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rsenic contamination

Search Result 16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산성광산배수로 인한 환경오염도 조사 (Environmental Contamination from Acid Mine Drainage)

  • 강미아
    • 지질공학
    • /
    • 제17권1호
    • /
    • pp.143-150
    • /
    • 2007
  • 폐광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산성광산배수는 인근의 물환경과 토양환경을 오염시킴으로써 사람에게 건강상 유해성을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오염원이다. 본 연구에서는 45일간의 연속용출실험을 통해 폐광산 인근 토양에 함유된 As, Mn 및 Zn의 용출 및 흡착반응을 명확히 밝혔다. 용출 및 흡착반응에는 용액의 pH와 산화환원전위가 함께 작용하여 물환경내에서의 중금속류의 화학적 존재형태를 지배하고 이것이 용출 및 흡착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매우 가까운 위치에서 시료를 채수한다 하더라도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의 수준은 매우 다를 뿐 만 아니라 산화환원상태도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폐광산 및 광산주변의 토양으로부터 발생하는 산성배수가 미치는 환경오염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pH뿐 만 아니라 산화환원상태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경과시간에 따른 용출 및 흡착반응을 고찰하면서 적절한 산성배수의 관리를 시행한다면, 보다 경제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환경유래 식품오염물질의 우선순위 선정 기법 (Food-CRS-Korea)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Korean Food-Chemical Ranking and Scoring System (Food-CRS-Korea) and Its Application to Prioritizing Food Toxic Chemical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Pollutants)

  • 양지연;장지영;김수환;김윤관;이효민;신동천;임영욱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5권1호
    • /
    • pp.41-55
    • /
    • 2010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suitable "system software" in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CRS) for the food hazardous chemical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emission and to suggest the priority lists of food contamination by environmental-origined pollutants. Study materials were selected with reference to the priority pollutants list for environment and food management from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and the number of study materials is 103 pollutants (18 heavy metals, 10 PBTs, 10 EDs, and 65 organic compounds). The Food-CRS-Korea system consisted of the environmental fate model via multimedia, transfer environment to food model, and health risk assessment by contaminated food intake. We have established that health risks of excess cancer risks, hazard quotients (HQs) by chronic toxicity and HQs by reproductive toxicity convert to score, respectively. The creditable scoring system was designed to consider uncertainty of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based on VOI (Value-Of-Information). The predictability of the Food-CRS-Korea model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presumable values and the measured ones of the environmental media and foodstuffs. The priority lists based on emissions with background-level-correction are 15 pollutants such as arsenic, cadmium, and etc. The priority lists based on environmental monitoring date are 17 pollutants including DEHP, TCDD, and so on. Consequently, we suggested the priority lists of 13 pollutants by considering the several emission and exposure scenarios. According to the Food-CRS-Korea system, arsenics, cadmium, chromes, DEHP, leads, and nickels have high health risk rates and reliable grades.

Effects of Soil Amendments Application on Growth of Rice Cultivated in Soils Polluted with Heavy Metal(loid) and on the As and Cd Content in Brown Rice

  • Yoo, Ji-Hyock;Park, Sang-Won;Kim, Won-Il;Lee, Sang-Beom;Oh, Kyeong-Seok;Moon, Byeong-Churl;Kim, Sung-Chul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63-673
    • /
    • 2017
  • Heavy metal(loid) contamination of rice is the main issue in abandoned metal mine area with regard to food safety. A field study was conducted in mine area to see if soil amendments treatment including calcium superphosphate, sulfur, steel slag and S-containing fertilizer could reduce As and/or Cd content in rice grain and increase the growth of rice. The As content in brown rice reduced to 60% compared to the control only in $7.0Mg\;ha^{-1}$ of steel slag treatment. Cd reduction in rice was thought to be not the effect of amendments but the result from the difference in growth and development of rice plant and this could be ascribed to low soil Cd availability to rice plant. Compared with control, increased rice yield of cultivar Hwanggeumnuri was 1.3~2.2 and $1.5Mg\;ha^{-1}$ in calcium super phosphate and S-containing fertilizer treatment, respectively and the trend was also observed in cultivar Ungwang. However, steel slag treatment reduced the Ungwang yield by $0.4{\sim}0.9Mg\;ha^{-1}$. Future work will be needed to establish the agricultural measure with which secure the safety and yield of rice simultaneously.

Transition Characteristics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loid)s in Barley (Hordeum vulgare L.) Grown at the Major Producing Districts in Korea

  • Kim, Da-Young;Kim, Won-Il;Yoo, Ji-Hyock;Kwon, Oh-Kyung;Cho, Il Kyu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0-66
    • /
    • 2021
  • BACKGROUND: The concern over heavy metal(loid)s in arable land and agricultural products increases for public health in recent year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ransi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loid)s and to assess dietary risk in barley grown at the major producing districts in Korea. METHODS AND RESULTS: The soil and barle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8 locations around the major producing districts at Jeollabuk-do in Korea for the propose of examining th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loid)s. The 34 barley samples were separately purchased on the market for the same survey. The average concentration and range of arsenic (As), cadmium (Cd) and lead (Pb) in barley grown at the major producing districts in Korea were 0.037 (0.016-0.094), 0.028 (0.004-0.083) and 0.137 (0.107-0.212) mg kg-1, respectively. Currently, the maximum allowable level for barley Pb is set at 0.2 mg kg-1 in Korea, and the monitoring results suggested that some samples exceeded the maximum allowable level and required appropriate farming management. Bio-concentration factor values by heavy metal(loid)s in barley were high at Cd, copper (Cu) and zinc (Zn), similar to other crops, while As and Pb were low, indicating low transferability. CONCLUSION: Human exposure to As, Cd and Pb through dietary intake of barley might not cause adverse health effects due to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although the Pb in some barley was detected higher than the maximum allowable level. Further study on uptake and accumulation mechanism of Pb by barley might be required to assess the human health risk associated with soil contamination.

Monitoring of heavy metals, bisphenol A and phenol migrated from food packages for delivery

  • Cho, Hyunnho;Yun, Ho Cheol;Lee, Ji Yoon;Kwon, Hyeon Jeong;Jeong, Eun Jung;Kim, Da Young;Lee, Seong Ju;Kang, Jung Mi
    • 분석과학
    • /
    • 제35권1호
    • /
    • pp.15-23
    • /
    • 2022
  • Food delivery is gaining popularity due to changes in lifestyle and dietary patterns. However, packages used to delivery food may contain contaminants including heavy metals, or additives added during manufacturing process which may migrate into food during processing and transportation. In this study, a total of 58 food packages for delivery were collected and tested for migration of heavy metals (lead, cadmium and arsenic), bisphenol A and phenol into food simulants. The method was validated by evaluating linearity of calibration curve, limit of detection, limit of quantification, recovery and precision. Result of heavy metal migration showed that lead was the most frequently migrated metal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detected in a polypropylene sample. Although there are no specific migration limits for bisphenol A and phenol in packaging materials tested in this study, migrations of bisphenol A and phenol were detected in some packages. This may due to contamination or additives added during manufacture of packages. Risk (%) was calculated to analyze the risk associated with the migration of heavy metals, bisphenol A and phenol, and was always below 1 %. These results showed that food packages for delivery are safe in terms of heavy metals, bisphenol A and phenol migration.

비소 오염 토양의 복원을 위한 자철석과 바닥재 활용 (Remediation of As-contaminated Soil Using Magnetite and Bottom Ash)

  • 오세진;강민우;이종철;이훈호;노현석;전유권;김동진;이상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23-229
    • /
    • 2022
  • BACKGROUND: Mining activities, smelter discharges, and sludges are the major sources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to soi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magnetite and bottom ash derived from coal ash in remediating As-contaminated soil. METHODS AND RESULTS: An incub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0 weeks. Magnetite and bottom ash at different rates and ratios were applied to each plastic bottle repacked with 1,000 g of dried As-contaminated soil. After 3-weeks of incubation, the concentrations of available As were measured by using Mehlich-3, SBET, and sequential extraction methods. All of the subjected soil amendments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s in available As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controls. The addition of magnetite at the highest rate was the best to stabilize As in the soils; however, the values of As concentration varied with the extraction methods. CONCLUSION(S): To ensure the stabilization accuracy of heavy metals in soil, both single and sequential extractions are recommended. The magnetite derived from fly coal ash can also be applicable as a heavy metal stabilizer for the As-contaminated soil.

해조류와 해조류가공품의 중금속 오염실태 및 위해성평가 (A Study on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Risk Assessment of Seaweed and Seaweed Products)

  • 이지연;이명진;정일형;조영선;성진희;백은진;이은빈;김혜진;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447-453
    • /
    • 2019
  • 본 연구는 2018년 경기도내 대형마트, 온라인에서 유통 중인 해조류 및 해조류가공품 80건을 대상으로 중금속 4종(납, 카드뮴, 비소, 수은)의 오염도를 모니터링하고, 해조류 섭취에 따른 위해도를 평가하였다. 현재 해조류에 설정된 중금속 기준은 납의 경우 미역(미역귀 포함)에만 0.5 m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며, 카드뮴은 김(조미김 포함)과 미역(미역귀 포함)에 0.3 mg/kg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검사 결과 기준이 설정된 제품은 모두 기준치 이내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금속 중 특히 비소의 경우 대부분의 해조류에서 대체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유기비소와 달리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무기비소의 함량이 다소 높은 톳과 모자반을 함유한 가공식품에 무기비소 기준을 신설하여 2018년부터 시행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톳 제품은 시행일 전에 제조되어 기준 적용 대상은 아니었지만, 건조 톳 8건 중 4건은 수산물, 4건은 기타수산물가공품으로 분류되어 있어 명확한 유형 분류 기준이 먼저 필요할 것이다. 노출량에 따른 위해도는 안전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섭취하는 해조류의 종류에 비해 중금속 기준이 설정이 되어있는 해조류는 미비하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해조류의 중금속 관리 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논토양 중금속 함량의 장기변동 모니터링 (Long-term monitoring of heavy metal contents in paddy soils)

  • 김원일;김명숙;노기안;이종식;윤순강;박병준;정구복;강창성;조광래;안문섭;최승출;김현주;김영상;남윤규;최문태;문영훈;안병구;김희권;김현우;서영진;김종수;최용조;이영한;이신찬;황재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0-198
    • /
    • 2008
  • 토양환경보전법(1996)에 의해 농경지의 중금속 함량에 대한 토양오염 우려 및 대책기준과 2000년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에 따른 쌀의 카드뮴 함량의 허용기준 0.2 mg/kg의 설정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논토양과 이들 포장에서 생산되는 쌀의 중금속 함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전국 도 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전국 논토양의 중금속 함량의 현황과 장기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4년 1주기로 모니터링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3주기의 조사 결과를 검토하였다. 2007년에 조사한 전국 논토양 2,010 지점의 비소, 카드뮴, 구리, 니켈, 납, 아연의 평균함량은 각각 0.87, 0.08, 3.33, 1.19, 4.95 and $4.67mg\;kg^{-1}$이었고, 조사 논토양의 몇 지점을 제외하고는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비소의 경우 2003년 및 2007년 조사에서 니켈의 경우 1999년과 2007년 조사에서 토양오염 우려기준 초과지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기적인 변화에서는 비소, 니켈, 아연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카드뮴과 구리의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납의 함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토양내 침출성 중금속의 함량별 분포양상은 중금속별로 최빈수가 토양내 평균함량과 유사하였다. 구리를 제외한 모든 논토양의 중금속 함량의 평균값이 중간값보다 높음으로 논토양의 중금속이 정규분포보다 하향으로 편중된 분포를 보였다.

폐광지역에서 생산된 백미 중 비소오염도와 확률론적 기법을 이용한 인체 위해성 평가 (Arsenic Contamination of Polished Rice Produced in Abandoned Mine Areas and Its Potential Human Risk Assessment using Probabilistic Techniques)

  • 이지호;김원일;정은정;류지혁;김지영;백민경;박병준;임건재;홍무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3-51
    • /
    • 2011
  • 국내 15 지점의 폐광산 주변 지역에서 재배 생산된 백미 중 총 비소 오염도를 조사하였고, 연령과 성별에 따른 평균일 일노출량(ADD)을 산정하여 발암위해확률 및 비발암독성영향을 평가하였다. 광산 인근에서 재배 생산된 백미 중 총 비소의 평균 농도는 0.09 mg/kg으로 조사되었다. ADD값은 총 비소 함량에 무기 비소의 비율을 고려하여 산정하였으며, FAO/WHO에서 정한 2.1 ${\mu}g/kg$ b.w.-day의 PTDI 값을 초과하지 않았다. 그러나 광산 지역 인근에서 재배한 백미를 섭취했을 경우, 연령 및 성별 인구집단의 발암위해확률은 허용수준인 $10^{-6}{\sim}10^{-4}$ 범위를 초과하였고, 특히 6세 이하 유아의 경우 평균 10,000 명당 5인 이상의 높은 발암위해확률이 있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비발암독성위험값 (HQ)은 모든 연령 및 성별 인구집단에서 1.0을 초과하지 않았으며, 따라서 폐광산 주변 지역에서 재배 생산된 백미를 장기간 섭취하더라도 비소에 의한 인체 독성이 나타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 정밀 조사에 의한 고로폐광산 주변 비소오염 토양 및 하천퇴적토의 오염도 평가 및 오염 토양 복원 규모 설정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Decision of Remediation Scope for Arsenic Contaminated Farmland Soils and River Deposits Around Goro Abandoned Mine, Korea)

  • 차종철;이정산;이민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6호
    • /
    • pp.457-467
    • /
    • 2003
  • 경상북도 군위군에 위치한 고로 폐아연광산에서 폐광산과 연결된 주 하천을 따라 저수댐 건설 예정지까지 직선 길이 약 12km 구간에서 농경지 토양 및 하천 퇴적토에 대한 중금속 오염(비소, 납, 카드뮴, 구리) 토양정밀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조사 면적은 약 950,000$m^2$ 이고 1,500$m^2$ 당 1지점의 조사 밀도를 유지하여, 총 545개 지점에서 표토(0∼10cm 깊이)를 채취하였으며, 192개 지점에서 심토(10∼30cm 깊이)를 채취하였다. 비소를 제외한 구리, 카드뮴, 납 항목은 모든 지점에서 토양오염우려기준 이하를 나타내었으나, 비소는 표토의 경우 토양오염우려기준 이상의 농도를 나타내는 지점이 104지점으로 전체 표토 조사지점의 20.5% 정도이었으며, 토양오염대책기준을 초과하는 지점은 34지점으로 전체 표토 조사지점의 6.7% 이상이어서 조사 지역 중 상당 부분이 비소로 오염되어 있었다. 심토의 경우 토양오염 우려기준 이상 농도를 나타내는 지점이 18지점으로 전체 심토 조사지점의 약 10.4% 정도이었으며, 토양오염대책기준을 초과하는 지점은 1지점으로 전체 심토 조사지점의 약 0.6%를 나타내고 있어 비소오염이 주로 30cm 이내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점별 비소농도를 기준으로 토양오염대책기준 농도(15mg/kg) 이상 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 농도(6mg/kg) 이상 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의 40% 농도(2.4 mg/kg) 이상 지역, 주변배경농도(1.23mg/kg) 이상 지역으로 구분하여 하천퇴적토 및 농경지 토양에 대한 오염지도를 자성하였다. 오염지도 결과로부터, 오염 토양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 목표를 토양오염우려기준 농도 이상, 우려기준의 40% 농도 (토양오염확인기준 농도)이상, 배경치 농도 이상으로 구분하여 설정하는 경우에 해당되는 토양 복원 면적과 물량을 산출하였다. 토양오염우려 기준 농도 이상의 경우 총 복원 면적과 물량은 264,000$m^2$, 79,200$m^3$이였으며, 우려기준의 40% 농도 이상의 경우 복원 면적과 물량은 779,000$m^2$, 233,700㎥, 배경치 농도 이상의 복원 목표 설정의 경우에는 각각 969,200$m^2$, 290,760$m^3$ 이였다. 토양오염 우려기준 농도의 40%를 복원 목표로 하는 경우와 배경치 농도를 복원 목표로 하는 경우, 복원 물량은 우려기준 농도를 복원 목표로 하는 경우의 3.0배와 3.7배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복원 목표치 설정시 우려기준 농도의 40%와 배경농도의 차이에 다른 복원 물량의 차이는 적어서, 복원 목표 설정시 배경치 농도로 복원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