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hropods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2초

Endocrine Disruptors in Developing Embryo on Daphnia magna

  • Kim, Pan-Gyi;Hwang, Seong-Hee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7-22
    • /
    • 2002
  • In crustaceans, as in other arthropods, the molt cycle and the physiological process of growth are controlled by molting hormones (MH) which are steroid hormones, the ecdysteroids. Ecdysteroids are major arthropod hormones which control both development (embryonic and larval molts, metamorphosis) and reproduc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both fenarimol and methoprene for embryotoxicity to daphnids. The embryotoxicity associated with each compound was assessed to discern whether the embryotoxicity of methoprene might be due to ecdysone agonist and the ecdysone antagonistic effects of fenarimol on Daphnia embryo. Exposure of daphnids for three weeks to 50 M methoprene resulted in a significantly high incidence of offspring that exhibited general toxicity. This exposure concentr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overall number of embryo death. However, exposure to 3 or 1 $\mu$M fenarimol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embryo toxicity. The incidence of both of these toxicity increased with methoprene exposure. This observation suggest that methoprene showed embryonic general toxicity during embryo development, while, only fenarimol showed weak general toxicity with early stages of embryonic development.

작은 스케일의 생체 모방 수상 점프 로봇 (a biologically inspired small-scale water jumping robot)

  • 신봉수;김호영;조규진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A
    • /
    • pp.1427-1432
    • /
    • 2008
  • This paper describes the locomotion of a water jumping robot which attempts to emulate the fishing spider’s ability to jump on the water surface. While previous studies of the robots mimicking arthropods living on water were focused on recreating their horizontal skating motions, here we aim to achieve a vertical jumping motion. The robot jumps by pushing the water surface with rapidly released legs which were initially bent. The motion is triggered with a latch driven by the shape memory alloy actuator. The robot is capable of jumping to the maximum height of 26mm. Jumping efficiency, defined the maximum jumping height on water over the maximum jumping height on rigid ground, is 0.26 This work represents a first step toward robots that can locomote on water with superior versatility including skating and jumping.

  • PDF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Chitooligosaccharides on Pathogenic Halophilic Vibrio parahaemolyticus

  • Park, Pyo-Jam;Lee, Hun-Ku;Kim, Se-Kwo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2년도 추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87-188
    • /
    • 2002
  • Chitosan is a natural biopolymer of N-acetylglucosamine (-1,4 linked 2-acetamido-D-glucose), which is obtained after alkaline deacetylation of the chitin derived from the cell walls of lower plants and in the skeletal tissues of lower animals including arthropods and mollusks. In the recent studies, chitin and chitosan have attracted interest for converting them to oligosaccharides because the oligosaccharides are not only water-soluble but also possess versatile functional properties such as antimicobial activity (Jeon and Kim, 2000; Jeon et al., 2001). (omitted)

  • PDF

산림토양의 절지 동물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auna of the Soil Microarthropods in Forest Floor)

  • 우건석;추호렬;정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33-138
    • /
    • 1987
  • 1. 본 실험은 토양절지 동물의 분포, 우점도 및 다양도를 알기 위하여 수원근교 및 지리산지역에서 1986년 10월부터 1987년 4월까지 실시되었다. 2. 위 기간중 채집된 2,989개체를 동정한 결과 3목(目), 20과, 19종이 확인 되었다. 3. 우점도지수는 수원군집의 것이 지리산군집의 것보다 낮았으나 계절별로 구분하였을 경우 우점도지수의 변이는 지리산 군집에서 작았고 수원군집에서 크게 나타났다.

  • PDF

Three New Species of Krenosmittia (Diptera: Chironomidae: Orthocladiinae) Found in Korea

  • Ree, Han-il;Kang, Hyo Jeo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7권1호
    • /
    • pp.64-69
    • /
    • 2021
  • The genus Krenosmittia is a small group of Orthocladiinae, containing a total of twenty species in the world. Among them, six species were found in Japan, four species in China, and five species from the Russian Far East. This genus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Orthocladiinae genera by the eyes bare, absence of acrostichals on thorax, costa strongly extended, anal vein ending proximal to FCu, squama bare, and having a strongly developed virga. We report three new species: K. danyangensis n. sp., K. triangulia n. sp., and K. pseudoannulata. The genus Krenosmittia is the first record in Korea. Line drawings of the diagnostic characters are provided for all the species recognized in this study.

Four New Species of Parorthocladius (Diptera: Chironomidae: Orthocladiinae) Found in Korea

  • Ree, Han-il;Kang, Hyo Jeo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7권1호
    • /
    • pp.70-77
    • /
    • 2021
  • The genus Parorthocladius is a small group among the subfamily Orthocladiinae (Diptera: Chironomidae). A total of ten species of Parorthocladius have been recorded in the world, of which two species were found from Japan, three species from China, and three species from the Russian Far East. Only one species, P. nudipennis is widely distributed in Europe and the Russian Far East. This genus can be distinguished from other genera by the absence of acrostichals on the thorax, wing vein R4+5 ending proximal to the tip of vein M3+4, anal point parallel side, rounded apically. We report four new species of Parorthocladius collected in Korea and described them with illustrations. As a result, fourteen species of Parorthocladius have been recorded in the world.

韓國産 地下性 動物의 檢討와 目錄: I. 無脊椎動物(昆類 제외) 및 哺乳類

  • 이병훈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03-125
    • /
    • 1978
  • The present papers (I and UU) deal with the total records of Korean subterranean animals reported during the last forty years since its first one in 1938 through 1978. They have been published in 33 different articles by 29 authors from 7 different countries. They enlist 109 species in 53 families in 7 classes belonging to 3 different phyla collected from 45 caves and 9 wells around the country. Predominant are arthropods enumerating 101 species (92.7%), of which insects are represented by 37 species. The number of species reported exclusively from subterranean habitats, presumably troglobionts, amount to 60 (55%). Discussions regarding the systematic situation of each taxa in question are made and the rate of occurrences of totally subterranean animals is determined and compared by respective taxa in a few different geographic regions. Also checklists are prepared and given in systematic order, which are followed by general analysis. Some attempts are also made to give suggestions, hopefully, for the prograess and improvement of korean biospeleology. the present article, Part I, will be completed by Part II dealing with insects which sppears in the Korean Journal of Entomology Vol. 8, No. 2 of the 1978 edition.

  • PDF

관행 고추밭과 유기농 고추밭에서 절지동물의 군집 구조와 생물다양성의 비교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e and Biodiversity of Arthropos between Coventional and Organic Red Pepper Fields)

  • 이수연;김승태;임재성;정종국;이준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01-615
    • /
    • 2013
  • 본 연구는 관행포장과 유기포장에서 절지동물의 군집 구조와 생물다양성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기간 중 채집된 절지동물은 관행포장에서 6,901개체였으며 유기포장에서는 21,871개체로 총 28,718개체였으며 10목 24과 36종으로 동정되었으며 농법별 절지동물 군집을 구성하는 종수는 관행농과 유기농 모두 32종으로 같았고 관행포장에서는 파리목, 유기농에서는 벌목과 톡토기목의 종지수가 높았다. 대만총채벌레(F. intonsa)는 농법에 관계없이 발생밀도가 현저히 높았고 관행포장에서 우점종은 담배나방(H. assulta)이었고 유기포장에서는 줄무늬빗톡토기(H. mediaseta), 파리류 4(Diptera sp. 4) 및 별늑대거미(P. astrigera)였다. 절지동물 군집의 생물다양성은 지표면에서 종다양성이 관행포장에서 유기포장보다 높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농법간 절지동물의 군집의 유사성은 지표면 및 지상부 식물체에서 활동하는 절지동물 군집은 대체로 농법에 의해 구분되었으며 그 유사도는 각각 34.07%와 26.95%로 비교적 낮아 농법간 이질성이 있었다. 생태학적 기능군의 종지수는 지상부 식물체에서 일반군, 해충군 및 천적군 중 기생포식자군에서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해충군과 기생포식자군 모두 유기포장에서 높았다. 발생밀도는 지표면에서 천적군 중 포식자군이 유기포장에서 관행포장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고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종다양성은 지상부 식물체에서 일반군과 천적군 중 기생포식자군에서 통계학적인 차이가 있었다. 개별 생태학적 기능군의 농법별 상대적 발생밀도 변동에서 관행포장에서는 해충군의 점유도가 높았고 유기농에서는 분해자군의 점유도가 현저히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유기농업에서 효율적인 해충관리방안을 구축하는데 있어 유용한 절지동물 군집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LMO 격리 포장에서 유전자비변형 모본 고추(P915)와 유전자 변형 고추(CMVP0-CP)에 서식하는 절지동물 군집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f Arthropods Community on Non-transgenic Mother Chili Pepper (P915) and Transgenic Chili Pepper (CMVP0-CP) in the Isolated Quarantine LMO Fields)

  • 이훈복;김현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3-29
    • /
    • 2010
  • 토마토나 고추 등의 유용작물에 자주 발생하여 생산량을 저하시키는 오이모자이크병에 대한 저항성을 높여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CMVP0-CP (Cucumber mosaic virus-coat protein) gene이 삽입된 유전자 변형 CMVP0-CP 고추 (line 7)에 대한 환경위해성을 평가하였다. 2007년 고추의 생육기간 동안 절지동물의 군집구조를 3회(6월 19일, 7월30일, 8월 31일)에 걸쳐 조사를 하였다. 두 가시의 고추, 즉 모본(P915, nTR)고추와 유전자변형 고추(CMVP0-CP (line 7), TR)의 꽃과 잎에 서식하는 곤충을 포함한 절지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곤충을 포획할 수 있는 곤충진공포획기를 사용하여 절지동물을 정량적으로 채집하였다. 절지동물의 군집은 채집 시기별로 출현 종과 빈도수에 차이는 있었지만 두 작물간의 군집 구조는 통계학적으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지금까지 수행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판단하여 볼 때, 유전자 변형 고추로 인한 비표적 생물체의 군집구조가 모본 고추의 군집구조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환경 위해서도 없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좀더 확실한 유전자변형생물체인 고추의 환경위해성이 없다는 결론을 얻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파종방법을 달리한 수원 및 이천 지역 소규모 수도포장에서의 절지동물 군집 (Arthropod Community in Small Rice Field associated with Different Planting Methods in Suwon and Incheon)

  • 이준호;김광호;임언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5-66
    • /
    • 1997
  • 파종방법을 달리한 논생태계내 절지동물의 군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담수직파, 건답직파, 이앙구의 3포장과 이천에 위치한 담수직파, 이앙구 2포장을 선정하여 1994년도에 조사하였다. 절지동물은 총 15목 45과가 채집되었다. 절지동물군집을 기능군(길드)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두 지역 모두 파종 방법에 관계없이 밀도가 '천적군>해충군>비해충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해충군에는 멸구과(Delphacidae)의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Horvath),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Fallen)와 매미충과(Cicadelidae)의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 Uhler)이 우점종들이었고 전체 해충군의 80% 이상을 차지하였다. 파종방식에 따른 해충밀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천적군에서는 거미류가 전체 천적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그 중 배회성 거미(hunting spider)와 50% 이상이었고 늑대거미과(Lycosidae)의 황산적거미(Pirata subpiraticus Bos. et St.)가 주요 우점종이었다. 조망성 거미류(webbing spider)에서는 갈거미과 (Tetragnathidae)의 턱거미(Pachygnatha clerki Sundevall)가 주요 우점종이었다. 파종방식에 따른 거미군 집구성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비해충군은 본답 초기에 깔따구류 등의 파리류가 주종을 이루었고 벼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파리류의 발생은 기계이앙구보다 직파구에서 많았으며 특시 건답직파구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