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oma-active compound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8초

아사이베리의 향기성분 특성 연구 (Aroma Characteristics of Acai Berry)

  • 임승희;남희섭;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22-127
    • /
    • 2016
  • 아사이베리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을 동정하기 위하여 SAFE와 LLCE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GC-MS와 GC-O로 분석하였다. 아사이베리에서 공통적으로 동정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2-phenylethanol, (Z)-3-hexenol과 benzyl alcohol 등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8-hydroxy linalool과 maltol은 LLCE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사이베리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알코올류가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아사이베리의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이라고 생각된다. 아사이베리의 향 활성 화합물 중 ${\beta}-damascenone$은 SAFE에서 $log_2FD=4$와 LLCE에서 $log_2FD=1$을 나타냈으며 장미향과 베리향 특성을 나타내어 아사이베리의 특징적인 향에 기여하는 중요한 화합물이라 생각된다. 또한 trans-linalool oxide, (Z)-3-hexenol과 2-phenylethanol 등이 아사이베리의 향 활성 화합물로 동정되었다.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구운 쇠고기 반응향의 특징적인 향기성분 동정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 Aroma-active Compounds from Burnt Beef Reaction Flavor Manufactured by Extrusion)

  • 김기원;서원호;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21-627
    • /
    • 2006
  •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구운 쇠고기 반응향의 향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휘발성 성분 및 aroma-active화합물을 SDE-GC-MS-O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HVP에 ribose, cysteine, furaneol, thiamin, methionine, 마늘 분말 및 인지질 등의 전구문질을 넣고 최적 압출성형 조건인 $160^{\circ}C$, 스크루 속도 45 rpm 및 윈료공급 속도 38 kg/hr에서 압출성형하였다. 압출성형에 의해 제조된 구운 쇠고기 반응향에서 모두 68개 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그 숫자는 furaneol을 빼고 압출성형 시킨 반응향과 HVP만 압출성형 시킨 시료에서 크게 줄어들었다. GC-O결과 구운 쇠고기 반응향에서 27개의 aroma-active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methional과 2-methyl-3-furanthiol이 가장 중요한 aroma-active화합물로 밝혀졌다. Furaneol이 구운 쇠고기 반응향 생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오만둥이 된장찌개의 Aroma-active 화합물 (Aroma-Active Compounds in Omandungi (Styela plicata)-Doenjang (Soybean Paste) Stew)

  • 정은정;조우진;차용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414-418
    • /
    • 2008
  • Volatile compounds in Omangdungi (Styela plicata)-Doenjang (soybean paste) stew were analyzed using solvent-assisted flavor evaporation/gas chromatography/mass-selective detection/olfactometry (SAFE/GC/MSD/O)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alysis (AEDA). The GC/O analysis detected 37 volatile compounds, of which 32 were positively identified, and included 9 aldehydes, 5 alcohols, 4 aromatic hydrocarbons, 4 ketones, 3 esters, 3 N-containing compounds, 2 acids, 1 S-containing compound, and 1 furan. Nine aroma-active odorants ($\log_3FD{\geq}3.0$) in the sample included six compounds derived from Doenjang (3-methyl(thio)propanal, tetramethylpyrazine, 4-vinyl-2-methoxyphenol, 2-acetylpyrrole, butyric acid, and 2-methoxyphenol) and three compounds from Omangdungi (2-acetyl-2-thiazoline, 9-decanol, and 6-decenol). Three compounds derived from Omangdungi (9-decanol, 6-decenol, and 6-nonenol) were thought to enhance the seafood-like flavor of Omangdungi-Doenjang stew.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 (Aroma Characterization of Roasted Bulgogi Reaction Flavor Manufactured by a High-temperature Reaction Apparatus)

  • 서원호;김영권;장성호;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6-183
    • /
    • 2015
  •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휘발성 성분 및 향 활성 화합물을 동정하고 반응온도에 따른 향 활성 화합물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증기증류 및 용매 동시추출법(SDE)을 이용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고,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GC-MS-O)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고온반응기로 제조한 구운 불고기 반응향에서는 105종의 휘발성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이 중 furfural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5-methyl furfural, phenylacetaldehyde 및 nonanal 등이 구운 불고기 반응향에 중요한 휘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GC-MS-O를 통해 향 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33종이 동정되었으며, 2,3-butanedione과 furfural 이 중요한 향 활성 화합물로 밝혀졌다. Hexanal, octanal, nonanal, undecanal, phenylacetaldehyde, 5-methyl furfural, 2,6-dimethyl pyrazine 및 dimethyl trisulfide도 구운 불고기 반응향의 향미특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향 활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반응온도에 따른 향 활성성분을 비교분석한 결과,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향 활성 성분도 증가하였으나, sulfide 화합물은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시판 밴댕이젓의 Aroma-Active 성분의 구명 (Identification of Aroma-Active Components in Salt-Fermented Big-Eyed Herring on the Market)

  • 차용준;김훈;장성민;유영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53-1058
    • /
    • 1998
  •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alt fermented big eyed herring were analyzed by vacuum simultaneous distillation solvent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and aroma extract dilution anlaysis. A total of 44 volatile compounds were detected by GC/O analysis. Of these, 23 were positively identified, and composed of aldehydes(7), esters(5), ketones(4), sulfur containing compounds (3), aromatic hydrocarbons(2), alcohol(1) and nitrogen containing compound(1). Predominant odorants (Log3FD$\geq$5) in sample were ethyl butanoate(bubble gum /sweet candy-like), 3 methylbutyl butanoate (almond /nutty), 1 octen 3 one(earthy/mushroom like), (E,E) 2,6 nonadienal(roasted wheat/grainy), dimethyl trisulfide(soy sauce /cooked cabbage like), 2 acetylpyrazine(nutty/baked potato like) and unidentified compound(RI=1867, seaweed like).

  • PDF

Characterization of the Aroma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Using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Based on Sample Dilution Analysis

  • Kim, Hyung-Joo;Baek, Hyung-He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2호
    • /
    • pp.238-241
    • /
    • 2005
  • Aroma-active compounds were evaluated from salt-fermented anchovy sauce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olfactometry (SPME-GC-O) based on sample dilution analysis (SDA). SPME extract from carboxen/polydimethylsiloxane (CAR/PDMS) fiber was the most similar to the original odor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used for this experiment, followed by divinylbenzene/CAR/PDMS (DVB/CAR/PDMS) fiber. Because salt-fermented anchovy sauce contains 23% NaCl, NaCl concentration of diluent was considered when salt-fermented anchovy sauce was serially diluted. Linear relationship between GC response and sample concentration was observed when diluted with 23% NaCl solution, whereas not observed when diluted with deodorized distilled water. Eleven and 16 aroma-active compounds were detected by SPME-GC-O based on SDA using CAR/PDMS and DVB/CAR/PDMS fibers, respectively. Butanoic acid and 3-methyl butanoic acid showed the highest ${\log}_2SD$ factors for CAR/PDMS and DVB/CAR/PDMS fibers. Dimethyl trisulfide, methional, trimethyl amine, 1-penten-3-ol, and acetic acid were also detected as potent aroma-active compounds.

노지와 시설 재배 달래의 특징적인 향기 성분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 aroma compounds in Korean wild chive (Allium monanthum Maxim.) cultivated in open-fields or greenhouses)

  • 장보아;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26-13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달래의 특징적인 향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봄에 수확한 노지 재배 달래와 시설 재배 달래를 SAFE법으로 추출하고 GC-MS-O를 통해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달래는 알데하이드류와 황 함유 화합물의 함량이 높았으며, 휘발성 성분으로는 2-methyl-2-pentenal, 2-methyl-2-butenal 및 (E)-1-propenyl propyl trisulfide의 함량이 높았다. 달래의 향 특성에 기여하는 주요한 향 활성 화합물은 2-methyl-2-pentenal, (Z)-1-propenyl methyl disulfide, diprop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E)-1-propenyl propyl disulfide, dipropyl trisulfide, (E)-1-propenyl propyl trisulfide, 2-isopropyl-3-methoxypyrazine 및 2-sec-butyl-3-methoxypyrazine으로 총 9종이 확인되었다. 2-Isopropyl-3-methoxypyrazine와 2-sec-butyl-3-methoxypyrazine은 달래의 흙 냄새에 기여하는 화합물로 가장 강한 향 강도를 보였다. Diprop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및 dipropyl trisulfide는 달래의 양파 및 마늘과 같은 향 특성에 기여하는 화합물로 향 강도가 피라진류 다음으로 강했고, 노지 재배 달래에서 시설 재배 달래보다 더 강하게 감지되었다. 2-Methyl-2-pentenal, (Z)-1-propenyl methyl disulfide 및 (E)-1-propenyl propyl disulfide는 달래에서 자른 양파와 같은 매운 향 특성에 기여하는 화합물로 노지 재배 달래에서 더 높은 함량과 강도를 보였다. (E)-1-Propenyl propyl trisulfide 와 (E)-1-propenyl methyl disulfide은 절인 야채 및 양배추 냄새에 기여하는 화합물로서 노지 재배 달래에서 낮은 함량과 향 강도를 보였다.

묵은 배추김치의 휘발성 성분 특성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Compounds in Low-Temperature and Long-Term Fermented Baechu Kimchi)

  • 김지윤;박은영;김영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9-324
    • /
    • 2006
  • 묵은 배추김치의 휘발성 성분들을 고진공승화법을 이용하여 분리, 농축하였으며, GC-MS로 분석하였다. 총 62가지의 휘발성 성분들이 검출되었으며, 7개의 sulfur-containing compounds, 8개의 terpenes, 5개의 esters, 8개의 acids, 15개의 alcohols, 2개의 nitriles, 2개의 ketones, 11개의 aliphatic hydrocarbons, 4개의 miscellaneous compounds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중 특히, acids인 acetic acid와 butanoic acid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묵은 배추김치에서 향기활성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고진공승화법을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들을 분리 및 농축 후 향 추출물 희석분석법으로 flavor dilution(FD) factor($Log_3FD$)를 구하였으며, GC-MS 및 GC-Olfactometry(GC-O)법으로 휘발성 성분들을 동정하였다. 이 결과 묵은 배추김치에서 총 16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이중 시큼한 냄새, 군덕내의 특성을 지닌 acetic acid, butanoic acid가 높은 FD factor를 보였으며, acids외에 높은 (FD > 9)를 나타내는 성분들로는 linalool, 2-vinyl-4H-1,3-dithin 등이 있었다.

Volatile Compounds of Zanthoxylum piperitum A.P. DC.

  • Chung, Mi-Soo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29-532
    • /
    • 2005
  • Volatile compounds, isolated from Chopi (Zanthoxylum piperitum A.P. DC.) using steam distillation,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olfactometry (GC-MS-O). Forty-six volatile compounds, consisting of 12 hydrocarbons, 8 aldehydes, 5 esters, 12 alcohols, 4 ketones, 4 oxides and 1 acid, were tentatively identified from the essential oil of Chopi. Unidentified compounds constituted 7.2% of the total peak area. Limonene was the most abundant compound, followed by geranyl acetate, citronellal, cryptone and ${\beta}$-myrcene. In addition, aroma-active compounds, in particular citronellal and limonene, which are related to the citrus and Chopi flavors of Chopi essential oil, were detected. The aroma of Chopi essential oil had a score of 4.8 on the preference test (neither like nor dislike) and a score of 5.97 on the intensity test (slightly strong) using the 9-point hedonic scale.

보리의 로스팅 정도가 보리차의 향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asting degree of barley on aroma characteristics of boricha)

  • 정우영;김수정;김병구;허병석;백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3-131
    • /
    • 2018
  • 보리의 로스팅 정도가 보리차의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보리와 자숙보리를 로스팅 정도를 다르게 하여 보리차를 제조하고, SAFE를 이용하여 휘발성 성분을 추출한 후 GC-MS와 GC-O로 분석하였다. 생보리와 자숙보리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차이가 없었으나 이를 이용하여 보리차를 제조하였을 때 자숙보리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더 풍부하였다. 로스팅 정도가 강해 질수록 피라진, 에틸피라진, 감마-뷰티로락톤과 과이어콜을 포함한 15종의 화합물의 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p<0.05)하여 보리 로스팅 시 생성되는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 생각되며 과이어콜(스모크 향), 푸르푸릴알코올(탄 설탕 향)과 푸르푸랄(캐러멜 향)은 보리차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강도로 검출된 향 활성화합물로 보리차의 주요 향 활성 화합물로 생각된다. 보리의 로스팅 정도가 강해질수록 보리차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증가하였지만 강한 정도로 로스팅한 경우, 탄 향을 가진 미지의 화합물이 새로 감지되어 이취로 생각되며 따라서 보리차를 제조할 때에는 중간 정도의 로스팅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