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le seed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초

커스타드애플(Annona reticulata L.)씨 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the crude extract and its fractions of Custard apple (Annona reticulata L.))

  • 신숙현;최근형;최달순;권오경;임건재;박재읍;최병렬;김태완;김진효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1호
    • /
    • pp.21-24
    • /
    • 2010
  • 커스타드애플(Annona reticulata L.)씨 추출물 및 그의 분획물을 활용하여 복숭아혹진딧물 및 벼멸구를 대상으로 살충활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아세톤/메탄올 조추출물 $3000\;{\mu}g/mL$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은 100%, 벼멸구에 대해서는 92%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이들에 대한 $LD_{50}$는 각각 $446.3\;{\mu}g/mL$$1423.6\;{\mu}g/mL$로 복숭아혹진딧물이 추출물에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이들의 핵산, 클로로포름, 물 분획물에 대한 분리정제물의 경우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조추출물 분획물보다 약 3배 높은 살충능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극성분배를 통해 살충성이 높은 물질군을 선별적으로 정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클로로포름 분획물에 대한 살충능의 경우 $137.2\;{\mu}g/mL$(복숭아혹진딧물), $1145.5\;{\mu}g/mL$(벼멸구)의 농도에서 $LD_{50}$가 관찰되었다.

황사 발원지 황토를 이용한 인공 황사 살포처리가 과수의 착과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sian Dust on Fruiting and Fruit Quality in Korean Fruit Trees Based on Artificial Spray Experiments Using Loess from the Source Region)

  • 서형호;김점국;박무용;김승희;도경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69-173
    • /
    • 2006
  • 황사가 과수의 착과와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황사 발원지에서 채취한 황토(losses)를 이용하였다. 우리나라에서 포집된 황사와 황사발원지에서 채취한 황토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평균 밭토양보다 알칼리성이 강하고, 유기물 함량이 높았으며 다량의 치환성 양이온 중 Ca의 함량이 높은 수준이었다. 사과, 배, 복숭아 3 과종의 개화기에 황토를 처리한 결과, 과총 착과율과 과실 당 종자수에서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며, 적숙기에 수확한 과실의 과중, 당도, 과형에서도 처리 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황사 대신 황토를 처리하였고, 개화기에 인위적으로 살포한 것으로서 매우 제한적인 결과이며, 실제 황사의 발생빈도, 지속시간, 밀도 그리고 황사 발생기간의 기상조건에 따라 과수의 결실과 과실특성에 줄 수 있는 영향이 달라질 수 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황사 내에 포함된 각종 세균, 곰팡이, 미생물의 영향은 본 실험에서 고려하지 못하였다.

인공광원이 사과 대목 M.9 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rtificial Light Sources on the Growth of Apple Rootstock M.9 Seedling)

  • 소은희;안진희;김재경;윤여중;박수정;나종국;최기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41-348
    • /
    • 2018
  • 본 실험은 영양번식계 사과배양묘의 규격묘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순화된 사과 M.9묘의 광질 영향이 생육과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6주간 환경이 조절된 룸에서 재배하였다. 인공광원은 6처리[적색(R), 청색(B), 백색(W), RBUV(UV-A 함유된 R7B3), RBW(R3B1W1), SMF(고압나트륨+메탈할라이드+형광등)]이며 식물에 조사된 광량은 $154{\pm}4{\mu}mol{\cdot}m^{-2}{\cdot}s^{-1}$이였다. 사과 묘 생육 특성 반응은 3주와 6주 각각 인공광원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사과 묘 초장이 3주에는 R, RBUV, RBW, SMF 광원에서 높았으나, 6주에는 R 광원에서 높았다. 묘경은 3주째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으나, 6주째는 RBUV, RBW 광원에서 높았으며, 엽수는 3주와 6주 모두 RBUV 광원에서 가장 많았다. 엽록소 함량 SPAD 값은 3주째는 B와 RBUV 광원과 광원에서 높았으나 6주째는 차이가 없었다. 초장을 기준으로 인공광원 처리기간 중 생장율은 R 광원에서 1.12mm/day로 가장 빨랐으며, RBUV 광원(0.95mm/day), RBW 광원(0.86mm/day), SMF 광원 (0.76mm/day), W 광원(0.69mm/day), B 광원(0.44mm/day) 순 이였다. 엽면적은 RBUV, RBW 광원에서 높았고, B 광원에서 낮았으며, 비엽면적은 W 광원에서 높았으며, 생체중과 건물중은 RBUV 광원에서 높았다. 처리 6주째 광합성율은 B 광원에서 가장 높았으며, R 광원에서 낮았고, 기공전도도와 증산율은 B와 W 광원에서 높았다. 따라서 순화된 기내 배양 사과 M.9묘의 초장, 묘경, 엽수, 생체중 등 생육을 위해서는 광파장 영역이 R, R+B가 혼합비율이 높았던 R, RBUV, RBW 광원이 적합하였다.

뚝새풀을 이용(利用)한 사과원 초생재배(草生栽培)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Sod Culture Using Water Foxtail (Alopecurus aegualis var. amurensis) in Apple Orchard)

  • 정재식;이재석;최충돈;정종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8-135
    • /
    • 1998
  • 뚝새풀의 초생재배(草生栽培)에 의한 사과원 잡초(雜草) 방제(防除)의 실용화(實用化)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고자 뚝새풀 발생(發生) 생태(生態)에 관한 몇 가지 시험(試驗)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뚝새풀 종자(種子)의 파종(播種) 시기별(時期別)출아(出芽) 소요일수(所要日數)는 9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이 일(日)로 가장 짧았고, 11월(月) 25일(日) 파종(播種)에서 111일(日)이 소요(所要)되어 가장 길었으며, 출아(出芽) 소요(所要) 적산온도(積算溫度)는 3월(月) 15일(日) 파종(播種)이 $139^{\circ}C$로 가장 적었고, 8월(月) 10일(日) 파종(播種)에서는 $988^{\circ}C$로 가장 많이 소요(所要)되었다. 2 사과원에서의 뚝새풀 생육양상(生育樣相)은 3월(月)부터 8월(月) 사이에 S자형(字型)의 생장곡선(生長曲線)을 나타내었고, 초장(長草)과 건물중(乾物重)이 3월(月) 중순(中旬)에서 4월(月) 중순(中旬)사이에 가장 많이 증가(增加)하였으며 5월(月) 중순(中旬) 이후(以後)로는 증가율(增加率)이 거의 정체(停滯)되었다. 3. 뚝새풀을 초생재배(草生栽培)한 사과원에서 뚝새풀을 제외(除外)한 초종(草種)으로는 발생량(發生量)이 망초>왕고들빼기>냉이>꽃다지 순(順)이었고, 뚝새풀의 발생(發生)이 거의 없는 포장(圃場)에서는 냉이가 가장 많이 발생(發生)하였고 왕고들빼기>망초>꽃다지 순(順)으로 발생(發生)되었다. 4. 뚝새풀의 생육(生育) 재생기(再生期)인 3월(月) 중순(中旬)에 뚝새풀의 우점도(優點度)가 90%정도(程度)가 되면 생육(生育) 후기(後期)까지 문제(問題) 잡초(草種)인 망초 왕고들빼기 냉이 등(等)을 효과적(效果的)으로 방제(防除)할 수 있었으나 생육(生育) 재생기(再生期)에 우점도(優點度)가 20%미만(未滿)이면 뚝새풀의 생육(生育) 성기(盛期)인 5월(月) 까지는 다른 잡초(雜草)의 발생(發生)이 경감(輕減)되었으나 이후(以後)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였다. 5. 이상(以上)의 결과(結果)에서 사과원에서의 뚝새풀 초생재배(草生栽培)는 다른 잡초(雜草)들의 발생(發生)을 억제(抑制)시켜 잡초방제(雜草防除)의 성력화(省力化)와 하절기(夏節期)의 과다(過多)한 지온상승(地溫上昇)을 방지(防止)하여 과수(果樹)의 생육(生育)을 양호(良好)하게 할 것으로 기대(期待)된다.

  • PDF

종피파상(種皮破傷)과 $GA_3$ 처리(處理)가 Egremont russet 사과의 종자(種子) 발아(發芽), 묘(苗)의 생장(生長) 및 생리적(生理的) 왜화(矮化)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Germination, Seedling Growth and Physiological Dwarfism of Apple Seed affected by $GA_3$ and Scarifications)

  • 정삼택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권
    • /
    • pp.8-13
    • /
    • 1985
  • Egremont russet 사과 품종(品種)의 종자에 여러가지 종피(種皮) 파상(破傷)을 한 후 발아(發芽), 유아(幼芽), 유근(幼根)의 생장(生長)과 생리적(生理的)인 왜화(矮花)에 대(對)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자엽(子葉)의 크기를 1/2로 절단하고 종피(種皮)를 제거(除去)한 Egremont russet 사과 품종(品種)의 종자(種子)에 $GA_3$를 처리한 것은 평균발아율(平均發芽率)이 55%였으며 동일조건(同一條件)에서 대조구(對照區)는 45%였다. 그리고 종피(種皮)가 완전(完全)한 것과 종피파상(種皮破傷)을 한 구(區)에서는 낮았다. 유아장(幼芽長)은 종피(種皮)를 완전히 남긴 것과 파상(破傷)한 구(區)에 $GA_3$를 처리하였을 때 촉진(促進)되었으나 전체적(全體的)으로 볼 때 종피(種皮)를 제거(除去)한 구(區)에서 더 길었다. 그러나 유근장(幼根長)은 $GA_3$처리에 의(依)해서 억제(抑制)되었으나 유근(幼根)의 직경(直徑)은 더 커졌다. 그리고 생리적(生理的)인 왜화(矮花)는 종피(種皮)를 남긴 구(區)에서 발생(發生)되었으며 $GA_3$ 처리에 의(依)해 극복되지 않았다. 자엽(子葉)의 녹색화(綠色化) 속도는 종피(種皮)를 제거(除去)하고 자엽(子葉)의 크기를 1/2로 절단한 구(區)에서 촉진(促進)되었다.

  • PDF

'Goldone', a Yellow - fleshed Kiwifruit Cultivar with Large Fruit Size

  • Kwack, Yong-Bum;Kim, Hong Lim;Lee, Jae Han;Chung, Kyeong Ho;Chae, Won Byo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1호
    • /
    • pp.142-146
    • /
    • 2017
  • In Korea, kiwifruit is grown within a limited region on the southern coast where the climate is warm. Since the yellow - fleshed kiwifruit variety, 'Hort16A', first became commercially available, we have focused on breeding additional yellow - fleshed kiwifruits. Here, we describe the cultivar 'Goldone', which originated from 'Red Princess' and is characterized by red coloration around the fruit core. Conventional field crosses were performed in 2003, and permission for final release of 'Goldone' was obtained in 2011. This cultivar is very productive, with an average fruit weight of 129 g, which is 39% heavier than that of the cultivar 'Hayward'. 'Goldone' is harvested in late October, approximately 165 - 170 days after anthesis. In general, 'Goldone' has approximately eight flowers per fruiting shoot; these flowers must be thinned before blooming for commercial production. 'Goldone' was registered at the Korean Seed & Variety Service in 2014 for plant variety protection rights (grant no. 4835).

사과 대목 종자의 발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rmination of Apple Rootstock Seed, Malus sieboldii)

  • 정삼택;김익홍;전상항;김민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7권
    • /
    • pp.41-46
    • /
    • 1989
  • 일반적으로 사과나무의 일반 대목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삼엽해당(Malus sieboldii)의 종자를 1988년 11월에 경북대학교 부속 농장에서 채취하여 15주 동안 습기 있는 모래에 충적 처리후 발아와 그후의 생육상을 알기 위하여 $GA_3$ BA와 ABA를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처리구중에 $GA_3$, BA구는 발아율이 높았고 ABA처리구는 낮았으며 ABA처리가 다시 종자를 휴면상태로 유도시키던지, 정상적인 묘가 되지 못하였다. 2. 평균 발아기간 역시 ABA를 처리한 구들은 다른구에 비하여 2일 이상 지연되었다. 3. 평균 유아와 유근의 길이는 ABA 20ppm 처리구가 가장 불량하였다. 이는 묘의 세력이 약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불량묘가 생산되었다. 4. 생성된 묘의 생체중과 건물중의 비교에서 BA 처리 구들이 비교적 묘의 무게가 무거웠고 ABA처리구는 가벼워서 비정상적인 묘를 형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휴면이 타파된 종자에 ABA를 외적으로 처리하면 다시 휴면상태가 되며 또 발아가 되어도 생리적인 왜화 상태를 나타낸다. 그래서 묘의 건전한 생장을 위해서는 BA가 우수하다고 인정되어 진다.

  • PDF

사과의 결과지 길이와 꽃눈 위치에 따른 개화 및 과실 특성 (Characteristics of Flowering and Fruit According to Bearing Branch length and Flower Bud Position in Apples)

  • 김호철;홍대인;배종향;임규;김태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64-268
    • /
    • 2007
  • 국내 육성 품종인 3년생 '홍로'와 도입 품종인 4년생 '갤럭시갈라' 사과를 대상으로 정아 고사 시 장과지 및 액아의 활용 가치를 알아보고자 결과지 길이 및 꽃눈 위치 따른 개화 및 과실 특성을 조사하였다. '홍로'와 '갤럭시갈라' 모두 개화시, 만개기 및 낙화기는 20 cm 이상 결과지에서 5 cm 미만과 $10{\sim}15cm$ 결과지보다 다소 늦었다. 화총당 꽃수도 때 정도 적었다. 과중, 종자수, 당산비 등 대부분의 과실 특성은 5 cm 미만과 $10{\sim}15cm$ 20 cm 이상 결과지보다 높았지만, 당도와 산 함량은 반대의 경향이었다. 20 cm 이상 결과지의 정아와 액아 간 대부분의 과실 특성은 액아에서 좋은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홍로' 사과의 종자수, '갤럭시갈라'의 Hunter a값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두 품종 모두 과중과 종자 간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아 고사 시 장과지로 대체 활용할 수 있고 '갤럭시갈라'의 경우 액화아의 이용도 가능하였다.

Fresh-cut 사과의 품질 보존성 향상을 위한 침지액의 개발 (Development of Dipping Solution to Extend a Shelf-life of Fresh-cut Apples)

  • 김종찬;김성철;박기재;정진웅;정승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5-41
    • /
    • 2006
  • Fresh-cut 사과의 미생물학적 품질 보존성 향상을 위해 미생물 생육억제 효과가 크다고 알려진 다양한 hurdle 인자를 개별 평가하고 이들의 병용처리 효과를 검토하여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Chitooligosaccharide와 GSE(grapefruit seed extrat)를 처리한 fresh-cut 사과는 저장 후반으로 혹은 농도가 높을수록 무처리구에 비해 총균수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나 미생물 증식억제를 위한 hurdle로써의 적용이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Citric acid의 경우 malic acid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나 0.75% 이상의 citric acid 처리구에서는 malic acid 처리구와 달리 $18^{\circ}C$ 저장 4일을 전후해 총균수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에 미생물 증식억제의 주요 hurdle로 malic acid를 선정하였고, 부가적인 hurdle로는 미생물 생육억제 효과를 나타내면서 갈변 및 조직연화를 지연시켜 주는 ascorbic acid와 calcium chloride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최적 dipping solution의 구성 및 함량은 미생물 저해 및 갈변 방지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최소 0.25% malic acid: 0.5% ascorbic acid: 0.25% calcium chloride, 최대 0.75% malic acid: 1.0% ascorbic acid: 0.75% calcium chloride로 결정하였다.

'Redvita': A Yellow-fleshed Kiwifruit with Red Color Around the Core

  • Kwack, Yong-Bum;Kim, Hong-Lim;Lee, Jae-Han;Chung, Kyeong-Ho;Chae, Won Byo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3호
    • /
    • pp.387-391
    • /
    • 2017
  • Kiwifruits introduced to Korea typically have green fruit flesh, yellow flesh, or yellow flesh with red coloration around the core. Here, we describe a new cultivar called 'Redvita', the first kiwifruit cultivar of Korea with yellow flesh and red coloration around the core. A conventional field cross was conducted in 2003, and permission for the final release of 'Redvita' was obtained in 2012. 'Redvita' originates from 'Red Princess', a maternal vine known for the red coloration in its flesh. The pollinizer is 'NHK0013' (IT233175), which blooms in early May. A principal feature of 'Redvita' is its high vitamin C content, which at an average of 140 mg per 100 g of fresh weight is 2 - 4 times higher than other commercial cultivars. The average fruit weight is 97 g; bigger than that of the control cultivar 'Hongyang'. 'Redvita' blooms in mid-May and is usually harvested in early to mid-October, approximately 150 - 160 days after anthesis. 'Redvita' produces 3 or 4 flowers per fruiting shoot, with no small lateral flowers, therefore does not need to be thinned before blooming for commercial production. The cultivar is acidulous because of a high titratable acidity content (about 1.5%), which is higher than other cultivars (less than 1.0%). 'Redvita' was registered with the Korean Seed and Variety Service in 2015 for plant variety protection rights (no. 5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