rb1을 포함한 인삼의 주요 진세노사이드 총 함량은 ARG에서 가장 낮은 10.69 mg/g으로 나타났으며 가공 조건이 홍삼 특유의 진세노사이드로의 전환에 영향을 주었다. Autoclave로 얻어진 홍삼 및 용출액은 홍삼성분의 저분자량으로의 변환을 통해 색의 강화 등 향미성분이 개선되어 식품 뿐만 아니라 비식품의 소재 및 제품을 위한 수요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