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titude toward teacher's clothin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중등학교 예비교사의 의생활 라이프스타일이 교사의복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Clothing Lifestyle on Attitude toward Teacher's Clothing)

  • 이은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9-142
    • /
    • 2021
  • 본 연구는 2019년 5월 중에 J 지역 예비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해 의생활 라이프스타일이 교사의복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교직의복문화의 교육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하여 SPSS 24.0 Program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Cronbach's α 신뢰도 계수, t검증, 일원변량분석과 Duncan의 다중비교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등학교 예비교사의 의생활 라이프스타일은 패션유행지향, 의복중요성지향, 매력적 외모지향, 경제성지향 요인으로, 또한 교사의복에 대한 태도는 활동성, 유행성, 정숙성 요인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중등학교 예비교사의 의생활 라이프스타일, 교사의복에 대한 태도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인 성별,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Z세대인 중등학교 예비교사의 의생활 라이프스타일은 교사의복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제까지의 교사의복에 대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교사의 변화하는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의복을 착용하고 교직을 수행하는 교직의복문화가 형성되어져야 하겠다.

청소년의 의복동조 준거특성 및 유명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연구: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adaptation of adolescent according to the clothing behavior conformity and the attitude toward the name-brand: In case of Gwangju metropolitan area)

  • 신선미;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30
    • /
    • 2014
  •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들의 의복행동과 관련하여 동조적 준거특성과 유명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파악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도울 수 있는 의생활지도와 가정 교과의 의생활 교육 영역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유명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가져오는 일반적인 변수는 성적과 월 용돈으로 나타났으며 성적이 높고 월 용돈이 20만원이상이거나 5-10만원인 경우 유명브랜드를 더 선호하며 학교생활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년의 의복행동동조 준거그룹은 부모동조, 친구동조, 매스미디어동조의 세 요인이었으며 유명브랜드 요인은 네임이미지선호 요인과 품질선호요인이었다. 부모동조요인이 친구나 매스미디어동조요인보다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세 요인의 전체평균은 보통수준 이하였다. 의복행동 동조준거특성은 유명브랜드에 대한 태도의 요인에 비해 더 큰 차이를 가져왔으며 친구와 매스미디어의 동조경향이 강한 그룹이 부모동조의 경향이 높은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유명브랜드를 선호하였다. 의복행동의 동조준거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살펴보면 보통수준일 때 친구와 매스미디어의 동조가 상대적으로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학교생활적응경향이 높았다. 또한 부모동조경향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그룹 또한 학교규율과 교우관계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편적인 수준에서 의복행동 동조준거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청소년이 유명브랜드를 선호하는 경우 학교규율적응은 낮았고 교우관계와 교사와의 관계적응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학습적응에 있어서는 유명브랜드에 대한 태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시 말하면 청소년의 의복행동 동조는 극단적이지 않으며 보편적인 수준에서는 친구와 대중매체의 의복행동의 동조와 유명브랜드를 선호하는 태도가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남자 고등학교 교사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의복 격식차림, 색 및 맥락의 영향 -대전지역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Garment Formality, Colors, Contexts on Male High School Teacher's Impression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aejeon area -)

  • 이향미;김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12-320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tend the gestalt theory in an attempt to explain the effect of garment clues(formality, color) perceiver's gender, and contexts on impression formation of a male high school teacher, and 2) to found out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 their teacher's school outfits. The experimental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with full factorial design of 4 independent variables : 3(formality levels)x2(garment colors)x2(perceiver's gender)x2(con- texts)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e study were a set of stimuli and response scale. The stimuli consisted of 12 color photographs produced by CAD system and response scale constituted of 28 bipolar adjectives representing personal traits. In addition to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also performed. The subjects composed of 277 male and 291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aejeon city and research was a between subject design. The data was analysed by factor analysis,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major findings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erceivers impression were consisted of 4 major dimensions; evaluation, sociability, attractiveness, potency. 2.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some significant impression effects on selected dimensions. Garment color indicate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among the 4 independent variables and garment formality showed least effects. 3. The subjects of the study preferred suits(highest formality level garment) to semi-formal or casual outfits for male teacher's school outfits. In conclusion, 4 independent variables affected differently 4 major impression dimensions and garment formality and context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this results supported the gestalt theory of impression 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