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le fruit

검색결과 506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ive Application of CF11 Cellulose for Detection of Apple scar skin viroid in Apple

  • Chung, Bong-Nam;Cho, In-Sook;Cho, Jeom-Deo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91-293
    • /
    • 2009
  • The low virus titer in woody plant tissues and the presence of inhibitor compounds such as polyphenols, tannins and polysaccharides are common difficulties that compromise purification of plant viroids from their woody hosts. A simple, reliable method of RNA isolation using CF11 cellulose column on a microcentrifuge tube scale for detecting Apple scar skin viroid (ASSVd) in apple was developed. Total RNA extracted from leaf, woody bark and the fruit skin was used for reverse transcription. RT-PCR products could be detected from RNA prepared from dormant woody bark, fruit skin and fresh leaves with both the CF11 cellulose column method and NucliSens extractor in February, August and November. Meanwhile, with the RNeasy kit RT-PCR, products were detected only in leaves and not from bark or fruit skin. The PCR product, about 330 base pairs, was analyz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The CF11 cellulose column method was effective for detecting ASSVd. The method enabled the processing of a large numbers of samples of dormant woody bark, leaf and fruit skin of apple.

투과광을 이용한 밀병 사과의 판별 가능성 및 영향인자 조사 (A Study on Discrimination of Watercore Apple using Transmitted Light and Effects of various Factors)

  • 손미령;정경원;조래광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57-361
    • /
    • 2000
  • 밀병(watercore)은 과실의 저장 및 유통 산업에 있어서 큰 영향을 주므로 이를 비파괴측정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투광량을 이용한 사과의 밀병 판별 가능성과 밀병 판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사과의 화상데이터는 CCD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상을 취득하였다. 밀병이 많이 든 사과는 밀병이 적게 든 사과보다 투광량이 더 많았으며 투광량에 의한 사과의 밀병 판별 정확도는 약 70%이었다. 사과의 과피두께, 색소층 두께, 과육밀도 등이 투광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과피와 색소층의 두께가 얇고 과육밀도가 낮을수록 투광량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사과의 착색정도가 좋을수록 밀병이 존재할 확률이 높았으며 착색분포는 밀병판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for Non-Invasive Measuring of Internal Quality of Apple Fruit

  • Sohn, Mi-Ryeong;Park, Woo-Churl;Cho, Rae-Kwang
    • Near Infrared Analysis
    • /
    • 제1권1호
    • /
    • pp.27-30
    • /
    • 2000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non-destructive determination of internal quality factors of Fuji apple fruit using near infrared(NIR) reflectance spectroscopy and developed the calibration models. As the reference methods, refractometer, titration and texture analyzer for sugar content, acidity and firmness were used, respectively. Samples were scanned from 1100∼2500nm with InfraAlyzer 500C spectrometer and SESAME software was used for data analysis. A multiple linear regression(MLR) analysis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calibrations. The correlation coefficient(R) and standard error of prediction(SEP) were as follows; 0.91, 0.41$^{\circ}$Brix for sugar content, 0.90, 0.04% for acidity and 0.84, 0.094 kg for firmness, respectively. This study shows that NIR spectroscopy can be used to evaluate the sugar content acidity and firmness of apple fruit with acceptable accuracy.

사과 품종 홍로의 휴면아 분열조직 배양을 통해 형성된 캘러스에서의 바이러스 제거효율 (Efficiency of virus elimination in apple calli (cv. Hongro) derived from meristem culture of dormant buds)

  • 김미영;천재안;조강희;박서준;김세희;이한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379-387
    • /
    • 2017
  • Apple scar skin viroid (ASSVd), Apple chlorotic leaf spot virus(ACLSV), Apple stem pitting virus (ASPV), Apple stem grooving virus (ASGV)는 사과를 감염시키는 대표적인 바이러스로, 이러한 4종 바이러스에 복합 감염된 사과 '홍로'의 동절기 가지의 휴면아(측아)로부터 다양한 크기 (0.4 mm ~ 1.2 mm)와 발달단계 (이하 Stage 1, Stage 2, Stage 3라 칭함)의 경정 및 측부 분열조직을 절취하여 BA 3.0 mg/L 와 IBA 0.1 mg/L가 혼합된 배지에 배양하여 캘러스를 형성시킨 후, 감염 바이러스바이러스의 제거유무를 조사하였다. 직경 10 mm이상 증식된 캘러스 31 계통을 RT-PCR 분석으로 제거효율을 알아 본 결과, ACLSV는 100%, ASSVd와 ASPV는 93.5%의 높은 제거 효율을 보인 반면, ASGV는 25.8%로 상대적으로 제거효율이 낮았다. 4종 바이러스가 동시에 모두 제거되는 경우는 Stage 1의 휴면아의 분열조직을 배양하였을 때만 가능하였는데, 그 이유는 ASGV가 이 시기의 배양에서 주로 제거되었기 때문으로, ASGV는 다른 바이러스와는 달리 분열조직의 발달단계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면아의 분열조직을 배양하여 바이러스를 제거한 예는 세계적으로 보고된 바가 없는 것으로서, 본 연구결과는 향 후 사과의 무병묘 생산에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pple Scar Skin viroid 발생상황 및 Real-time RT-PCR을 이용한 상대정량 분석 (Occurrence of Apple Scar Skin viroid and Relative Quantity Analysis Using Real-time RT-PCR)

  • 김대현;김현란;허성;김세희;김민아;신일섭;김정희;조강희;황정환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47-253
    • /
    • 2010
  • 우리나라 사과 및 배 주산단지 12개 지역을 대상으로 ASSVd에 대한 진단 결과, 사과 및 배나무 전체 1,193주에서 20주가 바이로이드가 검출되어 1.7%의 이병율을 나타내었다. 품종별 감염상황을 살펴본 결과, 사과는 '홍로' 품종이 이병율이 3.6%로 타 품종에 비해 많이 감염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내에서 확인된 후지 등 주요 품종에서의 ASSVd 병징은 주로 과피 얼룩반점 증상이었으나, 후지품종 과피에 발생한 코르크(corking) 반점증상이 ASSVd 감염과 연관된 것으로 새롭게 확인하였다. 본 증상은 앞으로 유관으로 바이로이드 감염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ASSVd에 감염된 사과를 대상으로 real time RT-PCR을 이용하여 ASSVd을 진단하고 시료간 상대 정량값을 분석하였다. real time RTPCR은 기존 RT-PCR에 비하여 전기영동이 필요없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석할 수 있으며, 오염의 위험성이 적었다. 특히 시료 간에 상대적인 정량값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시료를 비교 분석하는데 유효하다.

성목기 '감홍'/M.9 사과나무의 착과수준이 고두증상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rop Load on Bitter pit incidence and Fruit Quality of 'Gamhong'/M.9 Adult Apple Trees)

  • 권헌중;박무용;송양익;이동용;사공동훈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45-153
    • /
    • 2019
  • BACKGROUND: The 'Gamhong' cultivar, middle season apple with big fruit size and high soluble solid content, has been bred in Korea. However, it was hard to cultivate the cultivar in Korea by serious bitter pit. The relationships between shoot growth, fruit size, and bitter pit may be affected by crop loa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2 years (7~8 years after planting) to investigate vegetative growth, fruit quality, bitter pit incidence, return bloom, and gross income for optimum crop load of 'Gamhong'/M.9 adult apple tree. METHODS AND RESULTS: The crop load was assigned to 4 different object ranges as follow: 45~64, 65~84, 85~104, and 105~124 fruits per tree. The vegetative growth, average fruit weight, percentage of fruits heavier than 375 g, soluble solid content, and return bloom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crop load range of 45~64 fruits. However, the lowest total gross income per tree may have been caused by the highest bitter pit incidence and the lowest yield per tree in any other crop load range. The total gross income and yield per tree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crop load range of 105~124 fruits and return bloom dropped to 40%, and hence it was possible to occur biennial bearing. It was 85~104 fruits that biennial bearing did not occur and total gross income was as high as the crop load range of 105~124 fruits. Also, the yield of high grade fruits per tree, with fruit weight of 400~499 g and none bitter pit on fruit surface, was highest at the crop load range of 85~104 fruits, compared to other crop load range. CONCLUSION: In considering fruit size, bitter pit incidence, return bloom, and gross income, the optimum crop load range of 'Gamhong'/M.9 adult apple tree in high density orchard was 85~104 fruits per tree.

RNA-Seq data를 이용한 사과 과육색 판별 SNP 분자표지 개발 (Development of SNP markers for the identification of apple flesh color based on RNA-Seq data)

  • 김세희;박서준;조강희;이한찬;이정우;최인명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372-378
    • /
    • 2017
  • 과육색이 다르게 발현되는 사과(Malus domestica L.) 품종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하기 위해 2개의 cDNA library를 제작하였다. 붉은 색 과육 품종인 'Redfield'와 백색 과육 품종인 'Granny Smith'의 유전자 발현 차이를 보기 위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을 사용하였고 두 품종으로부터 얻은 EST의 염기서열을 결정하고 기존에 보고된 유전자와의 상동성을 분석하였다. HRM 기술은 붉은 색 과육 품종 사과와 백색 과육 품종 사과의 짧은 PCR 증폭산물에서 한 개의 서로 다른 염기서열을 구분하여 분리해낼 수 있다. 'Redfield'와 'Granny Smith'의 EST database로부터 103쌍의 단일염기다형성(SNP) 분자표지를 선발하였고, 붉은 색 과육 품종 10개와 백색 과육 품종 11개를 구분할 수 있는 SNP 분자표지를 HRM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과 EST database를 기반으로 HRM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사과 품종의 적육계와 백육계를 구분할 수 있는 효율적인 SNP 분자표지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SNP 분자표지는 사과육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과 품종의 다양한 색 변화에 관한 분자 기작 연구에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문경 풋사과를 활용한 발효 연구 (The Fermentation Analysis of Mungyeong Green Apple)

  • 권순구;최선미;우지희;데스티아니 수페노;최원식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231-236
    • /
    • 2016
  • In this study, Green apple from Mungyeong area was used as material in the fermentation process. In apple fruit growing process, to produce a high quality apple fruit, some Green apple should be removed. Since the removed Green apple fruit is inedible, it doesn't have any economical value.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d fermentation process to increase the economical value of raw apple as a fermentation product. This research conducted seven days, and the pH and brix value analysis was done every 12 hours during fermentation proces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fermentation product under blender treatment is better than cutting treatment and without cutting treatment. Initial brix 25% is the best treatment for fermentation because produce fermentation product with a good taste and aroma than other treatment.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Apple Stem Grooving Virus in Micropropagated Apple Plantlets Using Reverse-Transcription Droplet Digital PCR

  • Kim, Sung-Woong;Lee, Hyo-Jeong;Cho, Kang Hee;Jeong, Rae-Do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4호
    • /
    • pp.417-422
    • /
    • 2022
  • Apple stem grooving virus (ASGV) is a destructive viral pathogen of pome fruit trees that causes significant losses to fruit production worldwide. Obtaining ASGV-free propagation materials is essential to reduce economic losses, and accurate and sensitive detection methods to screen ASGV-free plantlets during in vitro propagation are urgently necessary. In this study, ASGV was sensitively and accurately quantified from in vitro propagated apple plantlets using a reverse transcription droplet digital polymerase chain reaction (RT-ddPCR) assay. The optimized RT-ddPCR assay was specific to other apple viruses, and was at least 10-times more sensitive than RT-real-time quantitative PCR assay. Furthermore, the optimized RT-ddPCR assay was validated for th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ASGV using micropropagated apple plantlet samples. This RT-ddPCR assay can be utilized for the accurate quantitative detection of ASGV infection in ASGV-free certification programs, and can thus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ASGV-free apple trees.

도심지역 고온현상이 사과나무 생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대구광역시 '후지'/M.9을 사례로 (Impacts of Urban High Temperature Events on Physiology of Apple Trees: A Case Study of 'Fuji'/M.9 Apple Trees in Daegu, Korea)

  • 사공동훈;권헌중;박무용;송양익;류수현;김목종;최경희;윤태명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0-144
    • /
    • 2013
  • 본 시험은 도심지역의 고온이 사과나무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도심지역인 대구와 전원지역인 군위에 재식된 '후지'/M.9 사과나무의 광합성, 신초생장, 과실품질을 2년(2009-2010년) 동안 조사하였다. 사과 생육기(4-10월) 동안 대구의 평균기온은 군위보다 $3.0^{\circ}C$ 정도 높았고, 사과 생육기 동안의 총 강수량은 대구가 군위보다 100mm 정도 많았다. 과실 비대기(6-8월) 동안 대구는 일 평균기온이 $30^{\circ}C$를 넘은 날이 2010년은 10일 정도 있었으나 2009년에는 하루도 없었다. 대구의 과실 성숙기(9-10월) 동안 평균기온은 $19.8^{\circ}C$로 군위보다 $4.0^{\circ}C$ 정도 더 높았다. 과실 비대기의 $30^{\circ}C$ 이상의 고온은 '후지'/M.9 사과나무의 광합성속도, 신초생장, 과중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을 감소시켰다. 과실 성숙기의 $20^{\circ}C$ 정도의 온난한 기온은 광합성속도 및 가용성 고형물 함량을 증가시켰으나 착색을 감소시켰다. 지역별 비교에 있어서, 장마 전에는 대구의 광합성속도가 군위보다 낮았으나, 장마 이후로는 대구가 군위보다 높았다. 대구의 과중은 군위보다 컸으나, 대구의 일 최고기온이 $35^{\circ}C$를 넘은 날이 많아질수록 대구와 군위의 과중 차이는 없어졌다. 대구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군위보다 높았으나 착색은 반대로 군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지구온난화 및 도시화에 의해 '후지'/M.9 사과나무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착색불량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