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s related to the science

검색결과 511건 처리시간 0.031초

경기 일부 지역 대학생에서 식생할지침 실천도에 따른 나트륨 관련 식습관 및 식행동 분석 연구 (Study on Sodium-related Dietary Attitude, Behaviors according to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of University Students)

  • 배윤정;노승은;서정화;손주희;이미진;정다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76-38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odium-related dietary attitudes, behaviors, and nutritional knowledge in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total practice score related to the dietary guidelines (PDG), we classified subjects into a "low practice of the dietary guidelines (LPDG)" group (n=94, male=43, female=51) (total score of PDG ${\leq}13$) and a "high practice of the dietary guidelines (HPDG)" group (n=56, male=32, female=24) (total score of PDG >13). Subjects were asked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 salt-related dietary attitudes, behaviors, and nutritional knowledge using a questionnaire. The LPDG group had more subjects who were breakfast skippers (p<0.001) compared to the HPDG group. The LPDG group (31.26) had a significantly lower score in terms of salt-related dietary attitudes compared to the HPDG group (33.77) (p=0.0042). The score for salt-related dietary attitud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PDG (32.52) group than in the LPDG (29.91) group (p=0.004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for salt-related nutrition knowledge between the groups.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dietary guidelines practice sco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alt-related dietary attitude score (r=0.3593, p<0.0001) and the dietary attitude score (r=0.3443, p<0.0001) after adjustments for sex. These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adherence to the dietary guidelines for adults may be related to sodium-related dietary attitudes,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Nurses' attitudes and stress related to perinatal bereavement care in Korea: a cross-sectional survey

  • Kim, Eunhui;Kim, Hae Won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4-144
    • /
    • 2022
  • Purpose: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nurses' attitudes and stress related to perinatal bereavement care (PBC)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ultimate goal of improving nurses' capabilities related to PBC. Methods: Korean nurses (N=136) who had experienced perinatal death at least once were recruited from seven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Korean version of Nurses' Attitudes towards Perinatal Bereavement Support was assessed in terms of three subdomains (attitudes to PBC, importance of policies related to PBC, and importance of training related to PBC), and nurses' stress was measured. Results: The participants gave high scores for the attitude-related items of "giving sufficient time to bereaved parents to mourn for their dead baby" (4.54 points) and "nurses should treat bereaved parents with respect and dignity" (4.51 points), and they perceived a high level of importance for the policy-related items of "every staff member in the hospital should understand the policies relevant for PBC" and "when nurses feel emotional exhaustion, they should seek support" (4.58 points). Nurses' attitude toward PBC was associated with the perceived importance of policies (r=.40, p<.001), the perceived importance of PBC-related training (r=.61, p<.001), and stress related to PBC (r=.29, p<.001). Nurses' perceived importance of PBC-related training was associated with stress related to PBC (r=.38, p<.001). Conclusion: Establishing hospital policies related to PBC and providing PBC training for nurses could positively affect nurses' attitudes toward PBC. A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nurses could reduce the stress caused by PBC.

스토리텔링 활용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과학 관련 태도 및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Instruction with Storytelling on the Achievement,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Interest in Elementary School)

  • 김효정;유병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7-220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instruction with storytelling on the achievement, attitude and interest in science. For this study, two classe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class and comparative class. All the result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class didn'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lastic achievement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class. However, the results of the t-test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due to achievement level showed a positive effect in the average level of students. And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ction of 'Combustion and Extinguishment' than that of the other group.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the effect of instruction with storytelling on the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s. As a result of analysis by sub categories of science-related attitudes, storytelling was effective in attitude toward scienc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cientific attitude. Third, instruction with storytelling didn't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in scientific interest. However, in the sub-part, they showed a meaningful improvement in attention and satisfaction.

과학 관련 태도의 성차와 관련된 사회적 요인 분석 (Analysis of Social Factors Affecting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Related Attitudes)

  • 하민수;차희영;김수원;이경화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583-591
    • /
    • 2007
  • 이 연구는 남학생과 여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와 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조사하여 과학 영역의 성차를 조사하였다. 과학 관련 태도 검사지(TOSRA)와 이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학교, 교사, 친구, 부모 네 가지 요인에 대하여 개발한 검사지를 13개 학교에 투입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없었으나 과학에 대한 태도가 남학생은 부모에게 영향을 많이 받고 여학생은 교사와 친구에게서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현재 과학에 대한 태도의 성차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남학생과 여학생에서 다르다는 것을 말해 준다. 과학 영역의 전반적인 성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부모와 교사 등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자극하는 프로그램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이 중학교 과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Teaching Strategy Based on the Interactive Formative Assess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 박종윤;남정희;유희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68-47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이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효과와 이 수업전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남녀공학 중학교의 2학년 4개 반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4개 반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에는 상호작용을 강화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을, 비교집단에는 교사 강의식 전통적 수업전략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형성평가 수업전략은 전통적 수업전략에 비해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에는 효과적이나 과학 관련 태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집단에서 수업 전후에 과학 개념 이해의 향상 정도는 집단 내의 과학성적 수준이나 인지 수준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수업전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질문과 응답에 의한 상호작용이 많고, 이를 통해 사고를 촉진할 수 있고 반복학습의 효과가 있으며,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 PDF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 I )-학생 질문을 강화한 수업의 효과- (A Study( I ) on Students' Questioning Activity in Science Class-The Effect of the Teaching Enhancing Students' Questioning-)

  • 김성근;여상인;우규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7-38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화학 변화와 원소' 단원에 대해 학생 질문을 강화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여자 중학교 2학년 4개반(통제 집단 2학급, 처치 집단 2학급) 150명을 대상으로 4주 12차시 동안 진행되었으며, 사용된 교수-학습 모형에는 학생 질문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동지 작성 과정과 교수-학습 도중 생기는 의문에 대한 학생 질문 과정, 그리고 학생 질문에 대한 개인별, 전체별 송환(feedback) 과정이 포함되었다. 수업 처치 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검사 과학적 태도의 수용 검사를 실시하였고 개념 이해도 검사와 학업 성취도 검사의 공변량으로 사용하기 위해 각 집단 학생들의 1학년 과학 성적을 조사하였다. 수업 처치 후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및 과학적 태도의 수용을 개념 검사지, 학업 성취도 검사지, TOSRA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질문을 강화한 과학 수업 집단 학생들이 전통적 학습 집단 학생들에 비해 개념 이해도 (p<.01)와 학업 성취도(p<.05)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의 수용은 처치 집단 학생들의 점수가 통제 집단 학생들의 점수보다 조금 높았지만,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질문을 강화한 수업의 효과에 대한 교육적 합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 이미경;김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99-40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이 과학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고,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간의 상관 관계를 성별, 지역별, 성취수준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과학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기는 하나 그 정도가 매우 약했으며, 초등학생보다 중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덜 긍적적이었다. 또한, 모든 학교급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과학에 대하여 좀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고, 지역간에도 과학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간의 상관 관계는 중학생들의 경우에 가장 높았으며, 고등학교, 초등학교의 순서로 높았다. 또한,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남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간의 상관 관계가 컸으며,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여학생들의 상관 관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성취 수준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와의 상관 관계는 과학 성취도가 높은 집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과학.기술과 관련하여 사회적으로 쟁점화된 주제에 대한 중.고등학생의 태도 (Secondary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technology Related Issues in Korea)

  • 김희백;이선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61-469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ttitud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oward science-technology related issues.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in which students were confronted with personal, global, and philosophical levels of arguments, which were composed of three against and three in favor of each eight issues, i.e., use of antibiotics, family planning, transplant of organs, genetic engineering, use of microorganisms. exploitation of the sea, land reclamation from the sea, and nature reserves. Student was requested to rate each argument independently and to vote for or against each issue. It was shown that most of students voted in favor of using technologies except land reclamation from the sea, and that students having more learning experiences on each topic vote more favorably. It is thought that our science education might be effective in increasing awareness and appreciation of benifits of technology, but it is not as effective in developing ambivalence attitudes.

  • PDF

교육용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과학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운동과 에너지 영역을 학습할 수 있는 게임을 중심으로 - (Effects of Science Lessons with Educational Game Content on the Science-related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Focusing on Games for Learning the Domains of Motion and Energy)

  • 김형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481-49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게임 콘텐츠를 과학 학습에 활용한 후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경상북도에 소재한 초등학교의 방과 후 과학 탐구 동아리 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고 과학 관련 태도 검사지와 창의적 인성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활용한 교육용 게임 콘텐츠는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개발하고 현재 교육부를 통해 무료로 배포하고 있는 <티노의 여행>이라는 것으로 게임에 등장하는 과학적 상황과 개념을 포함한 9차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용 게임 콘텐츠를 활용한 과학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 과학 수업의 즐거움 영역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며, 이어서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영역, 과학의 사회적 의미 영역, 과학에 대한 취미 영역이 그 뒤를 따랐다. 하지만 과학자의 평범성, 과학적 태도의 수용, 과학에 대한 직업 영역은 유의미한 결과를 내지 못했다. 한편 사전 창의적 인성 검사지를 활용하여 학생을 12명씩 상, 하 유형의 2그룹으로 나누었고 사전 과학 관련 태도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창의적 인성의 상 하 수준별 과학 관련 태도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 유형에 속한 학생들의 점수 증가폭이 상 유형에 속한 학생들보다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용 게임 콘텐츠를 과학 학습에 활용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과학 영재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ce Related Attitudes,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 정춘덕;강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848-853
    • /
    • 2007
  •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에 대해 조사했다. 연구 대상은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수강생 135명을 대상으로 했고 검사도구는 TOSRA 와 자기주도적 학습력 검사지 중 일부를 사용했다. 물리, 화학,생물,지구과학,수학, 정보과학의 6개 재능영역별 분석 결과 과학에 대한 태도와 학습전략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학습동기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소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으나 학습동기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습동기와 학습전략,과학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각 영역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과학에 대한 취미적 관심'과 '과학에 대한 직업적 관심'이 다른 영역들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과학 영재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킴으로써 향후 과학 관련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다양한 교수전략들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