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ginine-fructose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3초

담수어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8. 붕어의 정미성분 (Taste Compounds of Fresh-Water Fishes 8. Taste Compounds of Crucian Carp Meat)

  • 양승택;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0-176
    • /
    • 1984
  • 전보에 이어서 우리나라 주요 담수어의 정미성분을 밝힐 목적으로 붕어 배육중의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유기염기, 당류, 유기산 및 무기질을 분석하였고 이 분석치를 기초로 하여 표준 시약으로 합성엑스분을 조제해서 천연엑스분과 맛을 비교하였으며 omission test를 통하여 각 성분들이 맛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 검토하였다. 유리아미노산 중 histidine 함량이 월등히 많아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46\%$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glycine, lysine, alanine, taurine 등이 많았다. 핵산관련물질 중에는 IMP 함량이 166.lmg/100g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성분은 함량이 적었다. 유기염기로서는 총 creatinine 이 320.5 mg/100 g으로 가장 함량이 많았고 betaine은 21.6mg/100g이었으며 TMA 및 TMAO는 1mg/100g미만으로 극미량이었다. 유기산의 경우는 숙신산, 프로피온산, 보티르산, 발레르산등이 함량이 많았고 옥살산, 푸마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및 시트르산은 흔적량에 불과하였다. 당류의 함량으로는 포도당이 2.4mg/100g이었고 ribose, arabinose, fructose 및 inositol은 1 mg/100g미만이었다. 무기염류 중에는 $K^+$$PO_4^{3-}$이 각각 220.0mg/100g, 288.7mg/100g으로서 월등히 많았고 다른 무기염류는 32 mg/100g 이하이었다. omission test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에 의하면, 붕어의 주된 정미성분은 serine, glutamic acid, IMP, $Na^+,\;K^+$$PO_4^{3-}$이었으며 lysine, arginine, tyrosine 및 phenylalanine에 의해서 더욱 맛이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 PDF

미나리 발효액과 미나리 발효액을 이용한 식초의 특성 분석 및 glioma C6 세포에서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Dropwort Extract and Vinegar Using Fermented Dropwort Extract and Its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Damage in Rat Glioma C6 Cells)

  • 김민주;이삼빈;최준혁;권승혁;김형대;방면호;양선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50-35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효모를 이용하여 제조한 미나리 천연 식초 및 원료로 사용된 미나리 발효액의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미나리 식초의 뇌 기능 개선 관련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C6 흰쥐 신경아교세포를 이용하여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검토하였다. 미나리 식초는 약 5%의 초산을 함유하였으며 glucose는 검출되지 않아 초산발효가 잘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높지 않았으나 그 중 aspartic acid, arginine 그리고 valine이 주요 유리 아미노산으로 나타났으며, 발효액에서는 aspartic acid, alanine, GABA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은 식초에서는 glutamic acid와 glutamine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발효액의 경우 aspartic acid와 asparagine이 주요 총 아미노산으로 나타났다. 미나리 식초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초를 동결 건조하여 분말화한 식초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뇌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발효액과 식초 모두 C6 세포에 대한 독성은 없었으며 t-BHP 및 $H_2O_2$에 의한 세포 생존율 저하를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섬오갈피의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무기물의 함량 변화 (Changes in Free Sugars, Organic Acids, Free Amino Acids and Minerals by Harvest Time and Parts of Acanthopanax koreanum)

  • 좌창숙;양영택;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06-109
    • /
    • 2000
  • 섬오갈피(Acanthopanax koreanum Nakai)을 이용하기 위한 알맞은 수확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유용 성분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4년생 섬오갈피 나무의 성분 조성은 부위에 따라 회분, 조지방, 조단백질이 각각 $2.98%{\sim}3.90%,\;1.93%{\sim}2.34%,\;3.52%{\sim}4.23%$이었다. 수확시기 및 부위별 무기성분 함량은 평균적으로 K가 835.9 mg/100g, Ca 971.3 mg/100g, Mg 168.7 mg/100g, Na 38.8 mg/100g, Fe 18.6 mg/100g, Cu 8.5 mg/100g이었다. Ca는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줄기와 뿌리에서 무기성분 중에서 가장 많았다. 줄기에서의 당 함량은 glucose, fructose. sucrose가 각각 $0.71{\sim}0.75%,\;0.31{\sim}0.03%,\;0.16{\sim}0.21%$이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381.0\;mg/100g{\sim}504.9\;mg/100g$으로 수확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이었다. 아미노산은 12종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수확시기에 따라 $33.56\;mg/100g{\sim}48.60\;mg/100g$으로 9월에 수확한 것이 가장 높았다. 줄기에 함유된 주요 아미노산은 arginine, phenylalanine, glutamic acid이었다.

  • PDF

고로쇠 및 거제수나무 수액 간장의 이화학적 분석 및 관능 평가 (Physicochemical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of Fermented Soy Sauce from Gorosoe(Acer mono Max.) and Kojesu(Betula costata T.) Saps)

  • 최선영;성낙주;김행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8-326
    • /
    • 2006
  • 기능성이 보완된 고품질의 간장을 제조하기 위하여 기존의 간장 담금용 용수 대신에 고로쇠 및 거제수나무 수액을 이용하여 간장을 담근 후 120일간 숙성시키면서 간장의 맛과 기능성과 관련이 있는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 간장 숙성 중 유리당을 분석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3종의 유리당(fructose, glucose 및 galactose), 수액 간장에서는 상기 유리당 외에 sucrose가 검출되었다. 간장의 숙성 중 유리당은 불규칙한 함량 변화를 보였으나, 숙성 기간 중 모든 시료군에서 galactose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다. 유기산은 butyric acid의 함량이 월등히 높았으며 반면에 fumaric acid는 미량에 분과하였다. 무기물은 모든 시료군에서 K와 P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수액 간장에서 대조군에 비해 Ca, Mg및 F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간장 숙성 중 아미노산은 총 15종이 검출되었으며, glutamic acid의 함량(185.6${\pm}$1.0${\sim}$363.0${\pm}$2.7 mg/100 ml)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lysine 및 leucine의 순이었으며, proline과 arginine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핵산 관련 물질은 대조군과 시료군 모두 숙성 기간에 관계없이 AMP의 함량(7.5${\pm}$0.2 ${\mu}$mol/100 ml이상)이 가장 높았으며, 반면에 inosine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고로쇠 수액 간장, 거제수 수액 간장 및 대조군의 순으로 맛이나 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각종(各種) 식품(食品)의 정미성분(呈味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 1 보(第 1 報) 모과의 정미성분(呈味成分)- (Studies on Tasty Constituents in Various Foodstuffs -Part 1. Tasty Constituents of Chinese Quince-)

  • 김영숙;이성우;이갑랑;김광수;조수열;이중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63-167
    • /
    • 1971
  • 모과의 정미성분(呈味成分)으로 생각되는 polyphenol 성분(成分), amino acid, 당(糖), 유기산(有機酸)의 종류(種類)를 검색(檢索) 함량(含量)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모과의 polyphenol 성분(成分)의 주(主)가 되는 것은 catechin, leucoanthocyan, 회합형(會合型) tannin 등(等)이다. 2. 모과의 amino acid 로서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rginine, ${\beta}-alanine$ 등(等)이 많았다. 3. 모과의 유기산(有機酸)의 주(主)가 되는 것은 citric acid, malic acid 이었다. 4. 모과의 당(糖)으로서 glucose, fructose, sucrose, xylose 등의 존재(存在)하였다. 5. 모과의 정미성분(呈味成分)의 함량(含量)을 사과나 배와 비교(比較)할 때 amino acid는 거의 같고, 당(糖) $1/2{\sim}1/3$ 정도(程度)지만 polyphenol 성분(成分)이 $20{\sim}50$ 배(倍), 유기산(有機酸)이 $3{\sim}8$배(倍)로서 모과의 강(强)한 삽미(澁味)와 산미(酸味)의 원인(原因)을 이루고 있음을 알았다.

  • PDF

천마 분말의 화학적 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 김현주;정신교;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78-284
    • /
    • 2000
  • 한국산 인공재배 천만의 동결건조 분말은 수분 2.12%, 조단백질 4.41%, 조지방 1.20%, 조회분 2.25%, 조섬유 4.60%, 무질소물 85.15%로 분석되었다. 환원당 함량은 2.66%였으며 유리당은 glucose 13.14mg/g, sucrose 10.81mg/g, fructose 8.69mg/g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은 11종이 검출되었으며 포화지방산이 18.69%, 불포화 지방산이 81.31%였으며 포화 지방산으로는 palmitic acid가 11.55%,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가 63.13%로 가장 높았다. 그 외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cis-5,8,11,14,17-eicosapentaenoic acid가 6.42%, linolenic acid가 4.33%를 차지하였다. 유기산으로는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등이 분리되었고 succinic acid의 함량이 1,238mg%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fumaric acid의 순이었다. 분리된 18종의 총 아미노산중 aspartic acid가 522.8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했으며 taurin, hydroproline, alanine, threonine등이 존재했으며 taurin, hydroproline, alanine, threonine등이 존재하였다. 39종의 유리 아미노산 중 arginine이 15.01mg%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asparagine, proline, sarcosine 순이었다. 총 페놀의 함량은 821.4mg%이었고 조사포닌의 함량은 3,738mg%를 나타내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는 ascorbic acid가 6.40mg%, 비타민 B1이 1.23mg%, 비타민 B2가 1.74mg% 함유되어 있었으며 지용성 비타민으로는 비타민 A가 1.22mg%, 비타민 E는 0.32mg%로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밤나무 잎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 (Chemical Component,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estnut(Castanea crenata) Leaves)

  • 정창호;허재연;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4-239
    • /
    • 2002
  • 밤잎의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밤잎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총당 11.95%, 조지방 11.50%, 조섬유 10.11%, 조단백질 7.50% 및 회분이 1.79%순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Ca과 K으로 그 함량은 각각 215.7 mg%와 196.6 mg%로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은 12.5 mg%였으며, 유리당은 glucose 3.33%, fructose 0.25%, sucrose 0.022% 함유되어 있었다. 밤잎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로 그 함량은 36.86%로 나타났다. 밤나무 잎의 주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295.4 mg%), proline(285.7 mgg%), aspartic acid(245.5 mg%), arginine(240.8 mg%), phenylalanine(237.4 mg%) and leucine(230.6 mg%)로 나타났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48.3%이었다. 항산화 효과는 용매별 추출물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72.52%, 용매분획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84.12%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각종 용매별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메탄을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으며, 용매분획별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층에서 다른 분획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국산 장뇌산삼의 부위별 유용성분함량 및 추출용매조건의 영향

  • 김준한;문혜경;강우원;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50.2-151
    • /
    • 2003
  • 한국산 장뇌산삼의 열매, 잎, 줄기 및 뿌리를 -7$0^{\circ}C$ 동결건조 분말화시킨 시료에 대한 추출용매와 농도에 따른 유용성분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추출액의 당도는 잎과 줄기의 80% 에탄올추출액이 각각 22.58%와 22.53%로 가장 높았고, pH는 4.43-7.41 수준이었고, 갈변도는 흡광도가 잎과 뿌리 80% 에탄올추출액이 1.803과 1.085로 가장 높았다. 색도의 경우 L값는 줄기 100% 증류수추출액이 24.56, 열매 80% 메탄올추출액이 24.35로 가장 높았고, 뿌리와 잎 80% 에탄올추출액이 각각 17.47과 19.59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a값은 잎100% 증류수추출액이 0.41로 가장 높았고, 줄기 80%메탄올추출 액이 -0.49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b값은 줄기 80% 메탄올추출액이 3.69로 가장 높았고, 열매 100% 증류수추출액 이 0.45로 가장 낮은 값이었다. 주요 유리당은 sucrose, glucose 및 fructose 이었고, 유리당 총함량은 열매와 줄기 100% 증류수추출액이 각각 6733 mg/100g과 6142 mg/100g으로 가장 많은 량을 함유하였고, sucrose는 뿌리 80% 메탄올추출액 이 3673 mg/100g으로, glucose 및 fructose는 줄기 80% 에탄올추출액과 잎 80% 메탄올추출액에 각각 4283 mg/100g과 1897 mg/100g으로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잎과 줄기에는 xylose가 304-524 mg/100g 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뿌리에는 maltose가 소량 함유하고 있었다. 주요 유기산으로는 citric acid, tartaric acid 및 malic acid가 확인되었고, citric acid는 뿌리 80% 메탄올추출액이 1849 m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고, tartaric acid는 잎 80% 메탄올추출액이 3263 m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고, malic acid는 뿌리 80% 메탄올추출액이 1856 m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뿌리 80% 메탄올추출액에는 succinic acid, malonic acid 및 oxalic acid 등이 확인되었다. 유리아미노산은 L-Arginine, ${\gamma}$-Amino-n-butyric acid, Ethanolamine, L-Proline, $\beta$-Alanine 및 L-sarcosine 등 총 35종이 확인되었고, L-Arginine은 251-7379 mg/100g 수준으로 특히, 뿌리 80% 메탄올추출액에는 1319 mg/100g으로 총함유량의 79.13%로 매우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P, K, Na, Ca 및 Mg 등이 주된 무기질로 확인되었고, 그 중 P는 줄기 100% 증류수추출액에 15563 mg/100g으로 가장 높았고, K은 잎 80% 메탄을 추출액에 4952 mg/100g, Ca과 Na은 잎과 열매 100% 증류수추출액에 각각 3052 mg/100g과 1798 mg/100g, Mg은 잎 100% 증류수추출액에 950 mg/100g으로 매우 높은 함유량을 보였고, 또한 미량원소로는 Zn, Cu, Cr, Mn, Co, Mo, Fe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 PDF

반응향을 적용한 게향미제 Base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a Crab-like Flavoring Base Made Using Reaction Flavor Technology)

  • 안준석;정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02-109
    • /
    • 2014
  • 4개의 아미노산류(proline 0.29 g, glycine 0.63 g, arginine 0.61 g, methionine 0.02 g)와 과당(fructose 1.07 g)을 홍게 농축자숙액(100 mL, 20oBrix)에 넣고 반응향(reaction flavor)을 유도한 게 향미제 base(CFB)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총 74종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원료에서는 30개의 화합물이, 대조구에서는 34개, CFB에서는 55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반응향 유도 가열반응에 의해 많은 휘발성 화합물이 생성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룹별로 보면 함질소화합물(19종의 pyrazine류, 4종의 pyridine류)이 반응향 유도를 통하여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대조구에 비해 27배 이상의 함량 증가가 있었다. 함황화합물류(7종)에서는 dimethyl trisulfide 및 dimethyl disulfide 등 2종의 화합물이 전체 함량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반응을 통하여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방향족화합물의 종류와 함량은 원료(12종) 및 대조구(3종)에서 반응향 반응을 통하여 CFB(3종)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Pearson's 상관분석 결과 tetramethylpyrazine, 2-ethyl-3,5,6-trimethylpyrazine 2,3,5-trimethyl-6-(3-methyl butyl) pyrazine, 2-ethyl-3,5-dimethylpyrazine, 2,5-dimethyl-3-(3-methylbutyl)pyrazine, 2-ethyl-3,6-dimethylpyrazine 및 2-decanone 등 7종의 화합물이 CFB의 관능적 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귀의 종별 이화학적 성분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Three Species of Genus Angelica)

  • 이재준;김아라;서영남;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4-100
    • /
    • 2009
  • 식용식물자원의 하나인 당귀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세 종류의 당귀 즉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비교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건물을 기준으로 조지방 함량은 한국당귀가 가장 높았고, 수분 함량은 일당귀가 가장 높았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중국당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회분과 탄수화물의 함량은 세 시료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유리당은 세 종류 모두 fructose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한국당귀 4178.64mg%, 중국당귀 3367.13 mg% 및 일당귀 2952.10 mg% 순으로 한국당귀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아미노산 조성은 다르게 나타났지만, 세 종류 모두 arginine, proline, lysine 함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당귀의 포화지방산은 한국당귀는 capro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일당귀와 중국당귀는 palmit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다. 불포화지방산은 세 종류의 당귀 모두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inolenic acid, ole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유기산 또한 세 종류의 당귀 모두 ox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비타민 A 함량은 각각 5.10 mg%, 6.32 mg% 및 6.11 mg%로 검출되었다. 비타민 E는 한국당귀에서만 0.47 mg% 검출되었다. 무기질은 총 8종의 무기질 성분이 검출되었고, 이 중 K 함량이 세 종류의 당귀 모두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Mg, Fe, Na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한국당귀, 일당귀 및 중국당귀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 분석 결과는 성분의 함량 차이는 있지만 성분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