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paragine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3초

심장사상충 자충이 합성한 high mannose asparagine-linked oligosaccharides의 분자화학적 분석 (Characterization of the high mannose asparagine-linked oligosaccharides synthesized by microfilariae of Dirofilaria immitis)

  • 강승원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2권2호
    • /
    • pp.101-110
    • /
    • 1994
  • 심장사상충 자충이 합성한 당단백의 분지(분지) 역할을 하는 N-linked high mannose 타입 올리고당의 구조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사상충 자충을 방사선 표식 2-[$^3H$] mmannose를 함유한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자충으로부터 분리 정제한 당단백을 pronate로 소화시킨 다음. concanavalin A-Sepharose 크로마토그라피하여 분획하였다. 37%의 mannose가 자충 대사에 이용되었으며 pecti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high mannose 타입의 올리고당을 회수하였다. 이 올리고당을 $endo-{\beta}-N-acetylglucosaminidase$ H 효소로 소화시킨 후 HPLC를 사용하여 highmannose 타입 올리고당의 구성을 분석하였다. 심장사상충 자충이 합성한 high mannose 타입 올리고당의 형태는 $Man_5GIcNAc_2,{\;}Man_6GIcNAc_2,{\;}Man_7GIcNAc_2과{\;}Man_8GlcNAc_2$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심장사상충 자충이 체내 합성한 high mannose 타입 올리고당이 일반 척추동물이 체내 합성한 high mannose 타입 올리고당과 구조적으로 일치하였다.

  • PDF

연두금파리의 난세포성숙에 따른 단백질의 변화와 난특이성단백질의 특성 (Protein Contents During Oocyte Development and Some Characteristics of Egg-Specific Protein in Lucilia illustris)

  • Lee, Jong-Jin;Man-Young Choi;Hee-Kwon Lee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0-146
    • /
    • 1995
  • 연두금파리의 난세포성숙에 따른 단백질의 변화와 난특이성단백질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gel filtration, 전기영동 및 분자량측정, 아미노산과 지방산함량을 측정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같다. 연두금파리 암컷성충의 난소단백질은 단백질원을 섭식시킨 후 72시간 이후 빠르게 증가하였고, 완전한 성숙이 일어나는 96시간에 최고의 함량을 나타냈다. DEAE-cellulose와 Sephacryl 5-200으로 gel filtration하고 7.5% native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한 결과 난소에서 분리된 특이단백질은 ${R}_{f}$ 0.4에서 혈림프 및 난소와 다른 밴드가 확인되었으며, 분자량은 110,000 dalton이였다. 분리된 난특이성단백질내 아미노산 조성은 asparagine 외 모두 13종이 검출되었으며, asparagine, glutamic acid와 함께 tyrosine이 특이하게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은 난소와 함께 난특이성단백질에서 palmitic acid의 4종이 분리되었다. 따라서, 연두금파리의 난에는 지방체에서 합성, 분비된 난황단백질이외에 난소에만 존재하는 특이단백질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Streptomyces 속 균주가 생성하는 $\alpha$-D-Glucosidase Inhibitor(II)-저해물질의 생산조건 - ($\alpha$-D-Glucosidase Inhibitor from Streptomyces sp. (II) -Cultural Conditions for the Inhibitor Production-)

  • 도재호;주현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7-212
    • /
    • 1989
  • 토양으로부터 분리 한 균주 YS-221-B로부터 $\alpha$-D-Glucosidase Inhibitor 생산조건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적 pH와 온도는 8.0, 3$0^{\circ}C$였으며, 탄소원으로는 mannitol, 1-Inositol, erythritol과 같은 당알코올이 양호하였으며, 질소원으로는 asparagine, beef extract가 양호하였다. Riboflavin, folic acid, thiamine과 같은 vitamin의 첨가에 의해서 저해물질 생산이 10~20% 증가되었으며, 금속이온 중에 $Zn^{++}$, $Mg^{++}$은 약 20% 정도 물질생산을 촉진시켰으나 Li$^+$, Co$^{++}$ $Ca^{++}$, Fe$^{++}$ 등은 감소시켰다. 그리고 pH8.0, 3$0^{\circ}C$에서 8~9일간 배양함으로써 저해물질 생산이 최고에 달하였다.

  • PDF

자외선 조사(照射)에 의한 Agrobacterium tumefaciens Arginine 요구주(要求株)의 유도와 선발 (Mutation and Selection of Agrobacterium tumefaciens Arginine Auxotroph by UV Irradiation)

  • 이윤;박노동;김광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2호
    • /
    • pp.92-97
    • /
    • 1985
  • Agrobacterium tumefaciens A 136에 자외선은 조사(照射)하여 Ti-plasmid 숙주로 이용할 수 있는 arginine 영양요구주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A. tumefaciens의 생육을 600nm에서의 흡광도(吸光度)로 측정할 때 TY배지에서 2% 접종시 7시간 부터 16시간 사이에 대수기를 보였고 generation time은 4.8시간이었다. $800{\mu}w/cm^2$의 자외선 강도로 $30{\sim}50$초 조사(照射)에서 $1{\sim}0.1%$의 생존율을 보였다. 자외선 조사(照射)로 mutation을 유도한 다음 5,000개의 colony에서 15개의 mutants를 얻었으며 그 중 2개는 arginine 영양요구주였고 3개는 asparagine 영양요구주였다.

  • PDF

Determination of Amino Acid Composition in Leaf, Stem, and Inflorescence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 Muthusamy, Karnan;Ilavenil, Soundharrajan;Jung, Jeong Sung;Lee, Bae Hun;Nam, Cheol Hwan;Park, Hyung Soo;Choi, Ki Choo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83-187
    • /
    • 2022
  • Alfalfa is one of the most useful forage crops worldwide, containing a high level of amino acids that are essential to both human and animal health. However, amino acids and their concentrations may differ between plant parts. Hence, detecting amino acids in different plant parts would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diet suppl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mino acid content in alfalfa leaves, stems, and inflorescences using an amino acid analyzer. Asparagine and glutamic acid were the most abundant amino acids found in stems, leaves, and inflorescences than other amino acids. All parts of alfalfa had low concentrations of cysteine and methionine. All amino acids except asparagine were present in the highest concentration in leaves followed by inflorescences. Leaf had a rich amino acid content, namely asparagine, glutamic acid, leucine, proline, and lysine. However, the stem had a lower amino acid composition than the leaf or inflorescence. Overall, the data showed determining the amino acid content of forages provides a good approach to making animal feed with essential and specific amino acids and preventing excessive inclusion of amino acids.

Monosodium Glutamate와 숙성온도 변화가 김치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nosodium Glutamate and Temperature Change on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in Kimchi)

  • 이예경;이명예;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99-404
    • /
    • 2004
  • 김치의 숙성 시 무첨가(C-I, C-II) 및 MSG 첨가(M-I, M-II)와 숙성 방법으로 2$0^{\circ}C$에서 2일간 숙성시킨 후 1$0^{\circ}C$에서 5일간 숙성한 경우(C-I, M-I)와 1$0^{\circ}C$에서 7일간 숙성한 경우(C-II, M-II)로 구분하여 pH, 산도 총균수와 젖산균수 유리아미노산 함량의 측정과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pH와 산도로 평가한 김치의 숙성은 MSG첨가가 무첨가보다, 1$0^{\circ}C$숙성김치가 온도변화구보다 숙성이 지연되었다. 총균수는 C-I 보다 M-I에서, C-II보다 M-II에서 낮았으나 젖산균수는 C-I 보다 M-I에서, C-II보다 M-II에서 높아 MSG첨가에 의하여 젖산균의 생육이 촉진되었다 C-I김치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alanine, asparagine, homocystine, valine 및 serine으로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33%를 차지하였다. C-II 김치에서는 이들 아미노산의 함량이 C-I에서보다 높음과 동시에 특히 g1utamic acid와 ornithine의 함량이 크게 증가되었다. M-I김치에서는 homocystine, alanine, asparagine, valine 및 proline이 주 아미노산으로 total의 50%를 차지하였으며, M-II 김치에서는 glutamic acid, alanine, hydroxyproline, asparagine, homocystine, ornithine, valine 및 proline으로 total의 36%를 차지하였고, M-I 비하여 특히 glutamic acid, hydroxyproline 및 ornithine의 함량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신맛은 MSG 첨가구가 무첨가구보다 낮았으며 2$0^{\circ}C$ 숙성 후 1$0^{\circ}C$로 옮긴 경우는 계속 1$0^{\circ}C$에서 숙성시킨 경우보다 숙성지연 효과가 낮았다. 아삭아삭한 맛은 산미의 결과와 반대로 온도변화구보다 저온구에서 MSG첨 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높았다. 맛난 맛과 종합적인 맛은 M-I이 C-1보다. M-II보다 C-II에서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 김치의 숙성 시 상온에서 일정시간 숙성시킨 후 저온으로 옮겨 숙성 시키는 방법은 저온에서의 숙성지연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MSG첨가는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을 높여 맛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보존성 증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Model reaction system에서 가열조건이 acrylamide 및 기타 화합물들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eating Conditions on the Formation of Acrylamide and Other Products in Asparagine-Glucose Model Reaction System)

  • 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23-327
    • /
    • 2006
  • 아크릴아마이드의 형성과정에서 가열조건이 아크릴아마이드의 생성량과 아크릴아마이드 형성에 관여 또는 동반 생성하는 화합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아스파라긴과 포도당의 등량 혼합물을 125, 150, 175 및 $200^{\circ}C$에서 각각 10, 20 및 30 분간 가열하는 모델반응을 이용하였다. 가열한 반응물을 ethyl acetate 및 methanol 2종의 용매로 달리 추출하고 FFAP capillary column과 HP-5MS 5% phenyl methyl siloxane column으로 GC/MS에서 분석한 결과, 아크릴아마이드는 methanol추출물을 FFAP capillary column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retention time 23.53분에서 검출되었고 최저검출한계는 4 ng 이었다.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은 $175^{\circ}C$보다. 낮은 125 및 $150^{\circ}C$에서는 온도와 가열시간을 증가시킬수록 점차 증가하여, $175^{\circ}C$에서 10분간 처리하였을 때 최대량인 $116{\mu}g/g$을 생성하였지만 175 및 $200^{\circ}C$에서는 온도 및 가열시간을 증가시킬수록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크릴아마이드이외 반응생성물들로서, 1,3-dihydroxypropanone,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e-4-one 및 5-hydroxymethylfurfural이 다량으로 검출되었으며, 또 다른 화합물인 5-methylfurfural, 2-acetylpyrrole 및 N,N-dimethylcyclohexamine 등은 소량 생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항 대사물질 6-Aminonicotinamide가 메추리 조직 내 유리 아미노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metabolite 6-Aminonicotinamide on Levels of Free Amino Acids in Various Tissues of Quail)

  • 목창수;김재영;신숙;박인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9-306
    • /
    • 1996
  • 항 대사물질 6-aminonicotinamide가 메추리 조직의 수용성 단백질, 유리 아미노산 및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간(P<0.05), 심장(P<0.01), 흉부근육 조직(P<0.05)의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신장과 흉부근육 조직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의 비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신장과 흉부근육 조직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의 비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P<0.05). 간(P<0.05)의 aspartic acid / asparag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ucine, lysine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신장(P<0.05)의 acid / asparagine, alanine, threonine, alanine, proline과 lysine은 증가하였으나 glutamic acid / glutamine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심장에서는 glycine과 methionine 농도는 증가하였으나 glutamic acid / glutamine의 농도는 감소하였다. 흉부근육 조직에서는 arginine의 농도는 감소하였으나 (P<0.05) alanine과 threonine의 농도는 증가하였다 (P<0.05). 본 연구 결과는 항 대사물질인6-aminonicotinamide가 유리 아미노산의 농도를 증가시키므로써 기포 물질 대사에 필요한 에너지를 유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유색미 품종의 발아 시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Pigmented Rice during Germination)

  • 박영희;김보라;류수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1호
    • /
    • pp.18-24
    • /
    • 2018
  • 본 연구는 유색 과피 품종의 발아 기간에 따른 화학성분 함량 변화를 조사하여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흰색 과피 2품종과 흑자색 과피 6품종에 대하여 성분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아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으로 발아 6일째에 가장 높았다. 조지방 함량은 흰색 과피 품종에서는 발아 후 6일에 가장 높았으나, 흑자색 과피 품종에서는 발아 4일째 감소 후 계속 증가하여 8일에 가장 높았다. 조섬유 함량은 발아 후 8일째까지 가장 높았으나 발아 기간 중 경향이 일정하지 않았다. 유색 과피 품종의 sucrose, glucose 및 fructose 함량은 발아 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나, 흰색 과피 품종에서는 glucose 함량이 발아 후 8일에 현미 상태보다 증가하였고 sucrose와 fructose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흑자색 과피 품종의 발아현미 GABA, alanine, glutamic acid, asparagine, aspartic acid은 발아 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다. 특히 GABA는 172배 증가하였다. 흰색 과피 품종에서는 aspartic acid와 asparagine은 발아 전 현미 함량보다 감소하였다. Lysine은 모든 품종에서 발아 전에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발아 2일부터 검출되었는데, 발아 6일에 흰색 과피 품종에서는 6.24 mg/100 g, 유색 과피 품종에서는 15.58 mg/100 g로 증가하였다.

닭 우모로부터 추출한 아미노산 생화학제의 고구마뿌리혹선충 증식억제 효과 (Nematicida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Amino Acids Biochemical Agent Extracted from Chicken Feather)

  • 김세종;황경숙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4호
    • /
    • pp.247-252
    • /
    • 2012
  • 본 연구는 뿌리혹선충의 화학적 방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선충방제제 개발을 목적으로 닭 우모분으로부터 추출한 아미노산 생화학제(feather amino acid; FAA)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아미노산을 대상으로 고구마뿌리혹선충 유충 치사효과를 조사한 결과, 5종류(L-asparagine, L-aspartic acid, L-methionine, L-tyrosine, _L-cysteine)의 아미노산이 50 mM 농도에서 50% 이상의 치사율을 나타내었고, L-asparagine 50 mM에서 치사율이 94%로 가장 높았다. 닭 우모분으로부터 추출한 FAA 생화학제의 고구마뿌리혹선충 2령 유충의 치사력과 알 부화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1/50 농도에서 80% 이상의 유충 치사력과 74%의 알 부화 억제율을 보였다. 토마토 근권토양에 FAA 생화학제를 처리하고 60일간 재배시험을 통하여 관찰한 결과, 토양 내 유충밀도는 63%, 난낭수는 59%, 뿌리혹 형성 61%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닭 우모분으로부터 추출한 FAA 생화학제는 뿌리혹선충의 친환경 선충방제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