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pple diseases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7초

2013-2015년 충북에서 주요 토양병에 의한 사과나무 고사 실태 (Dieback of Apple Tree by Major Soil Borne Diseases in Chungbuk Province from 2013 to 2015)

  • 이성희;권의석;신현만;김익제;남상영;홍의연;권순일;김대일;차재순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198-201
    • /
    • 2016
  • 최근 충북지방의 사과과원에서 사과나무 고사가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는 2013-2015년까지 충북지방 사과과원에서 발생한 사과나무의 고사율 및 고사 원인별로 조사하였다. 충북 9개 시 군 27개 사과과원에서 조사한 29,265주 중에서 13.7%인 4,000주가 고사하였다. 고사 원인별로는 전체 고사의 50.4%는 역병에 의해, 27.1%는 자주날개무늬병, 10%는 설치류, 그리고 6.3%는 각각 흰날개무늬병과 동해에 의해 발생했다. 1995년과 2006년에 보고된 결과와 비교했을 때 최근에 역병의 발생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재배기간 동안의 고온과 논을 이용한 재배면적의 증가 때문으로 생각한다. 충북지방의 지역별로 고사율과 고사 원인이 달랐다. 본 연구결과는 최근 심각한 피해를 주는 사과나무 고사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사과나무 갈색무늬병의 발생생태 (Ecology of Marssonina Blotch Caused by Diplocarpon mali on Apple Tree in Kyungpook, Korea)

  • 김동아;이순원;이준탁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6권
    • /
    • pp.84-95
    • /
    • 1998
  • 1960년대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초래했던 사과나무 갈색무늬병은 후지 등의 새로운 사과 품종 도입과 농약의 개발로 크게 문제되지 않았으나, 최근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후지 등의 신품종에도 발병되기 시작하여 농약 관행방제 과수원에서도 조기낙엽 등의 큰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1992년부터 1995년까지 경북지역 사과주산지를 중심으로 갈색무늬병의 발생상황과 포자비산상황 등 발생생태와 기상, 재배품종, 재배관리 및 방제방법 등에 따른 갈색무늬병의 다발생요인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 갈색무늬병은 6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8월이후 대부분의 과수원에서 발생하였고, 9월이후에는 발병율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기온이 낮고 강우량이 많은 해에 발생이 많았다. 병원균의 포자비산은 5월부터 시작되어 10월까지 계속되었고, 8월에 최고의 peak를 나타내었으며, 연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8~9월에 전체 포자비산량의 70% 이상이 비산되었는데 강우가 많을 때 비산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지역에 있어서 북부 산간지역인 영주, 청송, 안동에서 대체로 갈색무늬병의 발생이 많았고, 남부지역인 군위와 영천에서는 상대적으로 발병이 낮았다. 재배품종별로는 홍옥에서 발생이 가장 많았고, 조나골드과 세계일은 중간 정도이며, 다음으로 주품종인 후지, 쓰가루 순이었다. 갈색무늬병은 관수와 배수가 불량하고 밀식으로 투광, 통풍이 잘 되지 않으며, 시비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 등 전반적으로 재배관리상태가 나쁜 과수원에서 발생이 많았으며, 방제에 있어서는 약제살포량이 적고, 약제살포간격이 길어 방제가 소홀한 과수원에서 발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사과 곰팡이병에 길항하는 Streptomyces sp. S-1110의 분리 및 길항 물질의 생산 (Isolation and Production of Antibiotic Substance from Streptomyces sp. S-1110 Antagonistic to Multiple Apple Mold Diseases)

  • 신진호;김은정;박선지;이인구;신재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9-294
    • /
    • 2009
  • 사과 재배에 피해를 주고 있는 사과 겹무늬썩음병, 탄저병, 라이족토니아병을 복합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각 병원균에 대하여 우수한 길항력을 동시에 가지는 길항미생물을 선발하고 Streptomyces sp. S-1110으로 동정하였다. 분리된 길항미생물은 배양상등액으로 길항물질을 분비하였으며 우수한 열안정성과 pH 안정성을 가지는 특성이 있었으며 각 병원균에 대한 감수성이 조금씩 달라서 2 종 이상의 길항물질이 동시에 생산되어 길항작용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분리균이 생산하는 길항물질을 사과 과실에 직접접종된 사과 겹무늬썩음병과 탄저병의 방제를 위해 실험한 결과 높은 방제력을 보였다. 따라서 분리된 길항미생물은 사과 과수원 및 저장소에서 동시에 수종의 질병방제에 쓰일 수 있는 천연 복합방제제의 개발을 위한 기초 균주로의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Bacillus spp.를 이용한 사과 겹무늬썩음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White Rot in Apple Using Bacillus spp.)

  • 이하경;신종환;이성찬;한유경
    • 식물병연구
    • /
    • 제29권4호
    • /
    • pp.390-39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사과 겹무늬썩음병을 유발하는 Botryosphaeria dothidea를 억제하는 길항미생물을 선발하였고, 선발한 길항미생물의 항균 활성과 길항 효소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선발된 길항미생물 중 4종은 Bacillus velezensis로 동정되었고, 1종은 B. amyloliquefaciens로 동정되었으며 이 길항미생물은 모두 겹무늬썩음병균에 강한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선발된 5종의 길항미생물은 탄저병균인 Colletotrichum fructicola, 줄기마름병인 Diaporthe eres도 효과적으로 균사생장을 억제하였다. 선발된 길항미생물을 대상으로 cellulase, protease, phosphate solubilization 효소 활성을 분석한 결과 모두 효소를 분비하여 병원균의 생장을 억제 및 사멸시키고 식물 생장촉진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과 과실에서 겹무늬썩음병균과 선발된 길항미생물을 동시 접종하여 발병 억제 효과를 검정한 결과 B. velezensis 23-168 균주가 가장 효과적으로 발병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선발된 5종의 길항미생물은 사과 진균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ducing Fungicidal Spray Frequency for Major Apple Diseases by Increasing the Spray Interval from 15 to 25 days

  • Lee, Dong-Hyuck;Shin, Ho-Cheol;Cho, Rae-Hong;Uhm, Jae-You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70-279
    • /
    • 2009
  • During the course of a study to develop a spraying program at 15-day spray intervals, two important findings were identified allowing for further reduction of spray frequency by increasing the spray interval. In evaluating the contribution of fungicides from a 15-day spray interval program, control of white rot, which is of prime importance in Korea, was not affected, in spite of the extended spray interval caused by omitting the fungicides during the season. In another experiment assessing the duration of the protective activities of several key fungicides used in the 15-day spray interval program, infection control was maintained for almost 30 days for some fungicide. Based on these two findings, a basic spraying program with a 25-day spray interval was developed. This program was modified for four successive years to improve the control efficacy against bitter rot and Marssonina blotch, which sometimes causes as much damage as white rot.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fungicidal spray program for apple production.

  • Lee, Hyun-Jik;Cho, Rae-Hong;Shin, Jung-Sup;Kim, Jung-Nam;Yoon, Ji-Hyun;Uhm, Jae-Youl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09.2-109
    • /
    • 2003
  • A basic spray program for apple in which fungicides are scheduled to spray at 15-day interval from petal fall to late August was formulated on the properties of several selected fungicides. In order to improve it, experimental plots, completely randomized block with 3 replications, were prepared in an orchard of 15 years old Fuji cultivar, and the spray programs in which only one chemical in the basic spray program was substituted with others were applied to each plot. It was revealed that only single substitution of the fungicide in the basic spray program makes a great differences in the control of white rot and bitter rot, and that the control property of the fungicides against the two diseases was quite variable even by the time of application. A simila! ! r trial was conducted in 2002 with a new basic spray program that was formulated with fungicides that have shown best control in each spraying time in the previous trial,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Applying this method, the usefulness of certain fungicide in the spray program for apple could be properly assessed. Anthracnose of Robinia pseudo-acacia L. caused by Collectotrichum spp.

  • PDF

First Report of Fruit Rot Caused by Fusarium decemcellulare in Apples in Korea

  • Lee, Seung-Yeol;Park, Su-Jin;Lee, Jae-Jin;Back, Chang-Gi;Ten, Leonid N.;Kang, In-Kyu;Jung, Hee-Young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4-62
    • /
    • 2017
  • In 2014, abnormal brown spots were observed on Hongro apples in field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during low-temperature storage. The spots were round, blight brown, and different from the symptoms of previously reported apple diseases. A fungal pathogen was isolated and cultured on potato dextrose agar, and it was morphologically similar to Fusarium decemcellulare. A pathogenicity test showed the same brown spots on both wounded and unwounded Hongro and Fuji apple cultivars. RPB1 and RPB2 sequences of F. decemcellulare KNU-GC01 matched with those of F. decemcellulare NRRL 13412 (98.3% and 97.6% similarities, respectively); both strains clustered together in the phylogenetic tree, indicating their close relationship at the species level. Therefore, F. decemcellulare is a newly reported pathogen that causes brown spots on apples in Korea.

길항균 Bacillus subtillis CAP134의 대량생산을 위한 배양조건 (Cultural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Antagonistic Bacillus subtills CAP134)

  • 박흥섭;조정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7-99
    • /
    • 1996
  • Cultural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the antagonistic bacteria, Bacillus subtills CAP134 against pathogens causing major airborne diseases to apple tree, effect of temperature, pH, carbon and nitrogen source in the culture broth were investigated. The bacterial growth was most vigorous when the temperature and pH of the culture broth was 30~$35^{\circ}$C, and 7, respectively. As for carbon source, dextrose was best followed in order by dextrose(monosaccharides)>sucrose(disaccharides)$\geq$saccharose(di-saccharides)>starch (polysaccharides). Among different sugars, bacterial growth was favored by in the order of brown, black and white sugars, indicating that the bacterial growth might be promoted by the minor elements presented as impurities in the less purified sugars. As for nitrogen source, organic forms were better to bacterial growth than inorganic forms, that is polypeptone was best followed in order by soy sauce, soybeen milk and inoganic nitrogens. Differences in bacterial growth among different forms of inorganic nitrogen were negligible.

  • PDF

Bacillus subtilis CAP141의 고농도 배양조건 (Cultural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Bacillus subtilis CAP141)

  • 조정일;박흥섭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5-98
    • /
    • 1997
  • Cultural conditions for mass production of the antagonistic bacteria, Bacillus subtills CAP141 against pathogens causing major airborne diseases to apple trees, effects of temperature, pH, carbon and nitrogen source in the culture broth were investigated. The bacterial growth was most vigorous when the temperature and pH of the culture broth was 30~35$^{\circ}$C and 7, respectively. As for carbon source, dextrose was best followed in order by dextrose(monosaccharide) > sucrose(disaccharide) $\geq$ saccharose (market disaccharides) > starch (polysaccharieds). Among different sugars, bacterial growth was favored by in the order of brown, black and white supars, indicating that the bacterial growth might be promoted by the minor elements presented as impurities in the less purified sugars. As for nitrogen source, organic forms were better to bacterial growth than inorganic forms, that is polypeptone was best followed in order by soy sauce, soybeen milk and inorganic nitrogens. Differences in bacterial growth among different forms of inorganic nitrogen were negligible.

  • PDF

사과의 역병: Ⅰ. Phytophthora cactorum에 의한 줄기역병의 발생 (Phytophthora Diseases of Apple in Korea: Ⅰ. Occurrence of a Destructive Collar Rot Caused by P. cactorum)

  • 지형진;조원대;김완규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9-144
    • /
    • 1997
  • 사과 줄기 밑둥을 썩히는 역병 (collar rot)이 경북의 사과 재배지역에 널리 발생하고 있으며, 충북, 충남, 전북 등의 일부 지역에서도 발생이 확인되었다. 이 역병은 주로 M26이나 M9를 왜성대목으로 사용한 후지품종에 심하게 발생되었는데, 발병율은 포장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만 의성, 군위, 예산, 무주 등지의 일부 포장에서는 이병주율이 45~80% 정도로 아주 높았다. 수집된 25 균주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 결과 모두 Phytophthora cactorum으로 동정되었는데, 이들은 배지에서나 물 속에서 유두돌기가 뚜렷하며, 계란형의 쉽게 이탈되는 다량의 유주자낭을 형성하였고 짧은 자루 (약 4 ${\mu}m$)를 부착하고 있었다. 자웅동주 균으로 10% clarified V8 배지에서 다량의 난포자를 형성하였는데 모든 장정기는 측착 (paragynous) 하였다. 모든 공시 균주는 5$^{\circ}C$ 이하와 33$^{\circ}C$ 이상에서는 자라지 못하였으며 난포자도 형성되지 않았다. Phytophthora cactorum에 의한 사과 줄기역병은 국내에서 기록된 바가 없어 본 병해를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