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ginine-fructose-glucose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7초

Candida payapsilosis가 홍삼엑기스의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ndide parapsilosis on the Changes in Various Components of Korea Red Ginseng Extract)

  • 양재원;노길봉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60-65
    • /
    • 1989
  • 부패된 홍미삼엑기스로부터 분리동정한 내삼투압성 효모인 C. parapsilosis가 홍미삼엑기스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 parapsilosis를 배양하면서 pH의 변화, ginsenoside의 함량, 지방산, phenol 화합물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엑기스를 소량 첨가하였을 때는 배지의 pH에 다소 영향을 주었으나 엑기스를 다량(10~20%) 첨가하였을 때는 pH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C. parapsilosis는 홍삼엑기스의 사포닌의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사포닌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사포닌 중량 첨가에 따른 생육 촉진경향 혹은 저해현상도 없었다. C. parapsilosis의 홍미삼엑기스의 유리당 이용 패턴은 glucose, fructose 등 단당류를 먼저 흡수 이용하고 다음에 sucrose, maltose 등을 2차적으로 이용하였다. 홍미삼엑기스의 대부분의 지방산은 C. parapsilosis 생육에 의하여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중결합이 없는 stearic acid, palmitic acid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또한 페놀화합물 중 maltol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그 외에 vanillic acid, m-coumaic acid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아미노산은 배양 전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고 특히 arginine은 완전 소진되었다.

  • PDF

효소에 의한 양파가수분해액의 제조 (Preparation of Onion Hydrolysates with Enzyme)

  • 서형주;정수현;손종연;손흥수;조원대;마상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86-790
    • /
    • 1996
  • 본 실험에서는 국내산 양파들의 일반성분, 유리아미노산 및 유리당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또한 Celluclast 1.5L, Viscozyme L, Cereflo 및 Pectinex 등의 효소를 첨가하였을 때의 양파 가수분해액의 수율 및 성분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국내산 양파의 수분,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및 회분의 함량은 89~90%, 1.8~l.9%, 0.4~0.5%, 7.1~8.5% 및 0.3~0.5%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및 sucrose 이었으며,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cysteine, histidine, arginine 및 glutamic acid였다. Cereflo, Celluclast 1.5L, Pectinex와 Viscozyme L 처리에 의한 양파의 가수분해도는 각각 69%, 71%, 80% 및 62%이었다. 효소에 의한 양파의 가수분해시 유리당의 함량은 증가한 반면 pyruvic acid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한국 재래식 된장의 맛성분 조성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Taste Components Composition in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 양성호;최명락;김종규;정영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9-453
    • /
    • 1992
  • 한국 재래식 된장의 맛 성분이 어떠한 함량 조성일때 된장맛이 최적인지를 알기 위하여 맛 성분 분석 결과와 관능 검사 성적으로 주성분 분석과 단계별 중회귀 분석을 실시하고 각 성분의 맛에 대한 기여도를 산출하여 재래식 된장 맛 성분 조성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재래식 된장의 맛 성분 조성의 최적화는 제곱근으로 처리했을때 고미성분인 leucine 14.7%, isoleucine 12.7%, methionine 5.0%, histidine 4.7%, arginine 1.1%, 지미성분인 cysteine 8.4%, aspartic acid 2.0%, glutamic acid 0.7%, 감미성분인 threonine 6.3%, ser-ine 5.6%, sucrose 4.7%, glycine 1.6%, Iysine 1.2%, fructose 0.6%, alanine 0.4%, glucose 0.3%, 산미성분인 oxalic acid 3.9%, succinic-fumaric-citric acid 3.6% 및 염미성분인 ash 0.3% 둥 19종의 성분으로 된장맛의 좋고 나쁨을 78%수준까지 설명 할 수 있었다. 재래식된장의 맛 성분 조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중회귀 기법은 제곱근으로 변수 변환한 경우가 관능검사 성적을 가장 잘 설명 할 수 있었다.

  • PDF

감잎의 성장시기에 따른 화학성분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in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Thunberg) during Growth)

  • 김종국;이원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2-37
    • /
    • 2002
  • 상주둥시 감잎의 이용성 증대를 위하여 성장시기 별 감잎의 유용성분 함량을 조사하여 감잎의 적절한 채취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감잎의 수분함량은 새잎이 나기 시작하여 성장초기인 5월 5일경에는 79.65%를 보이다가 성장함에 따라 꾸준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지방과 조섬유 및 회분함량은 감잎이 성장함에 따라 다소 증가 하였으며 조단백질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감잎의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fructose 및 raffinose의 4종류가 분리 확인되었으며 sucrose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glucose와 fructose는 비슷하였고 raffinose는 미량 존재하였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oxalic acid, levulenic acid, magic acid 및 citric acid의 4종류가 분리 확인되었다. 감잎에 함유되어 있는 구성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총 17종의 아미노산이 동정되었는데 주요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phenylalanine 및 valine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용성 탄닌과 vitamin C 함량은 감잎이 성장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6월 20일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 PDF

월하시 생감 및 곶감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of Raw and Dried Wolha Persimmons)

  • 임지순;이명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11-61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양촌 월하시 생감 및 곶감의 유용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월하시 생감과 곶감의 수분함량은 85.52, 47.36%, 조지방은 0.1, 0.13%, 조단백질은 0.30, 1.89%, 조섬유는 0.56, 2.0%를 각각 나타내었고, 수분활성도는 0.994, 0.838, pH는 5.68, 5.73, 당도는 12.6, $56.4^{\circ}Brix$를 각각 나타냈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생감과 곶감의 명도 L값은 외부가 47.58, 37.80, 내부는 66.55, 24.96을 각각 나타내었고, 황색도 b값은 외부가 73.40, 20.17, 내부는 26.55, 29.66을 각각 나타냈다. 유리당 함량을 HPLC로 측정한 결과 glucose와 fructose 만이 확인 되었다. 곶감에서 함유량이 월등히 높아 glucose는 생감보다 3.24배, fructose는 3.67배로 확인되었다.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곶감에서 모두 17종이 확인되었다. 구성아미노산 중 전반적으로 glutamic acid, aspartic acid, histidine, argin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valine, threon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등의 필수아미노산들이 골고루 검출되었다. 생감과 곶감의 총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3,130.76 ppm과 12,849.33 ppm으로 곶감이 생감보다 4.1배나 높았다.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myristic acid(C14:0), palmitic acid(C16:0), palmitoleic acid(C16:1), stearic acid(C18:0), oleic acid(C18:1), linolenic acid(C18:3) 등 14-15종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linolenic acid(C18:3)가 생감에 32.70%로, palmitic acid(C16:0)가 곶감에는 48.62%로 각각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성분을 AAS로 분석한 결과는 생감과 곶감의 나트륨은 0.60, 2.77 mg, 칼륨 190.49, 859.63 mg, 칼슘 11.73, 16.20 mg, 철 1.17, 3.17 mg, 그리고 인이 52.52, 84.90 mg/100 g 각각 검출되었다. 특히 무기물 중 칼륨과 인이 상당히 높은 함량 검출되었으며 곶감에서 그 함유량이 월등히 높아 칼륨은 생감보다 4.5배, 인은 1.6배로 확인되었다.

예열처리가 마늘의 향미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heating on the Flavor of Garlic)

  • 신동빈;황진봉;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583-1588
    • /
    • 1999
  • 마늘의 향미를 조절하기 위하여 박피하지 않은 마늘쪽을 $60^{\circ}C{\sim}90^{\circ}C$의 범위에서 30분간 예열처리한 경우와 전자레인지로 10초간 가열한 경우에 마늘의 향미성분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마늘의 향기성분은 예열처리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70^{\circ}C,\;80^{\circ}C$$90^{\circ}C$에서 30분간 예열처리하면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20%, 31% 및 49% 감소하였다. 전자레인지로 10초간 가열한 경우에는 열풍건조기에서 $70^{\circ}C{\sim}80^{\circ}C$에서 가열한 것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열풍건조기로 예열처리하면 glucose, fructose 및 fructooligosaccharide가 감소하였으며, 이런 감소는 온도가 높을수록 컸으며 fructooligosaccharide 보다는 단당류인 glucose와 fructose에서 더욱 컸다. 전자레인지로 가열처리한 경우에는 열풍건조기로 예열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유리당의 변화가 현저히 적었다. Alliin의 분해산물로 알려진 pyruvic acid는 예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그 밖의 유기산은 유의적 변화가 없었다. 마늘의 주요 아미노산인 arginine은 열풍에 의한 예열처리시 감소하였으나 전자레인지로 가열한 경우에는 감소하지 않았고, glutamic acid와 tyrosine은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 PDF

탱자 과피와 과육의 성분특성 (Chemical Components in Peel and Flesh of Trifoliate Oranges(Poncirus trifoliata))

  • 정헌식;이주백;성종환;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42-346
    • /
    • 2004
  • 탱자의 식품학적 가치평가와 활용을 위한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하여, 완숙한 과실을 수확하여 껍질과 육질의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 총당, 비타민 C, 유리당,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탱자의 조단백질 함량은 과피에서 5.15$\%$, 과육에서 3.31$\%$를, 조지방은 과피에서 3.82$\%$,과육에서 6.65$\%$를, 조회분은 과피에서 2.62$\%$, 과육에서 2.09$\%$를 각각 나타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과피에서 4.70mg$\%$, 과육에서 70.93 mg$\%$를 나타내었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sucrose가 확인되었고 각 성분 및 전체 양이 과육보다는 과피에서 약 2배정도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및 oxal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총 함량은 과피보다 과육에서 3.5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으로 과피에서는 aspartic acid, histidine, tyrosine, arginine, valine, lysine, ammonia, cysteine, alanine, glutamic acid, isoleucine, leucine 등이 검출되었고, 과육에서는 Iysine, valine, ammonia, arginine, tyrosine, isoleucine, methionine, leucine, histidine, phenylalanine 등이 검출되었다.

양념류를 첨가한 전통고추장의 숙성중 미생물, 효소활성 및 맛 성분의 변화 (Effect of Condiments on the Microflora, Enzyme Activities and Taste Component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 김동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64-270
    • /
    • 2001
  • 전통고추장의 품질개선과 기호성 향상을 위하여 마늘과 양파를 $0{\sim}6%$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하고 22주간 숙성시키면서 미생물상과 효소활성도의 변화 및 맛 성분을 검토하였다. 고추장의 효모수는 마늘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호기성 세균과 혐기성 세균의 증식에는 영향이 적었고 숙성 $6{\sim}10$주 이후에 서서히 감소하였다. 고추장의 전분 액화력은 숙성 $2{\sim}10$주 이후에 감소하였으나 전분 당화력은 숙성 $14{\sim}18$주 경에 현저히 증가하였다. 전분 분해력은 마늘이나 양파 첨가로 숙성 후기에 높은 활성을 유지하였다. 단백질 분해력은 숙성 중기에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마늘이나 양파의 첨가로 낮아졌다. 22주간 숙성시킨 고추장의 유리당은 glucose가 대부분이고 다음으로 fructose이었으며 마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고추장의 유기산은 succin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가 대부분이었고 마늘이나 양파 첨가시 감소하였다. 고추장의 아미노산성 질소는 마늘 2% 첨가시 높았고,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proline, alanine, leucine, isoleucine, arginine이었다. 마늘이나 양파 첨가로 고추장의 serine, glutamic acid, lysine, arginine 함량은 증가하였다.

  • PDF

Vitis vinifera 적포도의 성숙중 화학성분의 변화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during the Maturation of Vitis vinifera Red Grapes)

  • 이용수;최진상;심기환;조용학;김전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0-195
    • /
    • 1993
  • Vitis vinifera 적포도의 성숙중 brix, 총당, 유기산, 총산, pH 및 유리아미노산 등의 함량변화를 HPLC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숙중 당류는 당이 생성되기 시작한 후 21일 경과할 때까지 급증하였으며, 그 후 증가속도는 둔화되었고, 산류는 이와 반대 현상을 보였다. 성숙된 포도의 성분함량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brix 16.5~17.9, 총당 14.76~16.40g/100ml, pH 3.24~3.25 및 총산 0.88~0.928/100ml이었다. 성숙중 brix/acid의 비는 점점 증가하여 성숙된 포도에서 Cabernet sauvignon 18.7, Cabernet franc 20.4 및 Malbec 18.1을 보였다. 성숙된 포도의 F/C의 비율은 1.04~1.06으로 3가지 품종에서 비슷하였고, tartaric/malic acid 비율은 0.83~1.00이었다. 성숙중 유리아미노산은 점점 증가하여 품종별 성숙된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256.8~290.9mg/100ml의 분포였으며,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에서 3 품종중 가장 많이 함유된 것은 proline이었고, 그 다음으로 arginine, alanine 및 glutamic acid의 순이었으며, 이들 4가지의 아미노산이 총유리아미노산의 73.2~77.2% 범위 였다. 특히 Malbec 품종의 경우 다른 두 품종에 비하여 arginine의 함량이 비교적 많았다.

  • PDF

황색과 자색 양파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Yellow and Red Onion)

  • 정창호;김진희;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08-712
    • /
    • 2006
  • 황색과 자색 양파를 기능성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황색과 자색 양파의 수분 및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92.80%, 5.13%와 92.47%, 5.59%로 나타났으며, 황색양파와 자색양파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으로는 K(123.64, 114.41 mg%), Na(34.09, 33.57 mg%) 및 Ca(18.77, 27.59 mg%)이었다. 황색양파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744.2 mg%)와 fructose(705.9 mg%)였으며, 자색양파에서는 sucrose(692.8 mg%) 와 fructose(517.3 mg%)였다. 황색과 자색 양파의 총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 phenylalanine 및 aspart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황색양파의 유리아미노산은 hydroxy-L-proline(27.34 mg%), L-serine(27.34 mg%) 및 L-arginine(26.25 mg%) 순이었고, 자색양파에서는 L-glutamic acid (16.35 mg%), ammonium chloride(15.22 mg%) 및 L-serine(10.93 mg%) 순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황색양파(19.20 mg%)보다 자색양파(28.34 mg%)가 높았으며, 황색과 자색양파의 quercetin 함량은 각각 15.24 mg%와 5.70 mg%였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황색과 자색 양파에서 각각 0.319 mg/g 및 0.248 mg/g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