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cidian tunic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초

우렁쉥이 껍질로부터 정제된 섬유소 첨가 젤리의 품질평가 (Quaility Evaluation of Jellies Prepared with Refined Dietary Fiber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 변명우;안현주;육홍선;이주운;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4-67
    • /
    • 2000
  • 폐자원의 이용방안으로 우렁쉥이 껍질로부터 정제한 섬유소를 첨가하여 일반적인 젤리보다 생리적인 기능성을 강화한 제품 개발을 위해 우렁쉥이 껍질 섬유소를 각각 5% 및 10% 첨가한 기능성 젤리의 기계적 불성 측정 및 관능적 특성을 통하여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기계적 조직감 측정 결과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견고성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엿으며, 부착성 및 껌성 등의 특성치도 섬유소 첨가량에 의존하여 낮아졌다. 탄성의 경우에만 섬유소 첨가량에 따라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섬유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및 황색도는 증가하였고, 적색도는 음의 방향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택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10% 첨가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항목에서는 무첨가구와의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 PDF

우렁쉥이(멍게) 껍질로부터 정제된 섬유소 첨가 기능성 딸기잼의 품질평가 (Quality Evaluation of Strawberry Jams Prepared with Refined Dietary Fiber from Ascidian(Halocynthia roretzi) Tunic)

  • 변명우;육홍선;안현주;이경행;이현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68-1072
    • /
    • 2000
  • 폐자원의 이용방안으로 우렁쉥이(멍게) 껍질로부터 정제한 섬유소를 첨가하여 일반적인 잼류보다 기능성을 강화한 딸기잼의 제품개발을 위해 우렁쉥이 껍질 섬유소를 각각 1% 및 2% 첨가한 기능성 딸기잼의 기계적 물성 측정 및 관능적 특성을 통하여 제품의 품질평가를 하였다. Back extrusion test에 의해 측정한 4가지 물성치인 견고성, 점조성, 응집성 및 점도는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잼의 점성은 섬유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여 섬유소의 첨가가 점도저하의 원인이 되었고, 조직감 측정에 의해 얻어진 점도의 수치와 일치하였다. 색도의 경우 섬유소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L 및 a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섬유소를 첨가한 잼이 밝은 적색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 1% 섬유소 첨가군이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섬유소를 첨가한 딸기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렁쉥이 껍질성분의 이용에 관한 연구 -1. 우렁쉥이 껍질 추출물이 무지개송어 착색 및 성장에 미치는 효과- (Utilization of Ascidian(Halocynthia roretzi) Tunic -1. Effect of Ascidian Tunic Extracts on Pigmentation and Growth of Rainbow Trout(Oncorhynchus mykiss)-)

  • 이강호;강석중;최병대;최영준;염말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2-239
    • /
    • 1994
  • 현재 우리나라에서 전량 폐기처분 되고 있는 우렁쉥이 껍질의 천연색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우렁쉥이 껍질 중 색소 추출물의 양을 정량하고 이를 무지개송어 사료에 첨가하여 담수에서 8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렁쉥이 껍질 색소 추출물은 11,000mg/kg이었다. 이 중 카로테노이드 함량은 50mg/100g wet tissue이었으며, astaxanthin은 $6\%$ 였다. 2. 색소 추출물구의 체중증가, 사료 섭이량, 사료계수 및 일일성장율은 평균 18.86g, 534.2g, 1.63 및 $2.152\%$로 각각 나타나 다른 구에 비하여 좋았으며, 특히 일일성장율은 유의차(P<0.05)가 있었다. 3. 추출물구의 성장은 사육 6주 후부터 다른 구에 비해 다소 빨랐다. 4. 체색의 적색도(a)의 부위별(A, B, C) 차이는 pink구가 1.0, 1.7 및 1.8, 색소 추출물구가 0.9, 1.2 및 1.6이었다. 육색의 경우도 B 부위의 경우 pink구가 2.4, 색소 추출물구가 2.0으로 나타나 우렁쉥이 껍질 색소 추출물은 인공합성색소를 대체할 수 있는 유용한 천연 착색제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우렁쉥이(Halocynthia roretzi) 껍질로부터 분리된 다당류의 면역증강 효과 (Immune-Enhancing Effects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 이대훈;홍주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73-68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렁쉥이 껍질 유래 다당류의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조다당류의 분리 및 정제를 통해 획분을 얻었으며 다양한 면역증강 효과를 확인하였다. 건조된 조다당류를 DEAE-sepharose CL-6B를 이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한 후 총당 및 uronic acid 함량을 분석한 결과, 증류수로 용출되는 비흡착 획분(APF-I, fraction No. 11~17)과 흡착된 후 NaCl 용액에 의해 용출되는 획분(APF-II, fraction No. 22~37)을 얻었다. 정제된 APF-I 및 APF-II의 이화학적 특성으로 총당 함량은 각각 66.62%, 27.03%, uronic acid 함량은 47.53%, 15.87%, hexosamine 함량은 16.62%, 46.79% 및 단백질 함량은 2.43%, 4.94%로 나타났다. APF-I 및 APF-II에 대해 RAW 264.7 세포에 처리하여 독성을 평가한 결과 $5{\mu}g/mL$ 농도까지 유의적으로 세포사멸이 나타나지 않아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Nitric oxide 생산량은 APF-I이 $5{\mu}g/mL$ 농도에서 $22.23{\mu}m$ 함량을 나타내어 LPS 대비 73.48%로 타 구간에 비해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으며, cytokine 생성량(TNF-${\alpha}$ 및 IL-6) 또한 APF-I $5{\mu}g/mL$ 농도에서 각각 LPS 대비 104%, 100.1%를 나타내어 LPS와 유사한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한 면역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 결과, iNOS, COX-2, TNF-${\alpha}$, IL-6에서 APF-I 구간에서 LPS 처리군 보다 높은 발현량을 나타내어 면역증강을 목적으로 한 기능성식품 개발에 활용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멍게껍질로부터 정제된 섬유소 첨가 빵반죽의 물리적 및 제빵의 품질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and Qualities of Bread Prepared with Dietary Fiber Purified from Ascidian(Halocynthia roretzi) Tunic)

  • 육홍선;김영호;안현주;김동호;김정옥;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87-395
    • /
    • 2000
  • 멍게껍질로부터 정제된 섬유소 슬러리를 첨가한 빵반죽의 물리적 및 제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Farinograph는 멍게껍질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흡수량의 증가를 보였다. 반죽도달시간 및 반죽형성시간은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짧아졌고, 안정도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약화도는 멍게껍질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화도가 커졌다. Extensograph에서는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흡수율은 증가하였고, 신장도 및 신장저항도는 감소하였다. R/E값은 섬유소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Amylograph에서는 멍게껍질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고점도는 감소하였다. 멍게껍질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loaf volume 및 용적비가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고, 멍게껍질 섬유소 슬러리 20% 첨가까지는 빵의 관능적 품질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섬유소 첨가 식빵은 보습성을 높혀 빵의 경화를 지연시킴과 함께 저장성 향상 효과를 보였다.

  • PDF

우렁쉥이 껍질의 색소 및 효소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무지개 송어의 품질 향상 1. 우렁쉥이 껍질 및 효소 가수분해물의 화학적 특성 (Quality Improvement of Rainbow Trout with Pigments and Enzymatic Hydrolysates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1. Chemical Specificity of Ascidian Tunic and Its Hydrolysates)

  • 최병대;강석중;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5-356
    • /
    • 1996
  • 우렁쉥이 껍질은 다량의 색소를 함유하지만 껌질 자체는 어류가 소화시킬 수 없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색소분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고압 가열하거나 효소처리하여 소화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면 어류 사료에 직접 첨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험은 우렁쉥이 껍질 분말에 viscozyme, celluclast, visco-cell (1:1), ultrazyme 등의 복합효소를 일정량 첨가한 후 $50^{\circ}C$에서 일정시간 분해시키면서 일어나는 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불용성 고형분과의 분리능력을 의미하는 상청액율은 효소 첨가구의 농도가 $55.20\~71.88\%$로 효소 무처리구의 $52.68\%$에 비하여 높았고, 고형분 수율도 $800{\mu}l$ 첨가시 까지는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를 토대로 Duncan multiple test를 하여 각 인자간의 상관관계를 고려한 후 기준 첨가량을 $400{\mu}l$로 하였다. 각 효소의 최적 반응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껍질 분말에 각 효소 $400{\mu}l$를 첨가한 후 20, 40, 60, 120, 180, 240분간 반응시켰다. 효소의 종류에 관계없이 고형분 수율, 상청액율 및 고형분 농도 값이 반응 60분 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청액 중 당 조성을 분석한 결과 viscozyme 처리구는 glucose, N-acetyl-D-galactosamine이 주성분이었고, celluclast 처리구는 glucose, N-acetyl-D-glucosamine이, ultrazyme 처리구는 glucose가 주성분이었으며, visco-cello(1:1) 혼합효소구는 celluclast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껍질은 약 $40\%$의 단백질 (건물량)을 함유하지만, 각 부위별 아미노산 조성은 내피 중의 함량이 가장 높아 21.00g/100g sample이었다. 이들 아미노산 함량중 Asp와 Glu가 가장 많았고, 내피 중 필수아미노산의 함량도 껍질보다 높았다. 껌질 중의 지방산 조성은 매우 다양하였으며, 포화 지방산 중에서는 14 : 0, 16 : 0, 18 : 0가 주성분이었으며, 불포화지방산 중에서는 n-3 계열의 총지질 (TL), 중성지질 (NL), 극성지질 (PL)이 각각 $19.72\%,\;20.44\%,\;20.10\%$였고, n-6 계열의 TL, NL, PL이 각각 $9.21\% \;9.10\%,\;12.18\%$였다. 총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PL이 $40.31\%$, NL이 $36.44\%$, TL이 $35.41\%$로 PL의 함량이 높았다.

  • PDF

우렁쉥이 껍질 유래 황산다당의 유동 특성 (Flow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in the Tunic of the Ascidin Halocynthia roretzi)

  • 손병일;홍병일;안종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68-72
    • /
    • 2007
  • The flow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purified from the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were investigated. The sulfated polysaccfarides produced aqueous solutions of low apparent viscosity with pseudoplastic flow behavior. The respective activation energies of TCA-treated and TCA-nontreated solutions were $2.2248{\times}10^4\;and\;1.442{\times}10^4J/kg{\cdot}mol$ at a 150L/s shear rate. The viscosity of the sulfated polysaccharides solution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sugar, while it was not changed by the addition of NaCl.

우렁쉥이 껍질성분 및 색소를 이용한 양식소재 개발 1. 우렁쉥이 껍질 다당류의 추출방법 (Utilization of Pigments and Tunic Components of Ascidian as an Improved Feed Aids for Aquaculture 1. Effective Extraction Methods of Crude Polysaccharides in Ascidian (Halocpthia roretzi) Tunic)

  • 이강호;홍병일;최병대;강석중;육지희;정병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23-428
    • /
    • 1998
  •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의 껍질부분은 거의 전량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한 연안오염 문제까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이용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우렁쉥이 껍질에서 카로테노이드계 색소를 추출하고 남은 잔사로부터 조다당류를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조건을 조사하였다. 우렁쉥이 껍질의 일반성분 조성은 색소를 함유한 것과 탈색시킨 분말 모두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조단백질은 약 $40\%$였고, 총탄수화물은 약 $46\%$였다. 우렁쉥이 분말과 효소처리 및 autoclave처리한 조다당류의 아미노산조성은 세 시료 모두 유사한 결과였다. Histidine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특히 neutrase 처리구는 $29.2\%$였으며, autoclave 처리구는 $20.4\%$였다.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가 $9.1\~12.2\%$로 상당량 존재하였다.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탈색한 분말, neutrase 처리구, autoclave 처리구 각각 $31.7\%,\;26.3\%,\;29.5\%$였다. 또한, 이들 세 시료의 무기질 함량은 조 추출물의 경우 Ca의 함량이 월등히 많았으며, 다음이 Mg과 Na 순이었다. 탈색한 시료는 Na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Ca>Mg>Fe의 순이었다. 색소 함유한 시료의 경우 Ca>Mg>Na>Fe의 순이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수율은 효소처리의 경우 neutrase $3\%$처리가 바람직하였고, 가수분해 처리시간은 24시간정도가 좋았으며, 이때 수율은 약 $10\%$였다. 한편 조다당류를 침전시킬 때 처리하는 에탄올의 농도는 $70\%$가 바람직하였길, $70\%$ 에탄올로 처리시 상온에서 방치할 때 최적 방치 시간은 15시간이었다. 한편, Autoclave를 이용하여 $125^{\circ}C$에서 처리했을 때의 조다당류의 수율은 처리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약 6시간 처리하였을 때 $9\%$ 이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autoclave 처리횟수에 따른 시료의 수율은 1차 처리시 조다당류가 가장 많이 추출되었으며, 처리횟수를 반복함에 따라 수율이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조다당류의 일반성분은 단백질함량이 $20\%$이내인 반면, 총탄수화물의 함량이 $60\%$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 PDF

멍게 물렁증 근육변성의 병인에 관한 연구 (Histopathological studies on the degenerative changes of somatic muscle in soft tunic syndrome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 허민도;이효은;이무근;김보성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70
    • /
    • 2021
  • As a part of research to elucidate the pathogenesis of so called Soft Tunic Syndrome(STS), that caused mass mortalities in the cultured sea squirts, Halocynthia roretzi, the epidemiological and pathological analysis were done to both clinically normal and diseased groups of the farms of Tongyoung and Geoje coastal areas in southeast sea from February to July, 2008. In the histological finding of the tunic, most of individuals showed tunic softness syndromes that included the disarrangement and destruction of tunic fiber with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flagellates-like cells, recently suspected as main agents of tunic softness syndromes. Simultaneously, the intensive degenerative changes of the skeletal muscle of diseased sea squirts were recognized. The changes were characterized with the hyalinization and condensation of muscle fibril and hemocytic infiltration in the muscle fibers. Those were thought to be a kind of typical Zenker's necrosis as in the skeletal muscle of higher vertebrates. Besides of the diseased sea squirts, Zenker's necrosis of skeletal muscles were seen in the normal ones. Epidemiological inquiry for diseased groups revealed that the higher incidences of tunic softness syndrome were recorded in the fast growing groups and in the sites presuming the organic pollution. And Higher malondialadehyde(MDA) and glutathione peroxidase(GPx) activity were detected in the groups showing STS. Those results suggested that Zenker's necrosis of body muscles was a kind of"nutritional myopathy" by oxidative stress. Conclusively, it was considered that Zenker's necrosis of body muscles gives an important clue for elucidating pathogenesis of STS of cultured squirts. And it seems that the necrosis were caused by the oxidative stress to body muscle during abnormal rapid growth of sea squirts.

멍게 물렁증의 원인충인 Azumiobodo hoyamushi에 대한 유기산의 살충효과 연구 (Anti-protozoal effect of organic acids against Azumiobodo hoyamushi that causes soft tunic syndrome to Halocynthia roretzi)

  • 이지훈;박경일;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17-123
    • /
    • 2015
  • 우리나라 멍게 양식의 발전으로 생산량이 점점 증가하였으나 최근 물렁증 (soft tunic syndrome)으로 멍게가 대량 폐사하여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을 입고 있다. 이런 물렁증을 일으키는 원인체가 Azumiobodo hoyamushi라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이 원인충을 박멸할 수 있는 치료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저자들에 의한 이전의 연구에서 기존의 산화제, 환원제, 소독제 등에서 물렁증에 대한 치료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약제보다 좀 더 친환경적인 유기산을 활용하여 in vitro 및 in vivo 시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In vitro 시험에서 12종의 유기산 중 8종이 $300{\mu}g/ml$에서 100% 원충에 대한 살충효과를 발휘하였다. In vivo에서의 유기산 침투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pH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유기산 처리 후 멍게 피막내 pH는 in vitro 에서 보다는 0.5~1 정도 높고 무처리 피막보다는 2.0 정도가 낮아 부분적으로는 침투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친환경적인 유기산을 이용하여 물렁증의 치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