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ificial island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6초

호소 수질 개선을 위한 인공식물섬 장치 개발 연구 (Research on Improvement of Lake Water Quality Using Artificial Floating Island)

  • 김태훈;안태웅;정재훈;최이송;오종민
    • 생태와환경
    • /
    • 제43권2호
    • /
    • pp.263-270
    • /
    • 2010
  • 현재 인구 증가와 더불어 용수의 저장고로만 쓰이던 호소는 최근 수질개선 문제뿐만 아니라 친수성과 경관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호소의 경관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자연정화법인 인공식물섬이 각광 받고 있으나, 낮은 수질개선 효율 등 여러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인공식물섬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장치를 설계하고 수질개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식생과 여재를 혼용하는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인공식물섬에 충진 될 여재의 오염물질 제거 효율을 알아보기 위한 Lab scale 실험과 여재와 식생을 혼용한 인공식물섬을 현장에 직접 설치하여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1. 기존의 인공식물섬의 경우 시설의 처리면적이 작고 식생만을 이용한 처리 방식이며, 동절기의 경우 식생이 성장하지 못하여 호소의 수질정화 효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문제시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장치는 효율적인 수질개선 효과를 얻기 위해서 여재와 식생을 혼용하여 사용하여 수질개선 효과를 높였고, 유출수를 분수로 분출하기에 경관성과 친수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였다. 2. 고농도 유입수 조건에서의 Bio Stone의 오염물질 제거효율은 SS 62.2%, BOD 50.2%, COD 55.1%, T-N 31.6%, T-P 38.4%로 조사되었다. 유입수의 농도가 높을수록 제거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본 장치의 현장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호소 생활 환경기준 IV~VI급의 호소에 장치를 설치하고 유입수 대비 유출수의 제거효율 조사 하였고, 그 결과 SS의 평균 제거효율은 53.5%, BOD는 평균 32.8%, COD는 평균 36.9%, T-N은 평균 22.6%, T-P는 평균 33.2%로 조사되었다. 4. 유출수를 분수형태로 분출하기 때문에 폭기현상을 일으켜 자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정체성 호소에 인위적인 교란을 주어 넓은 범위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부체틀을 SUS304로 제작하여 부체틀의 부식에 의한 오염이 없으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주도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의 최적 지하수위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의 활성화함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ctivation functions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prediction of optimal groundwater level in the middle mountainous area of Pyoseon watershed in Jeju Island)

  • 신문주;김진우;문덕철;이정한;강경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spc1호
    • /
    • pp.1143-1154
    • /
    • 2021
  • 활성화함수의 선택은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모델의 지하수위 예측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제주도의 중산간 지역과 같이 지하수위의 변동폭이 크고 변동양상이 복잡한 경우 적절한 지하수위 예측을 위해서는 다양한 활성화함수의 비교분석을 통한 최적의 활성화함수 선택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의 변동폭이 크고 변동양상이 복잡한 제주도 표선유역 중산간지역 2개 지하수위 관측정을 대상으로 5개의 활성화함수(sigmoid, hyperbolic tangent (tanh), Rectified Linear Unit (ReLU), Leaky Rectified Linear Unit (Leaky ReLU), Exponential Linear Unit (ELU))를 ANN 모델에 적용하여 지하수위 예측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고 최적 활성화함수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순환신경망 모델인 Long Short-Term Memory (LSTM) 모델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하수위 변동폭이 상대적으로 큰 관측정과 상대적으로 작은 관측정에 대한 지하수위 예측에 대해서는 각각 ELU와 Leaky ReLU 함수가 최적의 활성화함수로 도출되었다. 반면 sigmoid 함수는 학습기간에 대해 5개 활성화함수 중 예측성능이 가장 낮았으며 첨두 및 최저 지하수위 예측에서 적절하지 못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따라서 ANN-sigmoid 모델은 가뭄기간의 지하수위 예측을 통한 지하수자원 관리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ANN-ELU와 ANN-Leaky ReLU 모델은 LSTM 모델과 대등한 지하수위 예측성능을 보여 활용가능성이 충분히 있으며 LSTM 모델은 ANN 모델들 보다 예측성능이 높아 인공지능 모델의 예측성능 비교분석 시 참고 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기간의 정보량에 따라 학습기간의 지하수위 예측성능이 검증 및 테스트 기간의 예측성능보다 낮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관측지하수위의 변동폭이 크고 변동양상이 복잡할수록 인공지능 모델별 지하수위 예측능력의 차이는 커졌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5개의 활성화함수를 적용한 연구방법 및 비교분석 결과는 지하수위 예측뿐만 아니라 일단위 하천유출량 및 시간단위 홍수량 등 지표수 예측을 포함한 다양한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창덕궁 부용정과 주합루 권역의 복원정비를 위한 원형 경관 고찰 (A Study on the Original Landscape for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of Buyongjeong and Juhamnu Areas in Changdeokgung Palace)

  • 오준영;양기철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4-37
    • /
    • 2021
  • 본 연구는 대한제국과 그 전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창덕궁 부용정과 주합루 권역의 원형 경관을 새롭게 조명하고, 향후 복원정비에 유용한 연구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부용지 인공섬의 석축은 본래 정연하게 가공된 석재를 활용해 바른층쌓기로 조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1960~1970년대의 정비공사 과정에서 부용지 인공섬은 자연석과 가공석이 혼합된 형태로 변형되었다. 부용지 인공섬의 상부에 설치된 난간은 유사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시설로 대한제국기에도 실존했지만, 일제강점기에 완전히 멸실되었다. 둘째, 오늘날 어수문 좌우에 남아 있는 취병은 2008년 조릿대를 기반으로 재현된 결과물이다. 어수문 취병의 식물 소재를 주목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하지만, 구체적인 수종은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관련 자료와 정황을 다각적으로 고려하면 적어도 근대기의 어수문 취병은 동관왕묘와 경복궁 건청궁처럼 '향나무'로 제작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셋째, 주합루 후원은 석계 형태의 구조물 위에 수목이 밀생하지 않은 공간이었다. 주합루 후원의 석계는 비교적 개방된 형태로 관리되면서 주변 건축물을 왕래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기능하였다. 하지만 1980년대 후반에 대규모 식재공사가 이루어지면서 주합루 후원은 화계와 같은 형태로 정비되었고, 다수의 화관목이 식재되어 폐쇄적인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넷째, 규장각과 개유와처럼 서고(書庫) 기능을 가졌던 영화당 남행각은 1900년대 후반 무렵에 멸실되어 본래 모습을 파악하기 어려운 건축물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기 사진과 스케치 자료를 토대로 영화당 남행각의 배치축을 확증하고, 형태와 의장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초자료 구축 차원에서 「동궐도」와 「동궐도형」을 참고한 추정복원도를 제시하였다.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한 도시지역 옥상녹화에 따른 물 및 열순환 영향 평가 (Assessing the Effect of Water and Heat Cycle of Green Roof System using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in Urban Area)

  • 장철희;김현준;김연미;남미아
    • KIEAE Journal
    • /
    • 제13권4호
    • /
    • pp.33-41
    • /
    • 2013
  • The impervious area on the surface of urban area has been increased as buildings and artificial land cover have continually been increased. Urban development has gradually decreased the green zone in downtown and alienated the city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on outskirt area devastating the natural ecosystem. There arise the environmental problems to urban area including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urban flood, air pollution and urban desertification. As one of urban plans to solve such problems, green roof system is attracting atten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lood discharge and heat redu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green roof system and to quantify effect by analyzing through simulation water and heat cycle before and after green roof system. For the analysis,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WEP (Water and Energy transfer Processes) and WEP+ model were used. WEP was developed by Dr. Jia, the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in Japan (Jia et al., 2005), which can simulate water and heat cycle of an urban area with complex land uses including calcul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water and heat cycle components. The WEP+ is a visualization and analysis system for the WEP model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Outbreak and Spread of Bacterial Canker of Kiwifruit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Biovar 3 in Korea

  • Kim, Gyoung Hee;Kim, Kwang-Hyung;Son, Kyeong In;Choi, Eu Ddeum;Lee, Young Sun;Jung, Jae Sung;Koh, Young Ji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6호
    • /
    • pp.545-551
    • /
    • 2016
  • A bacterial pathogen, Pseudomonas syringae pv. actinidiae (Psa), is a causal agent of kiwifruit bacterial canker worldwide. Psa biovar 3 (Psa3) was first detected in 2011 at an orchard in Dodeok-myeon, Goheung-gun, Jeonnam Province in Korea.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results of an epidemiological study regarding Psa3 occurrence on kiwifruit orchards in Korea for the period of 2013 to 2015. Since the first detection of Psa3 in 2011, there was no further case reported by 2013. However, Psa3 was rapidly spreading to 33 orchards in 2014; except for three orchards in Sacheon-si, Gyeongnam Province, most cases were reported in Jeju Island. Entering 2015, bacterial canker by Psa3 became a pandemic in Korea, spreading to 72 orchards in Jeju Island, Jeonnam, and Gyeongnam Provinces. Our epidemiological study indicated that the first Psa3 incidence in 2011 might result from an introduction of Psa3 through imported seedlings from China in 2006. Apart from this, it was estimated that most Psa3 outbreaks from 2014 to 2015 were caused by pollens imported from New Zealand and China for artificial pollination. Most kiwifruit cultivars growing in Korea were infected with Psa3; yellow-fleshed cultivars (Yellow-king, Hort16A, Enza-gold, Zecy-gold, and Haegeum), red-fleshed cultivars (Hongyang and Enza-Red), green-fleshed cultivars (Hayward and Daeheung), and even a kiwiberry (Skinny-green). However, susceptibility to canker differed among cultivars; yellow- and red-fleshed cultivars showed much more severe symptoms compared to the green-fleshed cultivars of kiwifruit and a kiwiberry.

제주도 만년콩(콩과) 자생지의 식생구조와 보전 방안 (Conserv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Euchresta japonica (Leguminosae) in Jeju Island)

  • 송관필;장창기;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9-95
    • /
    • 2012
  • 한라산에 자생하는 위기식물 만년콩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생육지 식물사회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만년콩의 자생지는 해발 220 m에 위치하고 경사는 $40-50^{\circ}$로 매우 가파른 암석지대로, 돈네코 계곡의 북사면 일대에 소수의 개체가 불연속적이며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조사는 만년콩이 확인된 지역($10{\times}20\;m$)과 분포하지 않는 인근지역을 조사하여 비교 하였다. 조사구는 구실잣밤나무 교목층(70-80%)이 수고 10-16 m로 형성되어 33종류의 식물종이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확인된 위협 요인으로는 다른 종과 생육지 경쟁에서의 도태, 매우 가파른 자생지의 입지 등 자연적인 요소와 계곡 정비와 같은 인위적인 요소로 판단되었으며, 보전을 위한 현지 내외 보호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Survey of Gymnophalloides seoi Metacercariae in Natural and Cultured Oysters from Several Western Coastal Areas, Korea

  • Chang, Taehee;Jung, Bong-Kwang;Song, Hyemi;Cho, Jaeeun;Hong, Sooji;Lee, Keon-Hoon;Hoang, Eui-Hyug;Kang, Jisu;Lim, Jini;Lee, Hana;Chai, Jong-Y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7권6호
    • /
    • pp.705-708
    • /
    • 2019
  • Gymnophalloides seoi (Digenea: Gymnophallidae) is a human intestinal trematode contracted by eating raw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 It has been known to be highly endemic in Aphae Island, Shinan-gun, Jeollanam-do (Province). However, recent epidemiological status of G. seoi has not been reported since the 1990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G. seoi metacercariae in natural and cultured oysters collected from 3 islands and 2 coastal areas in western parts of Korea. The oysters were examined using the artificial digestion method followed by stereomicroscopy. The overall positive rate of G. seoi metacercariae in natural oysters was 66.0% (99/150), and the oysters collected from Yubu Island showed the highest infection rate (74.0%). However, the metacercarial density per oyster was relatively low (1.5-2.4 per oyster). By contrast, no metacercaria was found in cultured oysters purchased from 2 coastal areas in Chungcheongnam-do. Thus, we could confirm that natural oysters produced from 3 western coastal islands are infected with G. seoi metacercariae, whereas cultured oysters purchased from 2 coastal areas were free from infection.

AI 기법을 활용한 제주도 남서부 해역의 입자추적 예측 연구 (AI-Based Particle Position Prediction Near Southwestern Area of Jeju Island)

  • 하승윤;김희준;곽경일;김영택;윤한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72-81
    • /
    • 2022
  • 본 연구는 제주도 남서부 해역의 표류체 이동 예측을 위해 2020년 8월 제주도 남서부 5개 지점에서 투하된 표층 뜰개 위치자료와 수치모델 예측자료를 학습자료로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입자추적 모델 5개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AI 기법은 기계학습 3종(Extra Trees, LightGBM, Support Vector Machine)과 딥러닝 2종(DNN, RBFN)이다. 또한 해수유동 수치모델 입자추적 예측자료 1종 및 AI 기법 입자추적 예측자료 5종을 표층 뜰개 관측자료와 비교하여 각 예측모델별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6종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5개 정점에 대한 3개 스킬량(MAE, RMSE, NCLS)의 평균값을 비교 검토하였다. 최종적인 결과로서 딥러닝 DNN 모델이 MAE, RMSE, NCLS에서 다른 모델보다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Chemical Resistance of Diaporthe citri against Systemic Fungicides on Citrus

  • Zar Zar Soe;Yong Ho Shin;Hyun Su Kang;Yong Chull Je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9권4호
    • /
    • pp.351-360
    • /
    • 2023
  • Citrus melanose, caused by Diaporthe citri, has been one of the serious diseases, and chemical fungicides were used for protection in many citrus orchards of Jeju Island. Establishing a disinfectant resistance management system and reducing pesticide usage would be important for contributing to safe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is study, monitoring of chemical resistance was performed with 40 representative D. citri isolates from many citrus orchards in Jeju Island. Four different fungicides, kresoxim-methyl, benomyl, fluazinam, and prochloraz manganese, with seven different concentrations were tested in vitro by growing the mycelium of the fungal isolates on the artificial medium potato dextrose agar. Among the 40 fungal isolates, 12 isolates were investigated as resistant to kresoxim-methyl which could not inhibit the mycelium growth to more than 50%. Especially isolate NEL21-2 was also resistant against benomyl, whose hyphae grew well even on the highest chemical concentration. However, any chemical resistance of fungal isolates was found against neither fluazinam nor prochloraz manganese. On the other hand, in vivo bio-testing of some resistant isolates was performed against both kresoxim-methyl and benomyl on young citrus leaves. Typical melanose symptoms developed on the citrus leaves pre-treated with both agrochemicals after inoculation with the resistant isolates. However, no or less symptoms were observed when the susceptible isolates were inoculated.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some resistant isolates of D. citri occurred against both systemic fungicides, which may be valuable to build a strategy for protecting citrus disease.

반응성연직배수공법의 적용에 대한 지반공학적 평가 (Geotechnical Evaluation on the Application of Reactive Vertical Drainage Method)

  • 나형윤;채덕호;오명학;조완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7호
    • /
    • pp.13-17
    • /
    • 2012
  • 근래 기존의 항만 중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해양 개발에서 녹색 성장 기술 확보 및 서비스 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해양 공간을 마련하기 위하여 해상 폐기물매립장을 자원순환기술 및 지반개량공법을 적용하여 추후 친환경 인공섬의 기반으로 삼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상 폐기물매립장의 지반 개량과 오염물질 정화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반응성연직배수공법의 현장 적용성을 판별하기 위하여 공법 적용 대상 지반의 역학적 특성과 공법의 시공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반응성연직배수파일의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하면서 지반의 조기 안정을 위해 연직 배수거리를 단축할 수 있는 배수중간층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또한, 반응성연직배수공법을 적용하여 해상 폐기물 매립장의 경제적인 운영을 도모하고자, 배수중간층을 적용한 경우의 역학적인 거동을 파악하였다. 직경 250mm의 원형 토조를 제작 후 모형시험과 표준압밀시험을 통하여 압밀 방식에 따른 침하특성을 판별하였다. 그 결과 추후 인공섬의 기반으로 사용할 해양 폐기물 매립장에 준설토를 투기할 경우 배수중간층을 적용한 반응성연직배수파일을 사용하여 조기 지반안정과 토양 정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반 개량 후 구조물에 의한 응력증가로 발생하는 침하량은 진공압밀공법으로 개량한 경우가 연직재하공법을 적용한 경우보다 지반공학적으로 유리한 압밀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