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gument

검색결과 1,215건 처리시간 0.025초

공학도를 위한 논리: '발표와 토론'을 위한 논리 교수.학습 모형 (Logic for Engineers: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logic in 'Presentation and Discussion')

  • 양은석
    • 논리연구
    • /
    • 제13권2호
    • /
    • pp.83-116
    • /
    • 2010
  • 이 글에서 우리는 토론 교육 특히 공학도를 위한 토론 교육에 필요한 논리 교수 학습 모형 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토론 관련 교재의 논증 개념과 논증 모형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다음으로 토론에 필요한 기본 논증과 이에 대한 훈련 모형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이공계 학생들 특히 공대 학생들을 위한 논증 방식 특히 토론에 사용될 논증 방식으로 가설 추론과 최선의 선택으로의 추론 모형을 제공한다.

  • PDF

반 프라쎈의 경험동등성 논변과 시공간에 대한 해석 (Van Fraassen on Empirical Equivalence Argument and Interpretations of Space-time)

  • 양경은
    • 논리연구
    • /
    • 제15권1호
    • /
    • pp.85-107
    • /
    • 2012
  • 본 논문은 반 프라쎈의 뉴턴 시공간에 대한 해석에 기초한 경험동등성 논변을 비판한다. 필자의 주장은 반 프라쎈이 시공간에 대한 오해에서 절대속도라는 뉴턴 시공간이 가지는 여분의 구조를 통해 부적절한 비판을 낳고 있다는 것이다. 반 프라쎈의 경험동등성 논변은 모형의 다양한 측면을 무시한 뉴턴 시공간에 대한 부주의한 해석에 근거한다.

  • PDF

The Realization of Meaning Differences between English Resultative and Depictive Predication Constructions in Focus Theory

  • Noh, Bokyung
    • 한국영어학회지:영어학
    • /
    • 제1권2호
    • /
    • pp.273-293
    • /
    • 2001
  • In this paper, I examine the phenomenon of English depictive and resultative predications with specific attention given to the relation between accentual focus structure and argument structure. The goal is pursued primarily through a production experiment and analyses to establish the interconnection between focus and argument structure. The central claim is that the resultative predicate forms a complex predicate with a main verb, whereas the depictive predicate behaves as an adjunct in English secondary constructions. The result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focus and accent depends at least in part on their argument structure, confirming that current focus theories about argument-head and adjunct-head structures in primary predication constructions can be extended to secondary predication constructions.

  • PDF

사동화에 의한 논항구조와 사건구조와 변화

  • 김윤신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58
    • /
    • 2001
  • This study explores the lexical-semantic structure of derived causative verbs in Korean based on Pustejovsky(1995)'s Generative Lexicon Theory (GL), Mor-phological causative verbs are derived from their root stems by affixing ‘-i, -hi, -li, -gi’ in Korean and the meanings of derived predicat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eanings of their root verbs. In particular, the change of the ARGUMENT STRUCTURE by morphological derivation leads to the change of the EVENT STRUCTURE. In this study, causation is defined as the cause-effect relation having a causer. The ARGUMENT STRUCTURES of derived causative verbs includes a causer argument, which is added to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ir root verbs. Their EVENT STRUCTURE has a headed process related to a causer and their result is the event which their root verbs represent. This approach can also suggest that the (in)directness of causative is determined by which verb is its root and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rphological causativization and the syntactic causativization in Korean.

  • PDF

Silent Verbs in Northern Mandarin: A Silence Neither Gaps Nor Emptiness Can Fill

  • Kim, Ji-Yung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1권2호
    • /
    • pp.87-103
    • /
    • 2007
  • This paper reanalyzes examples with missing verbs. Northern Mandarin rejects argument nominal phrases after a silent verb, as well as silent verbs inside islands. These restrictions suggest a grammatical process which silences verbs. I propose that these restrictions are the result of VP-topicalization followed by ellipsis. This analysis accounts for the island sensitivity of these constructions: since VP-topicalization feeds ellipsis, constructions with elided VPs are not derivable from configurations where movement is impossible. Also, to avoid topicalization along with the VP, the argument must move out of VP; the subsequent topicalization of the VP containing the argument's trace would then give rise to a configuration where that trace c-commands the moved-out DP. Adjuncts do not pose a problem because they are located outside of that smallest VP-shell. The data presented here are accommodated by neither of Tang's (2001) proposals for silent verbs (gapping and empty verbs). Instead, they provide support for a third source for silent verbs, VP-ellipsis via topicalization.

  • PDF

한국 중학생들의 주장, 자료, 근거와 과학 논의에 대한 인식론적 이해조사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pistemic Ideas of Claim, Data, Evidence, and Argument When Evaluating and Critiquing Arguments)

  • 유선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99-208
    • /
    • 2015
  • An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what counts as a scientific argument and how scientists justify their claims with evidence-has been central in Korean science instruction. However, despite its importance, scholars are generally concerned about the difficulty of both addressing and improving students' epistemic understanding, especially for students of a young age.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pistemic ideas about claim, data, evidence, and argument when they engage in reading both text-based and data-inscription argument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show a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claim and evidence. Yet, these students think that there is only a single way of interpreting data. When comparing students' ideas from text-based and data-inscription arguments, the majority of Korean students barely perceive text description as evidence and recognize only measured data as evidence.

한국어 사동화와 어휘의미구조의 변화: 생성어휘부(Generative Lexicon) 이론에 의한 접근 (The Change of toxical Structure by Causativization in Korean: a generative lexicon approach)

  • 김윤신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6권2호
    • /
    • pp.57-82
    • /
    • 2002
  • This study explores the lexical-semantic structure of derived causative verbs in Korean based on Pustejovsky(1995)'s Generative Lexicon Theory (GL). Morphological causative verbs are derived from their root stems by affixing ‘-i, -hi, -li, -gi’ in Korean and the meanings of derived predicat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meanings of their root verbs. In particular, the change of the ARGUMENT STRUCTURE by morphological derivation leads to the change of the EVENT STRUCTURE. The ARGUMENT STRUCTURES of derived causative verbs include a causer argument, which is added to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ir root verbs by means of the causative derivation. Their EVENT STRUCTURE has a headed process related to a causer and its result is the event which their root verbs denote. This approach can also suggest that the (in)directness of causative is dependent on is the semantics of its root verb.

  • PDF

절 경계와 트리 거리를 사용한 2단계 부분 의미 분석 시스템 (A Two-Phase Shallow Semantic Parsing System Using Clause Boundary Information and Tree Distance)

  • 박경미;황규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5호
    • /
    • pp.531-540
    • /
    • 2010
  • 본 논문은 최대 엔트로피 모형에 기반한 두 단계 부분 의미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의미 논항의 경계를 인식하고, 그 다음 단계에서 확인된 논항에 적절한 의미역을 할당한다. 두 단계 부분 의미 분석에서는 두 번째 단계인 논항 분류가 논항 확인 단계의 결과에 기반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논항 확인의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논항 확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논항 확인의 전처리 단계에 구문 지식을 통합한다. 구체적으로, 절 인식 결과로부터 술어의 인접절 및 상위절들을 확인하고, 구문 분석 결과로부터 술어의 부모 노드로부터 구문 구성 요소의 부모 노드까지의 트리 거리를 추출하여 전처리 단계에서 활용한다. 실험을 통해, 구문 지식을 활용하는 것이 부분 의미 분석 성능에 기여함과 제안하는 두 단계 방법이 한 단계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낼 수 있음을 보인다.

한국어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 구축을 위한 자동 술어-논항 분석기 개발 (A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Predicate-Argument Analyzer for Construction of Semantically Tagged Korean Corpus)

  • 조정현;정현기;김유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9B권1호
    • /
    • pp.43-52
    • /
    • 2012
  • 의미 역 결정 (Semantic Role Labeling)은 문장의 각 요소들의 의미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 분야로써 어휘 중의성 해소와 더불어 자연언어처리에서의 의미 분석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어의 경우에는 의미 역 결정에 필요한 언어 자원이 구축되지 못하여 연구의 진행이 매우 미진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 역 결정에 필요한 언어 자원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PropBank의 한국어 버전의 구축을 위한 시작 단계로써 자동 술어-논항 분석기를 개발하였다. 자동 술어-논항 분석기는 크게 의미 어휘 사전과 자동 술어-논항 추출기로 구성된다. 의미 어휘 사전은 한국어 동사의 격틀 정보를 구축한 사전이며 자동 술어-논항 추출기는 구문 표지 부착된 말뭉치로부터 특정 술어와 관련있는 논항의 의미 부류를 결정하는 모듈이다. 본 논문에서 개발된 자동 술어-논항 분석기는 향후 한국어 PropBank의 구축을 용이하게 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한국어 의미 역 결정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