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chitectural component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4초

의사결정시간 분석을 통한 스마트폰 피난안내도 구성요소별 작성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phone Evacuation Guidance Map Criteria through Analysis of Decision-making Time)

  • 전은구;배영훈;지호준;손종영;박준구;홍원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86-93
    • /
    • 2019
  • IoT 기술의 발달과 함께 소방시설의 변화는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 중 대표적인 변화는 소방시설과 스마트폰 앱을 연계한 대피안내시스템의 개발이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시스템의 구성에 초점을 두고 수행되고 있으며, 표준화된 피난안내도의 작성매뉴얼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진은 표준화된 스마트폰 피난안내도의 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스마트폰 피난안내도의 구성요소별 표시방법의 유형과 크기에 따른 의사결정시간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고찰과 법규 고찰을 통해 실험요소를 도출하였으며, 30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구성요소 표시방법의 유형과 크기에 따른 의사결정시간을 분석하였다. 이후 통계검정을 통해, 스마트폰 피난 안내도 구성요소별 작성기준을 제시하였다.

탈(脫) 추격체제에서 부품업체의 기술혁신활동: 휴대전화 부품업체 사례연구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patterns of component suppliers in the post catching-up period : The case study of component suppliers in mobile phone industry)

  • 송위진;황혜란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35-450
    • /
    • 2006
  • 이 논문은 대기업 조립업체가 혁신선도자로 발전하여 탈추격(post catch-up)단계로 넘어갈 때 그와 결부되어 나타나는 부품업체의 기술혁신 특성 변화를 사례연구를 통해 파악하는 연구이다. 조립 대기업이 선도자로 발전하면 부품의 기능과 품질에 대한 요구도 높아져서, 외국 부품을 국산화하는 수준을 법어 새로운 개념의 부품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부품업체들도 선도자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나타난 부품업체 기술혁신 활동의 특성은, 부품업체임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전체의 아키텍처에 대한 지식을 확보하고 부품기술개발을 수행했다는 것, 그리고 이 지식을 기반으로 부품업체와 조립업체들이 수평적인 공동개발을 수행해서 아키텍처 혁신을 이룩했다는 것이다.

  • PDF

수방능력 및 재해위험을 고려한 침수위험도 결정 (Determination of Flood Risk Considering Flood Control Ability and Urban Environment Risk)

  • 이의훈;최현석;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9호
    • /
    • pp.757-768
    • /
    • 2015
  • 최근 기후변화는 짧은 시간의 지역적인 집중호우와 예상치 못한 폭우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생명과 재산의 손실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위험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산술평균방법, 가중평균방법, 주성분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침수위험도에 따른 순위를 결정하였다. 재해연보 및 도시계획 현황에서 선택한 인자들에 대한 표준화를 통해 단위를 통일시켰으며 표준화를 통한 산술평균방법,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가중평균방법, 상관도가 높은 인자들을 묶어 분석한 주성분 분석방법을 통해 침수위험도를 결정하고 그 순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산술평균방법의 경우 간단하기는 하지만 각각의 인자들이 동일한 가중치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고 가중평균 방법의 경우 각각의 인자들이 다른 가중치를 갖기는 하지만 많은 변수들 때문에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각 지역의 수방능력 및 재해위험을 고려한 침수위험도를 결정하였다.

A Research on the Proposal of U-Pavilion Adopted in Korean Residential Development

  • Yun, YongGib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13
  • Over the past two decades following the 1990s, South Korea's IT industry has developed rapidly. In keeping with this trend, the architectural and urban planning sectors have also converged with IT and achieved advancement in new directions. This evolution includes a variety of conceptual terminologies such as 'home automation', ''home network', 'smart home, and 'ubiquitous-city'. However, smart homes and U-cities simply represent a conceptual extension of home networks, and there is little real difference in the technologies involved. In particular, U-cities remain focused on infrastructure rather than on the development of specific content; consequently, they have failed to demonstrate distinctive features to clearly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conventional cities. In such a context, this research aims at the proposal of a 'ubiquitous pavilion' as a component of the efforts to develop a range of architectural contents that utilize ubiquitous technologies. By grafting the pavilion, one of the most basic forms in architecture, with cutting-edge ubiquitous technologies,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a multi-purpose architectural space readily and simply available not only in newly emerging U-cities, but to conventional cities as well.

척도운용체계를 통해 본 18세기 화성건축의 건축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Architectural Standard Scale of Length(尺度, Korean foot) used in the Hwasong City Wall in the 18th Century)

  • 이호락;이상해
    • 건축역사연구
    • /
    • 제6권2호
    • /
    • pp.65-77
    • /
    • 1997
  • The Hwasong City Wall was built for three years(1794-1796), but the real construction term was taken only 28 months. The wall and the buildings on the wall were built simultaneously, and the esttimated construction cost was highly restricted. These conditions were main factors for considering the high efficiency of construction productivity. This study examines these factors that are reflected in the operating system of the architectural standard scale of length, the architectural composition system in the Hwasong City Wall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Through the study, following factors are found. 1.The rule of multiple proportion i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tion distance, that is, span and the height of the girder which is related to the productivity of ready-made building members. 2.The ruling grade system of scale in the component members is found in the chang-bang(창방, penetration members)

  • PDF

스마트폰 피난안내도 구성요소 선호도 조사 (Preference Survey of Smartphone Evacuation Guidance Map Components)

  • 배영훈;지호준;전은구;손종영;최세휴;홍원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78-85
    • /
    • 2019
  • 복잡한 건물에서 Way-finding은 재실자의 안전한 대피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최근 스마트폰을 활용한 대피안내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연구들에서 활용되는 스마트폰 피난안내도는 기준없이 선행연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한 피난안내도 작성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피난안내도 작성기준의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법규분석과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스마트폰 피난안내도 구성요소를 선정하였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를 변수로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피난안내도 구성요소별 선호도가 높은 작성방법을 제시하였다.

Using System Reliability to Evaluate and Maintain Structural Systems

  • Estes, Allen C.;Frangopol, Dan M.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An International Journal
    • /
    • 제1권1호
    • /
    • pp.71-80
    • /
    • 2001
  • A reliability approach to evaluate structural performance has gained increased acceptability and usage over the past two decades. Most reliability analyses are based on the reliability of an individual component without examining the entire structural system. These analyses often result in either unnecessary repairs or unsafe structures. This study uses examples of series, parallel, and series-parallel models of structural systems to illustrate how the component reliabilities affect the reliability of the entire system. The component-system reliability interaction can be used to develop optimum lifetime inspection and repair strategies for structural systems. These examples demonstrate that such strategies must be based on the reliability of the entire structural system. They also demonstrate that the location of an individual component in the system has a profound effect on the acceptable reliability of that component. Furthermore, when a structure is deteriorating over time, the reliability importance of various components is a1so changing with time. For this reason, the most critical component in the early life of the structure may not tie the most critical later.

  • PDF

RELSYS: A computer program for structural system reliability

  • Estes, Allen C.;Frangopol, Dan M.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권8호
    • /
    • pp.901-919
    • /
    • 1998
  • Most reliability-based analyses focus on the reliability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a structure. There are many advantages to examining the components in combination as an entire structural system. This paper illustrates an algorithm used in the computer program RELSYS (RELiability of SYStems) which computes the system reliability of any structure which can be modeled as a series-parallel combination of its components. A first-order method is used to initially compute the reliability of each individual component. The system reliability is computed by successively reducing the series and parallel systems until the system has been simplified to a single equivalent component. Equivalent alpha vectors are used to account for the correlation between failure modes during the system reduction process.

CAD 시스템과 분산형 건축부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프로세스 모델에 관한 연구 (Study of Process Model Using CAD System and Distributed Building Component Database)

  • 박현수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66-7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process model for architects and suppliers in AEC(Architectura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industry, which comes from its utilization of a distributed database. Information used by participants of this process is not held in one singular application sewer, but in tile databases of multiple participants. This study addresses the problem of coping with dynamic information changes that architects face when designing with increasingly time-sensitive product information from multiple suppliers. It also describes the new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design representation, and outlines a corresponding process model to address the needs architectural designers during design and procurement phases. The feasibility of the process was tested in a prototype system that combines existing technologies, which allows for an objects transfer from the Web to the CAD application.

부재 미니어처를 이용한 디지털 건축 문화재 조립 체험 시스템 (A system for experience of assembling digital heritage using the miniatures of architectural component)

  • 이지형;강경규;김재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35-38
    • /
    • 2014
  • 디지털 문화재 콘텐츠는 현실에서 체험하기 힘든 문화재를 디지털 기술의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극대화할 수 있고, 문화재 보수, 교육 등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런데 기존의 디지털 건축물 문화재는 실재 문화재의 구조 및 구성을 무시하고 외형만 만들어져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바꾸어 활용하기 곤란하며, 디지털 건축물 문화재 자체가 가상공간에 존재하여 현실체험에 제한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가 현실공간에서 부재 미니어처를 이용하여 미니어처 문화재를 조립하고 그 결과를 가상공간의 디지털 문화재로 연결하여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로서 현실 체험과 가상 체험이 연결되어, 보다 효과적인 체험이 가능하고 건축 문화재에 대한 보다 전문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