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rice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44초

피에서 분리한 Fusarium fujikuroi의 동정 및 벼 키다리병의 전염원 가능성 (Identification of Fusarium fujikuroi Isolated from Barnyard Grass and Possibility of Inoculum Source of Bakanae Disease on Rice)

  • 최효원;이용환;홍성기;김완규;이영기;천세철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82-85
    • /
    • 2011
  • 2009년 전남 해남 지역의 논에서 벼 키다리병과 유사한 병징을 나타내는 피를 채집하여 병원균을 분리하였다. 이병 식물체는 줄기가 고사하여 하얗게 말라 죽고, 줄기 표면에 흰가루 모양의 포자가 형성되었다. 분리균은 균학적 특성과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Fusarium fujikuroi로 동정되었다.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GenBank에 등록된 F. fujikuroi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벼와 피를 대상으로 침지접종에 의해 병원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피가 벼 키다리병의 전염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벼 키다리병의 방제와 건전종자의 채종을 위해서는 논에 발생한 이병식물체뿐 아니라 전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피를 제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중(中) 조리면(調理面)에서 본 반과상고(盤果床考) (A Study of Cookery of Daily Meal (Bankwa Sang: Fruit Table) in Wonheng Ulmyo Jungri Euigwae (1795))

  • 김상보;한복진;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41
    • /
    • 1990
  • To analyze dialy meal of royal meal, studied Bankwa Sang(Fruit Table) were on record Wonheng Ulmyo Jungri Euigwae (1795). Historic book 'Jungri Euigwae' described the king's visit to his father's royal tomb 'Hyun Neung Won', during the domain of Cheung Jo, the 22nd king of Choson Dynast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as follows. The fruit table, which similar in concept to desert in the west but quite different in service, was prepared for a guest. The table consisted of two kinds of trays, on which serveral kinds of fruit were stacked to a height of between 4 chon (4寸 : about 12 cm) and 1 chuk(1尺 : about 30.3 cm) according to Korean measurement system. The table was decorated with beautiful artificial flowers made of paper and silk. The number of sets to be arranged on the tabl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oyal status of the eater: 12 sets-25 sets for king's mother, 7 sets-11 sets for the king. Soy sauce mixed with vinegar and pine-nu meal, mustard were ruled out from kind of sets. Kinds of dishes served with a meal generally were noodles (麵), soup (湯), fried fish (煎油花), fried meats and vegetables (花陽灸), slices of raw fish (魚膾), minced raw meat (肉膾), slices of boiled beef (片肉), stew (蒸), rice cake (餠), sweet rice dish (藥飯), patterned savory cake (茶食), fried cake made of wheat flour, honey and oil (藥果), fried glutinous rice cake (强精), various fruits preserved in honey (正果), sugar candies (各色糖), fruits (果物) honey (淸), soy sauce mixed with vinegar and pine-nut meal (醋醬), mustard (莽子).

  • PDF

Studies on Pathogenicity of Wheat Scab Fungus(Gibberella zeae) to Various Crop Seedlings

  • Chung H. W.;Chung H. S.;Chung B. J.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21-25
    • /
    • 1964
  • 1. 본 시험은 이병된 식물의 잔재물 또는 토양중에 있는 맥류적미병균(Gibberella zeae (Mont.) Sacc.)이 14종의 작물유묘에 미치는 병원성을 검정하고자 하였다. 2. 이들 작물은 병원균을 인공적으로 접종한 토양, 그리고 맥류적미병의 발생이 자연적으로 심했던 곳과 경했던 곳의 토양에 공시하여 본균에 대한 이병성을 검정하였다. 3. 인공접종시험에 있어서 보리, 밀, 호밀, 콩, 벼, 메밀, 옥수수, 목화, 녹두는 이병성이었고, 팥, 참깨, 수수, 무, 배추 등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4. 인공접종시험에 있어서, 이병성작물의 발아율은 벼, 옥수수, 목화를 제외하고 접종토양과 배접종토양에 있어 현저한 유의차가 있었다. 아시전립고는 보리, 옥수수에서만, 아시후립고는 호밀, 밀, 벼, 메밀, 보리, 옥수수에서 일어났다. 이병성작물의 대부분은 제2차근이 거의 부패하였고 제1차근도 부패 내지 변색되어 있었다. 이병성작물은 초장이 접종토양과 비접종토양에 있어 현저한 유의차가 있었다. 5. 자연상태에서 맥류적미병의 발생이 심했던 곳과 경했던 곳의 토양에 보리, 밀, 호밀을 파종하였으나 본균에 의한 침해나 영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 PDF

마른진흙버섯(Phellinus gilvus)의 톱밥재배 기술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Fruitbody in the Artificial Oak Sawdust Cultures of Phellinus gilvus Mushroom)

  • 조우식;류영현;김창배;최성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9-112
    • /
    • 2002
  • 마른진흙버섯(Phellinus gilvus)을 참나무톱밥, 미강, 참나무원목을 이용하여 인공재배 하였다. 배지재료의 이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pH는 참나무톱밥 4.6, 미강 6.6, 전질소함량은 참나무톱밥 0.58%, 미강 2.20%, C/N비는 참나무톱밥 55.5, 미강 17.7이었다. 참나무톱밥 + 미강(90 : 10) 혼합처리에서는 균사배양소요일수 25일, 초발이소요일수 12일, 자실체 생체중 577g, 건물중 97g, 생산효율 64%로 미강 0, 5, 10, 15, 20, 25, 30% 7처리 중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참나무원목 처리는 배양소요일수 56일, 초발이소요일수 12일, 자실체 생체중 231g, 건물중 38.7g, 생산효율 25.6%로 나타나 수확량과 배양소요일수 측면에서 톱밥재배가 유리하였다. 이상의 시험결과로 마른진흙버섯(P. gilvus)의 톱밥재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누에의 人工飼料 組成分中의 炭水化物源에 關한 硏究 (Studies on the Carbohydrate-resources among the Composition of Artificial Diet for for the Silkworm, Bombyx mori L.)

  • 김주읍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8-46
    • /
    • 1981
  • 누에 人工飼科資源으로 適合한 炭水化物源과 澱粉分解酸素의 活性을 調査하기 위하여 8種의 澱粉을 各各 누에 人工飼科에 添加하여 調劑한 飼科로 누에를 飼育하면서 主要形質과 蠶體內 組織, 器官의 amylase電氣泳動像을 調査한 結果를 다음과 같이 要約한다. 1. 澱粉種類에 따른 누에의 實用形質은 쌀, 보리 및 조澱粉이 比較的 良好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누에의 人工飼科用 澱粉源은 純度를 높이기 위한 處理를 加하지 않아도 無妨할 것으로 생각되며 澱粉의 添加量은 乾物重으로 12~18%範圍가 適當한 것 같다. 3. amylase의 電氣泳動像은 蠶品種이나 澱粉의 種類에 關係없이 體液에는 3個活性帶, 中腸에는 4個活性帶 絹絲腺에는 2個活性帶가 各各 同一型으로 나타났고 消化液에는 活性帶가 認定되지 않았다. 그리고 澱粉添加量 18% 및 無添加區에서는 體液의 amylase活性帶에 變化가 誘發되었다.

  • PDF

벼 이삭마름병해(病害)에 관여(關與)하는 균류(菌類)의 검출(檢出)과 검출(檢出)된 균류(菌類)가 종자(種子) 변색(變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Detection of Fungi Associated with Ear Blighting of Rice Plants and Their Effect on Seed Discoloration and Yield)

  • 권진숙;박종성;유승헌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99-205
    • /
    • 1985
  • 1. 벼 종자(種子)의 변색정도(變色程度)에 따른 균류(菌類)의 검출(檢出)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변색(變色)이 심한 종자(種子)에서 Alternaria tenuis,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Curvularia lunata, Fusarium semitectum, Gerlachia oryzae, Phoma sp. Trichoconiella padwickii 등이 높은 비율(比率)로 검출(檢出)되었고 특히 반점종자(斑點種子)에서는 Helminthosporium 균(菌)이 높은 비율(比率)로 검출(檢出)되었다. 2. 벼 종자상(種子上)에서 진균(眞菌)의 검출(檢出)에 미치는 광선(光線)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Alternaria tenuis, Helminthosporium oryaze, Trichoconiella padwickii, Fusarium moniliforme, Fusarium semitectum 등(等)은 암흑구(暗黑區)에서 보다 광선조사구(光線照射區)에서 검출율(檢出率)이 높았고 Phoma sp. Curvularia lunata, Epicoccum purpurascens, Verticillium sp.는 광선조사구(光線照射區)나 암흑구(暗黑區)나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Gerlachia oryzae는 암흑구(暗黑區)에서 오히려 검출율(檢出率)이 높았다. 3. 벼 종자상(種子上)의 배양온도(培養溫度)가 균류(菌類)의 검출(檢出)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Alternaria tenuis, Cladosporium cladosporioides는 저온구$(15^{\circ}C)$에서 검출율(檢出率)이 높았고 Phoma sp.는 고온구$(30^{\circ}C)$에서 검출율(檢出率)이 높았다. 4. 검출(檢出)된 각(各) 균류(菌類)가 종자(種子) 변색(變色)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공시(供試)한 7게(個)의 균류(菌類) 모두가 종자(種子) 변색(變色)에 관여(關與)하여 인공접종(人工接種)한 이삭에서의 천립중(千粒重)은 대조구의 천립중(千粒重)에 비해 모두 낮았고 특히 공시(供試)한 7개(個)의 균(菌)을 혼합접종(混合接種)한 이삭의 천립중(千粒重)과 등숙비율(登熟比率)은 대조구보다 저하(低下)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태양열을 이용한 농산물건조에 관한 연구 (I)-벼의 건조에 대하여 (Drying of Crops with Solar Heated Air -Drying of Rough Rice -)

  • 이문남;금동혁;류능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권2호
    • /
    • pp.100-113
    • /
    • 1978
  • Drying grain with conventional artificial drying methods requires great quantities of petroleum fuels. Depletion of fossil fuel increases the need of the utilization of solar energy as an alternative to petroluem fuels for drying grain , an energy intensive agricultural operation. Many techniques for the utilization of solar energy in grain drying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in adopting solar energy as an energy sources for drying grain. Futhermore,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solar grain drying i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vailability of solar energy for drying of rough rice in Chuncheon, Suweon, and Jinju areas based on 50year meteorological data, and to analyze experimentally the performance of a solar air collector for dying grain, and to find the effects of solar heated air compared to unheated air on the rate of drying and energy consumption required for drying of rough r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 1. Monthly average daily total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in October was 260.6 ly/day for Chuncheon, 240.3 ly/day for Suweon , and 253.4 ly/day for Jinju area, respectively. 2. the ratio of monthly average daily diffuse radiation to daily total radiation on a horizontal surface was approximately 0.41 for Chuncheon, 0.45 for Suweon, and 0.44 for Jinju area, respectively. 3. Although the statistical distribution curves of daily total radiation for the three locations were not identical , the differences among them were not large and may be neglected for many practical purposes. 4. I was estimated that the optimum tilting angle of the collector in October was approximately 46 degrees for Chuncheon and Suweon and 45 degrees for Jinju. 5. The ratio of the total radiation on a optimum tilting plane to that on a horizontal plane was estimated to be 1.36 for Chuncheon, 1.31 for Suweon, and 1.27 for Jinju , respectively. 6.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solar air collector ranged from 47. 8 to 51. 5 percent at the air flow rates of 251. 1-372.96 $m^3$/hr. High efficiency remained nearly , constant during the best sunshine hours, 10 a.m. to 2 p.m. and decreased during other hours. More energy was collected as the air flow rate incresed. 7. The average temperature rise in the drying air from the solar collector for the test period varied from $6.5^\circC$ to $21.8^\circC$ above the ambient air temperature. 8. Solar-dried rough rice averaged 13.7 percent moisture (w.b.) after 130 hours of drying with the air flow rate of 1. 64 ccm/$m^3$, and rough rice dried with natural air averaged 15.1 percent moisture (w.b.) after 325 hours of drying with the same air flow rate. 9. Energy saving of 2.4 kwh per $m^3$ percentage point of moisture removed was obtained from solar heated air drYing. The solar bin used 53.3 percent less energy per percentage point of moisture removed than the natural air bin.

  • PDF

규산 및 삼요소 시비수준이 도체내 성분함량과 도열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ilicate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Fertilizers on the Chemical Components of Rice Plants and on the Incidence of Blast Disease of Rice Caused by Pyricularia oryzae Cavara)

  • 백수봉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7-109
    • /
    • 1975
  • 수도 도열병의 종합적 방제체계 확립의 일환으로서 합리적인 비료 시용에 의한 효과적 방제 가능성을 알고다 규산, 질소, 인산 및 가리 등 여러 비료를 시용하여 이들이 도체내 성분함량과 도열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나아가 수도품종 및 균주간의 상호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1971년과 1973년에 수도묘에 도열병균을 인공접종 및 자연발병시켜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규산을 시용하면 수도 엽신내 규산함량은 크게 증가하고 전당함량과 가리함량도 증가하나 전질소 및 인산함량은 감소되었다. 2) 규산의 시용으로 도체내 C/N 율과 $SiO_2/N$율 및 $K_2O/N$율은 향상되었으며 이들과 도열병 발병지수와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있었다. 3) 규산시용으로 도열병 발병지수는 저하되었다. 4) 도체내 규산함량은 질소질비료를 과용하면 감소되고 전질소함량은 증가되며 전당함량은 감소하여 도열병 저항성을 크게 저하시켰다. 5) 규산함량은 인산질비료를 많이 시용하거나 도체내 인산함량이 증가하면 감소되어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을 저하시켰다. 6) 가리질비료를 다시용하면 규산함량은 증가되었고 전질소함량은 감소되었으며 $K_2O/N$율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가리함량이 비교적 낮은 상태에서는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되었으나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는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과 유의적인 상관이 보이지 않았다. 7) 도열병 발병지수는 공시된 균주범위내에서 진흥이 적었고 풍옥이 가장 컸으며 풍광 팔달은 비슷한 정도였다. 도열병균의 병원성은 $P_1,\;P_2,\;and\;P_3$의 순으로 강하였으나 풍옥에 있어서는 일정한 경향을 찾아볼 수 없었다. 엽위별로는 5-6엽기의 묘에서 상위 제2엽이 발병이 많았고 제1엽과 제3엽은 비슷한 정도였다.품종이기 때문인 것 같다. (4) 벼의 수량은 무처리 5,814kg/ha에 비하여 Carbofuran 6,649kg, Cytrolane 6,340kg, BPMC 6,315kg, Chlorphenamidine 6,265kg, Cartap 6,164kg, Diazinon 5,944kg, Diazinon 입제 수면시용 6,102kg로서 Carbofuran 처리구에서 벼의 수량이 가장 높았다. (5) Carbofuran 처리구에서 높은 수량을 보인 것은 Carbofuran 처리구에서 멸구, 매미충류의 밀도가 낮았고 오갈병의 발병율이 낮은데서 온 결과인 것 같다.화안정성은 없었다. 포말성은 87.5$\pm$$2.5\%$였고 용해도는 산성영역 (pH 2와 4)에서 약 83$\~$$84\%$로 높았으나 pH 6이상에서는 44$\~$$50\%$로 낮았다. 보였다.이 한국어와는 다른 것이라거나, 한국어 음성학을 공부하지 않고 한국어를 연구할 수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의학에도 분야마다 전문의가 있듯이, 언어학도 이제 복잡하고 광범한 학문이 되었으므로 분야별로 전문가가 나오게 된 것뿐입니다. 따라서 "나는 통사론에 관심이 있으므로 소리말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언어학자가 있다면, 이 것은 크게 잘못된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나는 소리에만 관심이 있으므로 통사론에는 관심이 없다"고 말하는 음성학자가 있다면, 이 또한 안되는 일입니다. 문의 구성과 어휘 요소와 아무 관련이 없는 말소리의 차이가 무슨 소용이 있으며, 통사 구조를 표현하고 저달하는 말소리를 연구하지 않고 어떻게 통사론을 연구할 수 있겠습니까? 다시 간추리면, 언어는 본질적으로 소리말이고, 언어의 특성과 사용 및 습득도 모두 소리말 형태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영국의 대학은

  • PDF

벼 생장모형 SIMRIW를 이용한 주암호 건설에 따른 주변지역의 벼 잠재생산성 변이 추정 (Change in Potential Productivity of Rice around Lake Juam Due to Construction of Dam by SIMRIW)

  • 임준택;윤진일;권병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29-738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주암호 건설에 따른 기후 요소의 변이에 따른 벼 생산성에서의 변이를 밝히기 위해 주암호 주변 6개 지역에 AWS를 설치하고 그 인근 지역에서 벼를 재배하고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주요 기상요소로서 일최고기온, 일최저기온, 일평균기온, 일평균상대습도, 일평균풍속, 일평균지온, 일적산일사량 그리고 일적산강우량이었고, 생육형질로는 일주일 간격으로 8~10회에 걸쳐 초장, 분얼수, 엽면적, 엽건물중, 경건물증, 그리고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를 조사하였다. 기상요소의 변이와 벼 생산성의 변이간의 관계는 SIMRIW의 모수추정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호수 생성 전과 생성 후의 기상을 30년간 시뮬레이션을 통해 추정한 다음 이 결과를 모형에 입력하여 30년간의 모형에 의한 수량을 추정하고 그 평균을 통해 호수생성에 따른 벼 생산성 변이를 추정하였다. '94년도 5개 지역 그리고 '95년도 3개 지역, 그리고 '96년도 4개 지역의 관측된 시험 성적과 SIMRIW에서 추정한 지상부 건물중, 엽면적지수 그리고 수량을 비교해 보았을 때 SIMRIW의 결과가 대체적으로 각 관측치의 평균값에 접근함을 알 수 있어 이 모형이 비교적 양호하게 기상환경의 변이에 따른 수량을 예측함을 알 수 있었다. 30년간의 simulation을 통해 얻은 담수 전과 담수 후의 기상자료를 비교해 보면 일최고기온은 담수 전이 약간 높았으나 일최저기온은 담수 후가 약간 높아서 일평균기온은 담수 후가 오히려 높은 경향을 보였고, 일적산일사량은 담수 후에 대략 0.9 MJ $d^{-1}$ 정도 낮아졌다. 이들 자료를 SIMRIW에 입력하여 수량을 예측해 본 결과 주 암호의 생성에 따라 복다-동촌-승주지역에서 5.2%, 오봉 4.9%, 이읍 9.1%, 금성 5.5%, 유정 4.8%, 다산 3.3% 정도 수량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지역을 평균하여 볼 때 담수 전이 6.82MT/ha, 담수 후가 6.44MT/ha로 전체적으로 5.6% 정도 감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비이온성 및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 첨가가 반추위 혼합 미생물의 성장과 볏짚의 in vitro 소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n-ionic or Zwitterionic Surfactant on in vitro Digestibility of Rice Straw and Growth of Rumen Mixed Microorganisms.)

  • 이신자;김완영;문여황;김현섭;김경훈;하종규;이성실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15-521
    • /
    • 2008
  • 본 연구는 반추위 미생물 발효에 있어서 계면활성제의 이온성 여부가 발효시간별 in vitro 건물소화율, 미생물 성장량, pH 변화, Cas 발생량 및 SEM에 의한 미생물 부착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 mm 입자도의 볏짚을 기질로 하여 Holstein 젖소 위액을 이용한 Dehority's artificial medium에 대조구를 비롯하여 비이온성 계면활성제(NIS)로서 시판되고 있는 Tween 80과 SOLFA-850 2종류, 그리고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ZIS)로서 3-(Dodecyldimethylammonio) propanesulfanate (DDAP) 1 종류를 이용하여 각각 0.05% 및 0.1% 수준으로 첨가함으로써 총 7처리를 두었다. 발효시간은 6, 12, 24, 48 및 72시간으로 설정하여 각 처리 당 3반복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In vitro 건물 소화율은 NIS인 Tween 80 첨가구에서 48시간 및 72시간 발효 시, 타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나, ZIS인 DDAP 첨가구는 발효 24시간이후 부터 대조구보다도 건물소화율이 낮게 나타났다(P< 0.05). 가스 발생량은 NIS 두 처리구 모두, 대조구나 ZIS 처리구보다 유의적(P<0.05)으로 많았으며, 발효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미생물 성장량은 NIS인 Tween 80 첨가구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SOLFA 850 첨가구 순이었으며, ZIS인 DDAP 첨가구는 대조구보다도 적었다(P<0.05).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미생물 부착 양상에서 NIS 첨가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미생물 군집이 현저히 많았으나 ZIS첨가구는 오히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양쪽(+/-)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반추위 발효 작용과 미생물 성장에 긍정적인 효과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