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scidian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63초

우렁쉥이 이용에 관한 연구 -7. 우렁쉥이 젓갈의 제조 및 품질평가(III)-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7. Processing and Quality Evaluation of Fermented Ascidian(III)-)

  • 이강호;조호성;이동호;김민기;조영제;서재수;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40-345
    • /
    • 1993
  • 우렁쉥이 젓갈의 실용화를 위하여 적정 효소 및 숙성 조건을 토대로 하여 상온에서 $1{\sim}2$일간 숙성 시킨 후 저온 저장하였을 때의 젓갈의 품질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온 저장중 아미노질소는 서서히 증가하였으나 식염 농도가 높은 것이 다소 낮았다. 휘발성염기질소도 서서히 증가하였는데 papain이나 protease-A를 첨가한 경우는 식염 $5\%$때 저장 30일경, $10\%$$15\%$의 경우는 약 40일경에 $35mg/100g$에 달하였다. Total creatinine의 변화는 저장 20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total carotenoid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저장중 환원당은 증가하였으며 복합효소인 protease-A를 첨가한 경우가 환원당 생성이 월등히 높았다. Glycogen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특히 protease-A는 식염 $5\%$$10\%$를 첨가한 경우는 저장 30일경에 식염 $15\%$의 경우는 저장 40일경에 완전히 소실되었다. 저장중 갈변도는 큰 변화는 없었다. 3. 저온 저장중 관능 검사 결과 $0.1\%$ papain과 $0.1\%$ protease-A에 식염 $5\%$를 첨가한 경우 저장 30일경부터, 식염 $10\%$$15\%$를 첨가한 경우는 저장 40일경에 우렁쉥이 특유의 상큼한 향기와 맛이 퇴조하였다. 따라서 여러 가지 화학적 분석 결과와 관능적 품질 평가를 종합하여 볼 때 상온 숙성 후 저온 저장시 식염 농도에 따라 $20{\sim}40$일까지는 우렁쉥이 특유의 향기와 우렁쉥이 젓갈 특유의 맛을 유지할 수 있었으나 장기간의 연장을 위해서는 저장온도의 저하와 퇴색 방지를 위한 항산화제 또는 보장제를 보조적으로 첨가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멍게껍질로부터 정제된 섬유소 첨가 빵반죽의 물리적 및 제빵의 품질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and Qualities of Bread Prepared with Dietary Fiber Purified from Ascidian(Halocynthia roretzi) Tunic)

  • 육홍선;김영호;안현주;김동호;김정옥;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87-395
    • /
    • 2000
  • 멍게껍질로부터 정제된 섬유소 슬러리를 첨가한 빵반죽의 물리적 및 제빵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Farinograph는 멍게껍질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흡수량의 증가를 보였다. 반죽도달시간 및 반죽형성시간은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짧아졌고, 안정도에서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약화도는 멍게껍질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화도가 커졌다. Extensograph에서는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흡수율은 증가하였고, 신장도 및 신장저항도는 감소하였다. R/E값은 섬유소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Amylograph에서는 멍게껍질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고점도는 감소하였다. 멍게껍질 섬유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loaf volume 및 용적비가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고, 멍게껍질 섬유소 슬러리 20% 첨가까지는 빵의 관능적 품질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섬유소 첨가 식빵은 보습성을 높혀 빵의 경화를 지연시킴과 함께 저장성 향상 효과를 보였다.

  • PDF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휘발성성분 (Volatile Flavor Constituents of the Low-Salt Fermented Ascidian)

  • 황석민;김영아;주종찬;이소정;최종덕;오광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141-150
    • /
    • 2011
  •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풍미발현물질을 구명하기 위해 SDE apparatus,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저염 우렁쉥이 젓갈 특유의 향기성분을 추출, 분리 및 동정하였다. $5^{\circ}C$에서 15일간 숙성시킨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pH는 5.17, 염도는 8.0%, 휘발성염기질소의 함량은 23.0 mg/100 g이었다.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향기성분으로 총 96 성분이 동정되었고, 총함량은 $1,221.42{\mu}g/100g$-cyclohexanol이었다. 이들 화합물의 종류와 함량을 group별로 분류하면 alcohol류 23종, acid류 16종, aldehyde류 15종, hydrocarbon류 29종, 방향족 화합물 6종, ester류 2종, 함질소 화합물 2종 및 기타 3종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계수적인 측면에서 가장 많은 화합물은 hydrocarbon류였고, 양적인 측면에서 가장 많은 화합물은 1-octanol을 위주로 한 alcohol류였다.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향기발현에는 alcohol류를 위주로 여기에 aldehyde류, acid류, 방향족 화합물, ester류 및 함질소 화합물 등이 관여하며, 이들 성분이 서로 조화를 이루어 저염 우렁쉥이 젓갈의 독특한 향기를 발현한다고 생각되었다.

한국산 해초류(Ascidians)에 공생하는 요각류 I. 동해의 해초류(Ascidians)에 공생는 요각류 1 미기록종 (Copepod Associated with Ascidians from Korea I. A New Record of Notodelphyid (Copepoda, Cyclopoida) Species from Ascidians in the east Sea, Korea)

  • 서인순;이경숙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99-304
    • /
    • 1995
  • Paranotodelphys villosus Ooishi, 1963, a symbiotic Copepoda, recovered from the ascidian, Ascidia sydneiensis samea (Oka) is reported from the East Sea, Korea.

  • PDF

Genetic Differences and Variation of Ascidians, Halocynthia roretzi von Drasche and H. hilgendorfi Oka Identified by PCR Analysis

  • Yoon, Jong-Man;Kim, Jong-Ye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4호
    • /
    • pp.359-364
    • /
    • 2011
  • The seven selected primers OPA-02, OPA-04, OPA-18, OPD-07, OPD-08, OPD-15 and OPD-16 were used to generate unique shared loci to each species and shared loci by the two species. The hierarchical dendrogram indicates three main branches: cluster 1 (RORETZI 01~RORETZI 11) and cluster 2 (HILGENDORF 12~HILGENDORF 22) from two geographic populations of ascidians, Halocynthia roretzi and H. hilgendorfi. The shortest genetic distance displaying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 was between individuals' HILGENDORF no. 14~HILGENDORF no. 19 (genetic distance =0.008). Ultimately, individual no. 02 of the RORETZI ascidian was most distantly related to HILGENDORF no. 21 (genetic distance=0.781).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H. roretzi population is genetically different from the H. hilgendorfi population. From what has been said above, the potential of PCR analysis to identify diagnostic markers for the identification of two ascidian populations has been demonstrated. Generally speaking, using a variety of decamer primers, this PCR method has been applied to identify specific markers particular to line, species and geographical population, as well as genetic diversity/polymorphism in diverse species of organisms.

오만둥이(Styela plicata)에서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최적 추출조건 설정 및 주름개선 효능 (Establishment of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and Wrinkle Improvement Evaluation of Glycosaminoglycans in Styela plicata)

  • 네리 테리스 아리안;최병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717-724
    • /
    • 2020
  • Styela plicata are naturally-occurring marine resources easily found along the coastlines that have established their niche as functional food and nutraceuticals ingredient along with their increasing consumer demand. Ascidian contain a large amount of dietary fiber but only the meat has been utilized and consumed while the rest of its parts are discarded. Also,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meat of ascidians while studies on the functionality of the ascidian tunics, which were mostly undervalued, were scar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explored the glycosaminoglycans (GAGs) contents in the tunics of S. plicata, and their potential use as functional ingredient in pharmaceutical and nutraceutical applications. Sulfated GAGs and uronic acids contents were 8.9-10.7 g/100 g and 9.4-11.3 g/100 g, respectively. Highest GAGs content was extracted with optimum Brix at 7-9. Extraction efficiency using hot water at 121℃ was 4.22% while enzyme extraction using Protamex was more efficient at 5.91%. GAGs extracted from S. plicata tunics exhibite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of 75.2% at 100 ㎍/mL and procollagen synthesis activity of 80.1% at 100 ㎍/mL.

우렁쉥이(Halocynthia roretzi) 유생의 뇌포 구조와 수압수용쳬의 형성 (Brain Vesicle Structure and Formation of the Hydrostatic Pressure Receptors in Larvae of the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 김정은;서형주;김길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94-99
    • /
    • 2006
  • The tadpole larvae of most ascidians have two sensory pigment cells in their brain vesicle. The anterior otolith pigment cell is sensitive to gravity, whereas the posterior ocellus pigment cell responds to light. Besides these two sensory cells, the larvae also possess another type of sensory receptor cell: hydrostatic pressure receptor (Hpr) cells. The Hpr cells have been presumed to sense hydrostatic water pressure, although no functional analysis has been performed. In larvae of the ascidian Halocynthia reretzi, the development of the Hpr cells and their structure in the brain vesicle are poorly understood. To investigate the morphology and formation of the Hpr cells, we established a monoclonal antibody, Hpr-1, that specifically recognizes Hpr cells. The Hpr-1 antigens became detectable in the brain vesicle at the late tailbud stage. Each Hpr cell projected a small globular body, connected by a short stalk, into the lumen of the brain vesicle. The brain vesicle showed remarkable left-right asymmetry. Pigment cells were located on the right side in the lumen of the brain vesicle, whereas Hpr cells were present in the left side. After metamorphosis, the Hpr cells were observed near the rudimental siphons of the juven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