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cidian tunic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초

우렁쉥이 껍질성분 및 색소를 이용한 양식소재 개발 2. 우렁쉥이 껍질 중 부분정제한 황산다당의 화학적 특성 (Utilization of Pigments and Tunic Components of Ascidian as an Improved Feed Aids for Aquaculture 2. Chemical Proper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s in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 홍병일;정병천;정우진;육지희;최병대;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32-637
    • /
    • 2001
  • 우렁쉥이 껍질에서 분리한 황산다당을 부분정제하여 몇 가지 화학조성과 전기영동을 하였다. 추출된 황산다당의 화학적 조성은 sulfate, uronic acid, protein, chondroitin sulfate, amino sugar, hexosamine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전기영동결과 autoclave 처리에 의해 추출된 조다당류는 폭넓은 단일 band를 나타내었으나, neutrase 처리구는 세 개의 band로 구분되었다. Autocalve 처리구의 분자량은 약 40,000 정도로 추정되며, neutrase 처리구의 경우 고분자 band는 100,000 이상, 두 개의 저분자 band 중 하나는 약 22,000 정도, 또 하나의 band는 약 5,000 정도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온교환수지 및 겔 여과하여 얻은 전당획분의 화학적 조성은 부분정제 전과 거의 유사하였다. Sephadex G-25로 gel 여과한 시료의 조성당은 arabinose, xylose 및 glucose는 흔적량 정도이었으나 galactose는 $71.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N-acetylgalactosamine 함량이 $14.5\%$ 정도이었고, D-glucuronic acid가 $6.3\%$ 정도 검출되었다. Sephadex G-100과 G-100-25로 정제한 당의 전기영 동 패턴은 거의 유사하게 단일 band의 양상이나 G-25 처리구가 다소 좁은 band를 나타내었다. 부분정제한 황산다당과 표준품인 chondroitin sulfates의 FT-IR spectrometer 분석 결과, 거의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황산기나 에스테르 등 몇몇 중요한 원자단의 신축 진동수가 IR spectrum의 지문영역 ($500\sim700cm^{-1}$$)에서 나타났다. 황산기 중의 S=O 신축진동이 $1,240cm^{-1}$에서, C-O-S신축진동의 경우 수평향배는 $820cm^{-1}$에서 나타났다.

  • PDF

우렁쉥이 껍질의 색소 및 효소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무지개 송어의 품질 향상 2. 우렁쉥이 껍질의 효소 가수분해물이 무지개 송어의 착색 및 성장에 미치는 효과 (Quality Improvement of Rainbow Trout with Pigments and Enzymatic Hydrolysates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2. Effect of Ascidian Tunic Enzymatic Hydrolysates on Pigmentation and Growth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강석중;최병대;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57-368
    • /
    • 1996
  • FDA에서 인공합성착색제의 사용을 금지함에 따라 천연착색제의 탐색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양식어류의 천연착색제 개발을 목적으로 우렁쉥이 껍질성분을 이용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우렁쉥이 껍질 색소추출물이 인공합성 착색제인 carophyll pink보다 뛰어난 성장 및 착색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밝혔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우렁쉥이 껍질은 동물이 소화하기 힘든 튜니신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색소 뿐만 아니라 우렁쉥이 껍질 전체를 직접사료에 첨가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껍질분말을 고열가압 한 시료에 다당류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분해시킨 후 이들 분해산물을 무지개송어에 급이하여 체색개선 및 성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지개송어 사육결과 일일성장률은 색소첨가구가 가장 높아 $1.510\%$였으며, 대조구와 pink구는 비슷하였으며, 껍질분말구는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실험구에 비하여 성장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나 마쇄된 분말을 그대로 사료에 혼합하는 것은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효소처리구는 대조구 및 pink구와 성장이 비슷하였고, 분말처리구보다는 성장이 뛰어났으므로 우렁쉥이 껍질의 효소처리는 사료원으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다. 3. 효소처리구의 육색의 색소함량은 8주까지는 색소추출물구와 pink구에 비해서 낮았으나, 12주째부터는 거의 동일한 수준으로 되었다. 4. 육 및 간의 총지질함량을 살펴보면 사육개시시 0.47g/100g 및 0.84/100g 이었으나, 12주후에는 pink 구가 8.00g/100g 및 6.89g/100g 이었고, 추출물구는 7.46g/100g 및 6.26g/100g으로서, 육색의 착색정도와 지질의 함량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극성지질의 함량은 전 사육 기간을 통하여 육 지질의 경우 $20\~26\%$ 전후였으나, 간 지질의 경우 $30\~37%$를 차지하였다. 5. 육의 착색에 특정 지방산이 관여하거나, 육의 색소함량과 지방산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렁쉥이 껍질 성분의 이용에 관한 연구 -5. 우렁쉥이 껍질 추출물이 무지개송어 간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5. Feeding Effect of Ascidian Tunic Extracts on Liver Lipid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강석중;최병대;최영준;염말구;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45-453
    • /
    • 1994
  • 색소 추출물의 급이에 의한 무지개송어 간지질의 지방산조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소 추출물의 지방산조성은 18:2n-6가 $14.2\%$, 20:5n-3가 $3.5\%$, 22:6n-3가 $8.3\%$로 EFA 사료로서의 가치가 인정되었다. 2. 모노엔산의 함량은 급이 중 변화가 컸으며 이는 고도불포화산의 변화에 기인된 것으로 나타났다. 3. 색소 추출물 급이에 의해 2주 후 무지개송어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증가하여 $25.9\%$$23.1\%$로 나타났으나, 대조구 및 pink구에서는 $15.0\%$$18.8\%$로 각각 나타났다. 4. 20:4n-6의 함량이 대조구나 pink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 EFA 결핍에 의한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n-11 및 20:2n-11의 함량이 낮은 것은 급이사료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렁쉥이 껍질을 이용한 유기 액비 제조시 발효액의 특성 변화 (Change of Characteristics during Organic Liquid Fertilizer Processing using Ascidian Tunic)

  • 유재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83-693
    • /
    • 2014
  • 폐자원인 우렁쉥이 껍질을 이용한 환경친화형 유기농 액비의 개발을 위하여 유용미생물(EM)을 이용한 우렁쉥이 껍질의 최적 발효조건과 액비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EM발효 우렁쉥이 껍질 액비 제조 시 당밀의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낮아지며, EC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는 당밀이 10% 이상 투입된 시험구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EM발효 우렁쉥이 액비의 총 질소 함량은 발효가 경과할수록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특히 당밀이 15% 이상 투입된 시험구에서 약 220%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인의 함량은 발효 21일차에서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칼륨의 함량은 발효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다.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의 함량 역시 발효가 경과할수록 증가하였고 당밀이 15% 이상 투입된 시험구에서 증가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칼슘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성분(As, Cd, Cu, Cr, Hg, Ni, pb 및 Zn)의 함량은 시험구 모두에서 비료공정규격 기준치에 적합하였다. 우렁쉥이 껍질 액비의 유리아미노산은 총 29종이 검출되었으며 총량은 7,080.94 mg/L를 나타내었고 알라닌이 656.32 mg/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우렁쉥이 껍질을 이용한 액비화에는 당밀이 15% 이상 투입된 조건이 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우렁쉥이 껍질로부터 정제된 섬유소 첨가 어묵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Fish Paste Prepared with Refined Dietary Fiber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 육홍선;이주운;이현자;차보숙;이승용;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42-646
    • /
    • 2000
  • 우렁쉥이 껍질로부터 정제한 섬유소 슬 러리를 각각 2.5%, 5% 및 10% 첨가하여 기능성 어묵을 제조하고 기계적 물성, 전단력, 색 도 및 관능 평가를 수행하여 제품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기계적 조직감 측정 결과 섬유소를 첨가할수록 견고도, 부착성, 껌성, 씹힘성 및 전단력이 증가되었고, 수분활성도와 색도는 유 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 모든 시료의 색택, 조직감 및 전반적 기호도에서 유의 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5% 첨가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렁쉥이 껍질로부터 정제한 식이섬유 급여 Rat의 영양학적 특성 및 혈청지질함량의 변화 (Changes of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Serum Cholesterol in Rats by the Intake of Dietary Fiber Isolated from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 육홍선;김정옥;최정미;김동호;조성기;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74-478
    • /
    • 2003
  • 우렁쉥이 추출 불용성 식이섬유를 5%, 10%, 20% 첨가한 식이 후 실험쥐 집단의 영양생리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Cellulose 급여에 따른 총 식이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식이 중 cellulose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체중은 감소하였으며 식이효율의 조절, 배변량 증가, 변의 수분 증가, 식이의 장 통과시간 단축, 장 길이의 증가 등의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우렁쉥이 식이섬유를 급여한 실험쥐의 혈청분석 결과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중성 지질 및 인지질, 혈당은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HDL-cholesterol은 식이섬유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따라서 우렁쉥이 식이섬유를 첨가한 가공식품을 섭취할 경우 배변량의 조절, 변비 및 비만조절, 혈청 지질의 감소와 같은 유용한 생리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렁쉥이 껍질 성분의 이용에 관한 연구 -4. 우렁쉥이 껍질 추출물의 안정성- (Utilization of Ascidian(Halocynthia roretzi) Tunic -4. The Stability of Ascidian Tunic Extracts-)

  • 최병대;강석중;최영준;염말구;이강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1-356
    • /
    • 1994
  • 우렁쉥이 껍질 및 색소 추출물의 열에 대한 안정성 및 저장 안정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열시간에 다른 함량변화는 적었으며, $100^{\circ}C$에서 4시간 가열하였을 때 약$10\%$가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용매에 대한 안정성은 함량이 많은 alloxanthin, halocynthiaxathin 등이 가장 높았고, astaxanthin은 hexane에 저장할 때도 저장 안정성이 낮았다. 3. $-20^{\circ}C$ 저장시 가장 안정하여 용매에 의한 영향보다는 온도에 따른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나 색소 추출물을 이용할 때는 저온저장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eparations of Chemical Cellulose from Ascidian Tunic and Effect of Spinning Conditions on the Properties of New Regenerated Cellulose Fiber

  • Koo, Won-Mi;You, Sang-Hoon;Lee, Dong-Jin;Kim, Eun-Young;Kim, Han-Do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0년도 봄 한국섬유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Proceedings of the Korean Textile Conference)
    • /
    • pp.125-128
    • /
    • 2000
  • Chemical cellulose from an ascidian tunic is isolated by extraction, digestion and bleaching steps. The content of $\alpha$-cellulose was above 98 wt%, and it's DPw was about 918. A new regenerated cellulose fiber from the chemical cellulose obtained in this study was made using NMMO/water(87/13 wt%) as a solvent by dry jet-wet spinning. The effects of spinning speed and cellulose content of spinning dope on the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 PDF

Methods to eradicate soft tunic syndrome (STS)-causing protozoa Azumiobodo hoyamushi, the highly infectious parasite from the edible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 Lee, Ji-Hoon;Lee, Jae-Geun;Zeon, Seung-Ryul;Park, Kyung-Il;Park, Kwan Ha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9권1호
    • /
    • pp.1.1-1.6
    • /
    • 2016
  • Although soft tunic syndrome (STS) in the ascidian is a serious disease, helpful measures have yet not been established. It was examined in this study by applying aniti-parasitic drugs to eradicate the causative protozoa Azumiobodo hoyamushi from infected ascidians. Formalin was synergistic in killing parasites in vitro when co-treated with hydrogen peroxide ($H_2O_2$) or bronopol, but not with chloramine-T or povidone-iodine (PVP-I), when tested with in vitro parasite culture. The synergistic effects did not change when $formalin-H_2O_2$ (or bronopol) ratios were changed. It was found that treatment periods less than 60 min achieved a sub-maximal efficacy. Increasing drug concentration while keeping 30 min period improved anti-parasitic effects. Anti-parasitic effects of $formalin(F)+H_2O_2$(H) were also assessed in an in vivo STS model infected with cultured parasites. It was observed that combined 50 (40F + 10H) and 100 (80F +20H) ppm were effective in partially preventing STS-caused mortality. In horizontally transmitted artificial STS model, significant prevention of ascidian mortality was also observed after 50 ppm. Marked reduction of living parasites were noted after drug treatments in vivo. The results provide a highly useful basis to develop a preventive or treatment measure against the currently uncontrollable STS in the ascidian.

멍게껍질 추출색소 및 CLS (Conjugated Linoleic Acid)가 함유된 사료를 섭취한 고등어 (Scomber japonicus)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Properties of Mackerel Scomber japonicus Fed a Diet Fortified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Extract)

  • 박은정;박시향;강석중;하영래;최영준;최병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83-190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lipid from aquacultured mackerel Scomber japonicus fed with a diet fortified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tunic extracts by radical scavenging assay. The fish were separated into squid oil (Control) and 2.5% CLA (CA25) groups during the 8-week feeding period. The reducing power of each sample showed high levels of activity compared with ${\alpha}$-tocopherol and butylated-hydroxyanisol (BHA) at 0.2-1.0 mg/mL of lipid. Inhibition of linoleic acid oxidation in samples from Control and CA25 groups showed similar activity after 2 days of incubation at $40^{\circ}C$.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CLA and carotenoid-deposited sample (CA25)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ipid extracted from the viscera of mackerel showed slightly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at from the mus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