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corbic acid content

검색결과 593건 처리시간 0.028초

Effects of Pre-Converted Nitrite from Red Beet and Ascorbic Acid on Quality Characteristics in Meat Emulsions

  • Choi, Yun-Sang;Kim, Tae-Kyung;Jeon, Ki-Hong;Park, Jong-Dae;Kim, Hyun-Wook;Hwang, Ko-Eun;Kim, Young-Bo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88-296
    • /
    • 2017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rmented red beet extract and ascorbic acid on color development in meat emulsions. The pH of meat emulsions containing red beet extract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extract added. The redness of the treated meat emulsion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with no added nitrite or fermented red beet extract (p< 0.05), though the redness of the meat emulsions treated with fermented red beet extract only was lower than in that treated with both fermented red beet extract and ascorbic acid (p<0.05). The highest VBN, TBARS, and total viable count value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and these values in the meat emulsions treated with fermented red beet extract were higher than in that treated with both fermented red beet extract and ascorbic acid (p<0.05). E. coli and coliform bacteria were not found in any of the meat emulsions tested. Treatment T2, containing nitrite and ascorbic acid, ha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score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2 treatment and the T6 treatment, which contained 10% pre-converted nitrite from red beet extract and 0.05% ascorbic acid (p>0.05). The residual nitrite content of the meat emulsions treated with ascorbic acid was lower than in those treated without ascorbic acid (p<0.05). Thus, the combination of fermented red beet extract and ascorbic acid could be a viable alternative to synthetic nitrite for the stability of color development in meat emulsions.

시금치의 가공(加工), 저장중(貯藏中)의 질산염(窒酸塩) 및 아질산염(亞窒酸塩)과 Vitamin C의 함량변화(含量變化) (The Change of Nitrate, Nitrite and Ascorbic Acid Content in Spinach as processing and Storaging)

  • 이동윤;윤형식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6권
    • /
    • pp.113-120
    • /
    • 1988
  • 시금치의 조리(調理), 저장(貯藏)에 있어서의 질산염 및 아질산염과 ascorbic acid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측정(測定)하여 그들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조사검토(調査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데침으로해서 질산염은 감소(減少)하였으나 아질산염은 증가(增加)하였고, 조리(調理)한 것은 그 경향이 더욱 현저하였다. 실온(室溫)에 저장(貯藏)하였을 때 질산염은 36시간 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아질산염은 24시간 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냉장온도(冷藏溫度)에서 저장한 것의 질산염은 서서히 감소(減少)하였고 아질산염은 서서히 증가(增加)하였다.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상호함량관계(相互含量關係)를 보면 실온(室溫)에서는 질산염은 감소(減少)하였고 아질산염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냉장온도(冷藏溫度)에서는 질산염은 서서히 감소하였고 아질산염도 서서히 증가하였다. 질산염 및 환원형(還元型) ascorbic acid의 함량관계(含量關係)를 본 결과(結果) 실온, 냉장온도 모두 ascorbic acid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질산염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실온에서는 그 변화폭이 큰 데 비해 냉장온도에서는 변화폭이 적었다. 환원형(還元型) ascorbic acid 및 아질산염의 함량관계를 비교해 본 결과(結果) 실온, 냉장온도 모두 ascorbic acid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아질산염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이는 저장기간에 따라 ascorbic acid 함량과 아질산염의 함량은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양파 음료 제조를 위한 기능성 성분 추출 최적화 (Extractive Optimization of Functional Components for Processing of Onion Health Promotion Drink)

  • 허원녕;고은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03-409
    • /
    • 2004
  • 복합음료의 재료인 양파, 솔잎, 뽕잎, 당귀, 감초, 대추를 물과 methanol로 상온에서 각각 추출하여 전자공여능, thiosulfinate함량, ascorbic acid 함량, SOD유사황성 및 pH 1.2와 3.0에서 아질산 소거능 등을 조사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모든 시료에서 methanol 추출이 우수하였고, 아질산 소거능은 물 추출이 우수하였고 다른 기능성 항목은 재료에 따라 추출방법에 대한 우열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3 hr동안 hard boil한 물추출이 thiosulfinate의 함량을 제외한 모든 기능성을 상온에서 물추출보다 증가 시켰고, 특히 상온에서 methane이 물 추출보다 높은 값을 보였던 양파, 뽕잎, 대추의 전자공여능과 당귀의 ascorbic acid 함량은 methanol 추출보다도 높은 추출 효율을 보였으므로 hard boil에 의한 물추출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 휘발성인 thiosulfinate는 온도의 상승에 따라 그 함량이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므로 이 성분은 저온에서 추출하여 혼합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아울러 hard boil에 의한 적정한 추출시간을 조사한 결과, 6 hr이면 thiosulfinate를 제외한 기능성분은 거의 용출 되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저장중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저온저장시 ascorbic acid만이 약간의 손실이 더 있는 편이고 다른 기능성 성분은 상온 저장과 거의 같거나 저온저장이 유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양파의 기능성 강화 복합음료의 제조는 thiosulfinate를 제외하고 6 hr 물로 고와서 추출하고 저온 저장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새삼(Cuscuta australis R.Brown)의 기능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uscuta australis R.Brown)

  • 정갑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906-914
    • /
    • 2020
  • 천연물 유래 식물소재의 유용성 탐색의 일환으로 자생하는 실새삼을 열수로 추출하여 몇 가지 이화학적 추출특성과 기능성분 함량 및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실새삼 중 납, 카드뮴 및 비소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수은은 0.0004ppm으로 허용 기준치 이내의 함량으로 검출되었고, 추출수율은 23.45%, gallic acid에 대응되는 총페놀함량과 naringin에 대응되는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99.8과 373.8 mg/100g으로 측정되었다. 실새삼 추출물에서 28종의 유리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anserine과 sarcosine의 함량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실새삼 추출물과 ascorbic acid의 생리활성을 비교한 결과 추출물의 총환원력, 전자공여능 및 철환원력은 각각 ascorbic acid의 88%, 56% 및 40%의 크기에 해당하였다. pH 1.5에서 실새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ascorbic acid의 78%의 활성을 보였으며, 들기름에 대한 항산화지수는 ascorbic acid의 약 5배에 해당하는 우수한 산화억제 효과를 보여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소맥배아유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crude wheat germ oil)

  • 표영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43
    • /
    • 1991
  • Oxidative stability of crude wheat germ oil (WGO) was determined by the active oxygen method(Rancimat, hrs at 98$^{\circ}C$). The induction time of crude WGO was 7.6hrs as compared to 23.7hrs of crude soybean oil. However, the induction time of WGO could be extended by 2-3 times with 300ppm of mixed tocopherols and 200ppm of organic acids. The antioxidant effect of organic acids increased in the order of L-ascorbic acid > tartaric acid > citric acid > malic acid. Especially, the induction time of WGO could be extended by ca. 38hrs with 500ppm of L-ascorbic acid. This antioxiative effect of 500ppm L-ascorbic acid with mixed tocopherol(100, 200, 300 or 500ppm). It seems that the synergistic effect of L-ascorbic acid was due to the high content of tocopherols(0.4%) in WGO.

  • PDF

유동층 코팅 처리한 Ascorbic acid의 흡습특성 및 저장기간 예측 (Shelf-life Estimation and Sorption Characteristics of Coated Ascorbic Acid by Fluidized Bed Coating)

  • 박수정;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32-339
    • /
    • 2008
  • 가공이나 저장 중 쉽게 산화하는 특성을 갖는 ascorbic acid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Zein-DP와 HPMC-FCC를 코팅제로 유동층 코팅을 실시하여 ascorbic acid의 저장기간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BET식보다 GAB식이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었으며, 등온흡습곡선은 ascorbic acid 분말을 제외한 유동층 코팅된 분말의 경우 sigmoid 형태를 나타내었다. 등온흡습곡선의 적합도는 Halsey, Caurie, Oswin Kuhn 모델이 높은 적합도를 보였다. 평형상대습도 예측모델식은 시간과 수분활성도를 변수로 하여 모델식을 수립할 수 있었다 유동층 코팅분말한 ascorbic acid의 DPPH 소거능 변화를 품질지표로 하여 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변화 특성을 알아본 결과, DPPH 소거능은 온도가 높을수록 더 큰 영향을 받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말기에서는 ascorbic acid의 소거능이 유동층 코팅한 분말보다 더 빠르게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유동층 코팅으로 품질 변화를 막을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차 반응속도식에 따라 반응속도상수를 구하여 10, 20, 30, 50 및 $70^{\circ}C$에서의 반응속도상수를 예측한 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높은 반응속도상수를 가져 품질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PPH 소거능이 50%를 유지하는 저장기간을 예측한 결과 Zein-DP로 코팅한 경우 $20^{\circ}C$에서 45.83일, $10^{\circ}C$에서 63.19일이었고, HPMC-FCC로 코팅한 경우 $20^{\circ}C$에서 28.84일, $10^{\circ}C$에서 36.14일로서, 코팅하지 않은 ascorbic acid보다 저장기간이 연장됨을 확인하였으며 Zein-DP로 코팅한 분말의 경우가 저장기간이 가장 연장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추김치 숙성(熟成) 중(中) 일부(一部) 첨가재료(添加材料)가 질산염(窒酸鹽), 아질산염(亞窒酸鹽) 및 Vitamin C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me Materials on the Content of Nitrate, Nitrite and Vitamin C in Kimchi during Fermentation)

  • 이선화;우순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61-166
    • /
    • 1989
  • 첨가 부재료를 달리한 김치를 $18^{\circ}C$에서 24시간 예비 발효시킨 후, $4^{\circ}C$에서 35일간 저장하면서 질산염, 아질산염 및 vitamin C의 함량변화를 살펴보았다. 염도가 2.5% 수준인 김치 숙성도를 pH와 산도로 판정해 볼 때, 초기 숙성속도는 새우젓>멸치, 갓, 마늘>대조구, 무우>ascorbic acid>K-sorbate 순이었고 35일 후 pH 기준으로, 그 숙성도는 대조구>갓>무우>ascorbic acid, 멸치젓>새우젓>K-sorbate>마늘 첨가구 순이었다. 총 vitamin C 함량은 적숙기인 2주에 ascorbic acid 첨가구를 제외한 시료들에서 18.2-26.4 mg%로 담금직후와 같은 수준이었다. 그 중 환원형 ascorbic acid 보존율은 마늘, 갓, K-sorbate 첨가구에서 비교적 좋았다. 질산염, 아질산염의 함량은 숙성초기에 마늘, 무우첨가 김치에서 비교적 높았으며, 숙성기간 중 질산염의 함량범위는 260-490ppm이었고, 숙성 3주째에 최소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때 아질산염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총 vitamin C 함량도 이때 가장 낮았다.

  • PDF

Ginsenoside Composition Changes in Ginseng Extracts by Different Ascorbic Acid Treatments

  • Ko, Sung-Kwon;Cho, Ok-Sun;Bae, Hye-Min;Sohn, Uy-Dong;Im, Byung-Ok;Cho, Soon-Hyun;Yang, Byung-Wook;Chung, Sung-Hyun;Shin, Wang-Soo;Lee, Boo-Y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883-88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preparation process for chemical transformation of ginseng saponin glycosides to prosapogenins. Ginseng and ginseng extracts were processed under several treatment conditions using ascorbic acid solution. Treating with ascorbic acid at pH 2-3 and above $80^{\circ}C$ increased the ginsenoside $Rg_3$ content of samples to over 3% as compared to other pH levels and temperatures. In addition, ginseng and ginseng extracts that were processed under a high ascorbic acid solution treatment condition (pH 2.0, 5 hr) contained more ginsenoside $Rg_3$ (approximately 16 times) than those processed under a low ascorbic acid solution treatment condition (pH 3.0, 5 hr). The highest quantity of ginsenoside $Rg_3$ (3.434%) occurred when a sample of fine ginseng root extract (AG2-9) was processed with the ascorbic acid solution at pH 2.0 for 9 hr. However, there was no change in the amount of ginsenoside $Rg_3$ when fine ginseng root extracts were processed with ascorbic acid solution at pH 2.0 for over 9 hr.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scorbic acid treatment of ginseng extracts can produce a level of ginsenoside $Rg_3$ that is over 90-fold the amount found in commercial red ginseng.

사과의 삼투건조시 유리당과 유기산의 변화 (Changes of Free Sugar and Organic Acid in the Osmotic Dehydration Process of Apples)

  • 윤광섭;이준호;최용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95-1103
    • /
    • 1996
  • 사과의 건조시 발생하게 되는 품질저하 현상을 개선하고자 sucrose를 삼투용매로 하여 침지온도와 농도 그리고 시간을 변수로 삼투건조하여 유리당, 유기산, ascorbic acid 함량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fructose, sorbitol 등이 분석되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총당량이 증가하였으며 온도보다는 농도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sucrose함량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 fructose는 거의 없었고 glucose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으로 각각의 유리당의 함량은 온도, 농도,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양이 증가하였다. 유기산은 malic acid와 fumaric acid가 주로 분석되었으며, 그외 oxalic acid, citric acid, maleic acid, succinic acid가 소량 분석되었다. 낮은 온도에서의 처리가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기산의 함량이 많았고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유기산 함량이 줄어 들었다. Ascorbic acid도 저온$(20^{\circ}C)$과 농도$(60^{\circ}brix)$에서의 처리가 손실이 적었으며 온도가 낮을수록, 농도가 높을수록 더 큰 값을 보였으며 시간의 변화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변화 kinetics를 model화하기 위하여 반응속도론에 상사시켜 본 결과 유리당의 변화는 1차반응 속도식이, 유기산의 변화와 ascorbic acid의 변화는 2차반응 속도식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변화 속도상수에 대한 온도의 영향은 Arrhenius 식에 비교적 따른다고 볼 수 있다. 삼투건조 동안 유리당과 유기산, ascorbic acid 함량의 변화를 예측하고자 수립한 예측모델은 비교적 높은 $r^2$를 보여 각 조건에 따른 함량변화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 및 일본산 녹차(茶)의 Chlorophyll 및 Ascorbic Acid의 함량 비교 (A Study on Chlorophyll and Ascorbic Acid Contents of Korean and Japanese Green Tea)

  • 변재옥;김미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7-112
    • /
    • 2006
  •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of chlorophyll and ascorbic acid contents according to the extraction temperatures and the number of soakings using five kinds of Korean and Japanese green tea(3 kinds of green tea and 2 kinds of tea bag) which were obtained from local markets in Korea and Japa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chlorophyll contents of Japanese green tea were $2\sim3$ times higher than those of Korean green tea. 2. The chlorophyll contents of Korean green tea in high and middle grade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80>70>60^{\circ}C)$ but the contents in low grade were increased with decreasing temperature. The contents of chlorophyll in Japanese green tea were almost similar in low, middle and high grades. 3. Ascorbic acid content was higher in low grade Korean green tea but it was higher in high and middle grades of Japanese green tea. Chlorophyll contents of Japanese green tea were higher than those of Korean green tea but ascorbic acid contents of Korean green tea were higher than those of Japanese green t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