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rtificial stream

Search Result 24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저수지를 포함한 도시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an Urban Stream with a Reservoir)

  • 김필재;김진영;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25-831
    • /
    • 2013
  • The Suwon stream which consists of a mountainous reach, an artificial reservoir and an urban reach provides benthic macroinvertebrates with various habita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reservoir sluice control and water quality 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in the Suwon stream from June to August, 2011. As a result, substrate composition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site (S2) and the lower site of the reservoir (S3). At site S3, water velocity was fastest, and water temperature was lowest due to the intermediate depth discharge of the reservoir. Cheumatopsyche brevilineata which prefer fast water velocity was dominant at site S3. Some biotic indices (H', J, and R) of site S3 de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Benthic Macroinvertebrate Index (BMI)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site S2 and site S3. EP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ater temperature. The sluice control of the reservoir leaded variations of water velocity and temperature, and seemed to make the state of aquatic ecosystem worse.

내성천에서 멸종위기어류 흰수마자 Gobiobotia naktongensis의 증강도입과 모니터링 (Augmentation and Monitoring of an Endangered Fish, Gobiobotia naktongensis in Naeseongcheon Stream, Korea)

  • 나진영;최병습;황상철;양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3호
    • /
    • pp.216-223
    • /
    • 2015
  • 본 연구는 영주댐 건설사업 영향에 따른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 어류 흰수마자의 보전을 위하여 수몰예정지 내 흰수마자를 서식적합지로 이주시키고, 댐에 의한 내성천 상하류 단절 및 유전적 폐쇄에 대비하여 인공종묘생산 및 복원을 통해 내성천에 치어를 방류하여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영주댐 수몰예정지 내 흰수마자는 8회 이상 포획 시도에도 불구하고 서식이 확인되지 않아 이주가능지로 이주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내성천에서 포획한 친어 40개체를 통해 인공종묘생산한 치어 5,000개체는 친어의 유전 다양성을 물려받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전에 물리적, 생물학적 환경조건 분석을 통하여 자연 서식지와 유사한 최적방류지를 선정하여 인공종묘생산 치어를 방류하였다. 초기에는 방류지점을 중심으로 미소분산이 이루어졌으나, 시간흐름에 따라 확산이 진행되면서 재포획 개체수가 감소하였다. 포획된 방류 개체들은 내성천 자연생태환경에 적응하여 서식하고 있으며, 복부 팽만도가 높고 총배설공으로 배설물이 확인되는 점으로 보아 자연 먹이 섭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종묘생산에 의한 영주댐 상하류 내성천 흰수마자 유전적 동질성 확보와 복원 개체군의 증강에 일차적 성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향후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지속적인 효과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Exposure to Different Types of Waterscape Facilities for Urban Green Space Planning

  • Jo, Hyun-Ju;Wang, Jie-Mi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223-1231
    • /
    • 2016
  • To create urban landscapes that take human emotion into consideration, the present study verified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artificial waterscape facilities on users, as these facilities significantly impact their psychological comfort.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SD scales and POMS of 60 male and 60 female participants after they watched a video of four waterscape facilities. Participants deemed the video clip of a fountain waterscape to be artificial and linked it with changeable images that increased their vigor. The video clip of waterfall stimulated various impressions (e.g., vital, liked, active, etc.) and changed participant' mood states by increasing their vigor and decreasing fatigue. The video clip of the pond yielded familiar impressions, produced less free images, and decreased tension among participants. Finally, the video clip of the stream stimulated quiet and comfortable images as well as reduced negative feelings of anger, confusion, and depression among participants. Furthermore, males experienced more positive effects than females, regardless of the type of waterscape facility.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the four different waterscape facilities influenced participants' mood states. Additionally, the psychological effects differed by gender. The data suggest that landscape planners need to carefully consider their choice of waterscape facility when designing green spaces to ensure that the space is psychologically comforting to users.

인공수로에서 고농도 탁수가 수질 및 부착 규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ly Concentrated Turbid Water on the Water Quality and Periphytic Diatom Community in Artificial Channel)

  • 윤성애;유경아;박지형;김백호;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4권1호
    • /
    • pp.75-84
    • /
    • 2011
  • 인공하천에서 탁수가 부착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는 실내에 인공수로 4개를 설치하고, 대조군 2개와 처리군 2개로 반복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기질은 1% agar을 바른 슬라이드 글라스($7.5{\times}2.5\;cm$)이었고, 지점당 40개씩 설치하였다. 조사는 2010년 3월 29일부터 4월 10일까지 총 13일간이었으며, 6일간은 부착조류가 부착할 수 있는 공백기를 주었고, 조사 7일부터 24시간 간격으로 약 50분(50 L)간 고농도의 탁수($2\;g\;L^{-1}$, 300 NTU)를 주입 시켰다. 분석항목은 수질요인(수온, DO, pH, 전기전도도, 탁도, SS, $NO_2$-N, $NO_3$-N, $NH_4$-N, $PO_4$-P, TN, TP)과 생물량(Chl-${\alpha}$, AFDM), 종조성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처리군의 탁수 농도는 162.2~173.2 NTU로 나타났다. 탁수 발생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수질 항목은 수온, DO 및 TN으로 나타났고,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항목은 SS, $NO_2$-N, $NO_3$-N, $NH_4$-N 및 TP로 나타났다. 부착조류의 생물량(Chl-${\alpha}$, AFDM) 및 밀도는 탁수 주입 후 3 일간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3일 이후부터는 뚜렷한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단기간의 간헐적인 탁수라 할지라도 그 기간이 일주일 정도 지속된다면 부착 규조류 생물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그를 통한 하천 먹이사슬의 구조적, 기능적 교란의 잠재성을 시사한다.

하수처리장 방류수를 이용한 인공함양 가능성 평가

  • 김병군;서인석;홍성택;김형수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257-260
    • /
    • 2002
  •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suitable treatment methods of wastewater effluent for artificial recharge. For this purpose, we search the effluent quality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and possibility of additional filtration process. Particles ranged 2 ~ 5 ${\mu}{\textrm}{m}$ and 15~20 ${\mu}{\textrm}{m}$ in "T" WWTP(Waste Water Treatment Plant) effluent were relatively dominant. In dual-media filtration system operation, head-loss development of column 1 was about two times faster than column 2, and head-loss development within 5 cm from surface was very important factor in operation, Conclusively, for the stable filtration and running time of 1.5~2 day, influent turbidity must keep 5 NTU or below, and filtration system must operated at 280 m/day or below. After filtration of WWTP effluent, water quality reached satisfactory level. This water has potential of agricultural reusing, flushing water in building, recharging water to river or stream at dry season and artificial recharge of ground water.und water.

  • PDF

수자원의 이용계획을 위한 장기유출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Long-Term Runoff Model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 조현경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61-68
    • /
    • 2013
  • Long-term runoff model can be used to establish the effective plan of water reources allocation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storage capacity of reservoir. So this study aims at the development of monthly runoff model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 For this, it was selected multi-layer neural network(MLN) and radial basis function neural network(RFN) model. In this study, it was applied model to analysis monthly runoff process at the Wi stream basin in Nakdong river which is representative experimental river basin of IHP. For this, multi-layer neural network model tried to construct input 3, hidden 7, and output 1 for each number of layer.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monthly runoff process using models connected with artificial neural network technique, it showed that these models were effective in the simulation of monthly runof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ir Pollution : A Bibliometric Analysis from 2012 to 2022

  • Yong Sauk Ha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1호
    • /
    • pp.48-56
    • /
    • 2024
  •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o coping with air pollution. AI is effective in coping with it in various ways including air pollution forecasting, monitoring, and control, which is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This attention has created high need for analyzing studies on AI and air pollution. To contribute for satisfying it, this study performed bibliometric analyses on the studies on AI and air pollution from 2012 to 2022 using the Web of Science database. This study analyzed them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trend in the number of articles, the trend in the number of citations, the top 10 countries of origin, the top 10 research organizations, the top 10 research funding agencies, the top 10 journals, the top 10 articles in terms of total citations, and the distribution by languages. This study not only reports the bibliometric analysis results but also reveals the eight distinct features in the research steam in studies on AI and air pollution, identified from the bibliometric analysis results. They are expected to make a useful contribution for understanding the research stream in AI and air pollution.

차천(車川) 하류 구간의 퇴적지형 변화 (The Changes of Depositional Landforms in the Downstream Reach of Cha-Cheon)

  • 유태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52-363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낙동강의 소규모 지류인 차천의 합류 구간에서, 1973년 직강화 이후 직강 하도 내에 이루어진 퇴적지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풍 우량 및 수위관측소의 10년간(1993$\sim$2002) 강우량과 수위자료를 분석해 보면, 1년에 1회 이상 범람하였고, 연평균 3회 이상 역류를 하였다. 둘째, 차천 직강 하도내의 범람원은 보(洑)에서 최종 여울(A 지점) 사이에서 거의 평탄한 단면을 나타낸다. 직강하도 내의 범람원의 두께는 상류로 가면서 얇아진다. 셋째, 직강 하도 내 범람원 퇴적물의 0$\sim$20cm 깊이의 평균입경은 C 지점 하류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여 본류인 낙동강의 역류에 따른 퇴적 메카니즘을 추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강 하도 내의 범람원상의 퇴적물을 분석한 결과, 낙동강의 역류에 따른 부유하중의 침전에 의한 수직퇴적과 사면에서 공급된 하상하중의 퇴적이 c번 지점을 경계로 구분을 의미한다.

  • PDF

실시간 데이터 분석의 성능개선을 위한 적응형 학습 모델 연구 (A Study on Adaptive Learning Model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Stream Analytics)

  • 구진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01-206
    • /
    • 2018
  • 최근 인공지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들이 보편화되면서 특히, 기계 학습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기계 학습은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일괄적으로 처리하며 최종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나, 작업의 효과가 즉시 학습 과정에 통합되지는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의 큰 이슈로서 실시간 데이터 분석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적응형 학습 모델을 제안하였다. 적응형 학습은 데이터세트의 복잡성에 적응하여 앙상블을 생성하고 알고리즘은 샘플링 할 최적의 데이터 포인트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사용한다. 6개의 표준 데이터세트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적응형 학습 모델은 학습 시간과 정확도에서 분류를 위한 단순 기계 학습 모델보다 성능이 우수하였다. 특히 서포트 벡터 머신은 모든 앙상블의 후단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적응형 학습 모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매개변수들의 변화에 대한 추론을 적응적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한 문제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내성천 하도 내 식생활착에 의한 단면 및 유량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cross section and flow rate due to vegetation establishment in Naeseong stream)

  • 이태희;김수홍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3호
    • /
    • pp.203-21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유역내 댐 건설과 하천내 식생성장으로 육역화 현상이 진행되는 내성천 환경 변화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내성천 유역에 위치한 3개 관측소를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관측된 수문자료와 항공사진 및 지형자료를 수집하여 수문특성에 따른 수위-유량관계 변화 및 횡단면의 침식·퇴적 변화율을 분석하였다. 또한 상류 지류인 월호교 관측소에서 인위적인 유량 조절 유무에 따른 영향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내청천에서는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지속적인 가뭄에 의해 홍수터에서는 식생활착 및 식생사주 면적 증가로 육역화가 진행되었고, 저수위에서는 흐름부 축소, 유속 및 하상소류력 증가로 지속적인 하상침식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