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etite control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31초

고지방 식이 섭취로 유발된 비만 쥐의 시상하부 BDNF발현과 렙틴 mRNA 발현, 혈청 렙틴과 항비만과의 관계에 대한 운동트레이닝의 효과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the Relationship with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Expression and Leptin mRNA Expression in Hypothalamus, Serum Leptin, and Anti-obesity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Rats)

  • 우상헌;강성훈;우진희;신기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585-1591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지방식으로 유도된 비만이 에너지 항상성 조절인자인 신경영양인자와 섭식조절 호르몬인 렙틴 mRNA 발현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과 비만 쥐의 시상하부 BDNF 발현과 렙틴 리셉터 mRNA 발현, 혈청 렙틴과 항비만과의 관계에 대한 운동트레이닝과 정상식이로의 전환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8주 후 비만 대조군(HF)에 비해 운동군(HFT), 정상식이군(HFND), 운동 및 정상식이 트레이닝군(HFNDT)에서 각각 유의한 체중 및 혈중 TC 감소를 보였다(P<0.05). 혈중 TG에서는 HF군에 비해 HFNDT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혈중 렙틴은 HF군에 비해 HFT군에서 유의한 감소를(P<0.05), HFT군에 비해 HFND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P<0.05), HFND군에 비해 HFNDT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P<0.05). 시상하부 BDNF 단백질 발현은 HF군에 비해 모든 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시상하부 렙틴 리셉터 mRNA는 HF군에 비해 HFT와 HFND군에서 약간의 감소를, HFNDT군에서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쥐에 대한 운동트레이닝은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 또는 정상식이의 병행은 식욕과 체중조절에 최적의 비만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건강개염(健康槪念)의 사상의학적(四象醫學的) 고찰(考察) (A Study on 'Health' conc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황민우;임진희;정용재;김상복;이수경;고병희;송일병;이태규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88-99
    • /
    • 2003
  • Background and Objective : The status of development of instruments to assess the 'health status' reflecting the concept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still far from satisfaction, despite their importance in building basic data for health promotion,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treatment, health policy and so on. for these reasons the health scal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hod be developed. Therefore as from of preliminary research,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ncept of health and symptoms in health status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Methods : It was researched as bibliologically with Dong-mu's chief medical writings such as ${\ulcorner}Dongyi$ Soose $Bowon{\lrcorner}$(東醫壽世保元)${\ulcorner}Dongyi$ Soose Bowon Sasang Chobongyun(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lrcorner}$ - Results and conclusion : 1.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t is suggested that Inherent vitality(命脈實數) has relations to health and Knowledge-Acting(知行) is a primary factor which affects health. And it is thought that Healthy condition(完實無病) is that human being has enough Healthy energy(保命之主) of Small viscera. 2.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t is thought that stool, urine, sweating and digestion become important indexes to measure the physical health state. 3.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t is thought that the mental health is in control of inclination of mind by golden mean(中庸) and in tranquillity of constant mind according to constitution. 4.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t is thought that the social health is state thar can do social acting harmoniously by keeping away from alcohol, sexual appetite, property and power.

  • PDF

분무건조 방법으로 제조된 미립구에서 Sibutramine의 방출거동 (Sibutramine Release Behavior from Microspheres Prepared by Spray-Dry Method)

  • 박정수;오정수;오재민;김윤태;이준희;모종현;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32권3호
    • /
    • pp.193-198
    • /
    • 2008
  • 시부트라민은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식욕억제제로서 높은 결정성을 갖는 난용성 약물이다. 이러한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고체분산법을 바탕으로 한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미립구를 제조할 수 있었다. 제조된 미립구는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제조시 사용한 용매에 따른 미립구 형태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용매증발 속도가 빠를수록 구형을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X선 회절기를 이용하여 제조된 미립구에서 시부트라민의 결정성이 10%이하로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미립구는 pH 1.2와 pH 6.8에서 방출을 실시하였으며 시부트라민이 pH에 따라서 용해도 차이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필 캡슐을 이용한 것이 정제형태보다 방출이 약 4배 정도 빠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형의 형태에 따라 방출거동이 조절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만치료에 대한 이침요법의 효과에 대한 고찰: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The Effect of Auricular Acupuncture for Obes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박서현;안선주;최성환;강신우;금동호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2-68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weight loss effects of auricular acupuncture in obese patients. Methods: Six database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OASIS], PubMed, The Cochrane Library,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were searched up to May 20, 2020. Eight eligibl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ncluded the present study. The quality of included studies was assessed by the Cochrane risk of bias tool and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by Review Manager software.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random-effects model and a sub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ct the sources of heterogeneity, identify the selection of acupuncture methods and explore its contributions to the weight loss effects. Results: Among 8 trials, 5 trials used auricular acupuncture and 2 trials used auricular acupressure, 1 trial used both types of intervention. Most commonly selected acupoints were Shenmen (TF4) and stomach (CO4). Treatment duration was six to twelve weeks, and total treatment session was six to twelv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auricular acupuncture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 and ghrelin. For the selection of acupuncture methods, both methods performed similarly in most outcome except waist circumference (WC), body fat percentage (BFP), and triglycerides (TG). Conclusions: We found that auricular acupuncture can be effective for weight loss and controlling appetite. However, the findings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due to heterogeneity. So further vigorous and well-designed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strengthen the evidence of the use of auricular acupuncture for obesity.

Pembrolizumab 면역치료를 시행 중인 비소세포성 폐암환자의 한방치료 증례보고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 Undergoing Pembrolizumab Immunotherapy: A Case Report)

  • 심소현;서희정;서형범;조임학;이찬;김소연;한창우;박성하;윤영주;이인;권정남;홍진우;최준용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09-722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effec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in alleviating the side effects of lung cancer patient undergoing immunotherapy. Method: A 43-year-old man, who was diagnosed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received pembrolizumab treatment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Geoeoyangpye-tang) to control various uncomfortable symptoms. The degree of pain was measured by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Core 30 (EORTC QLQ-C30) and the EORTC 13-item lung cancer-specific module (EORTC LC-13 questionnaire) were used to assess the change in the quality of life. Results: After the TKM treatment, the flank pain and arthralgia based on the NR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Various uncomfortable symptoms such as fatigue, dyspnea, insomnia, and loss of appetite wer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based on the EORTC QLQ-C30 and EORTC QLQ-LC13. The size of the primary tumor was decreased during treatment. The disease status was stable radiologically after two months from discharge.

소아 식욕부진에 대한 이공산(異功散) 치료의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Yigong-san for the Treatment of Anorexia in Childr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이보람;하다정;허태영;박상은;이선행;장규태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42-558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Yigong-san on anorexia in children by conduct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Methods: Eleven electronic databases were searched on May 30, 2022 to collect relevant studies. All studies published up to the search date were considered. RCTs reporting the effect of Yigong-san on the treatment of anorexia in children were included. The primary outcome was an improvement in clinical anorexia symptoms after treatment. In this meta-analysis, continuous and binary outcomes were assessed, and the data were presented as the mean difference and risk ratio with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The risk of bias was assessed using the Cochrane Collaboration's risk of bias tool. Results: A total of nine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systematic review. The treatment group (Yigong-san only or Yigong-san plus conventional treat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ventional treatment only) in total effective rate (Yigong-san only: RR 1.26, 95% CI 1.17, 1.36, I2=0%; Yigong-san plus conventional treatment: RR 1.32, 95% CI 1.18, 1.47, I2=0%), clinical symptoms, some of the anthropometric outcomes, and biological markers related to appetite and growth in children with anorexia. No serious adverse events related to Yigong-san were reported. Conclusions: Yigong-sa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as a treatment for anorexia in children. However, the number of studies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was insufficient, and the herbs contained in the Yigong-san used in the included studies were not standardized.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the implementation of methodologically robust clinical research.

Browning 촉진에 관여하는 최근 천연물의 동향 (Recent Studies on Natural Products that Improve Browning)

  • 이은비;남주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037-1045
    • /
    • 2021
  • 전세계적으로 비만의 유병률은 증가하고 있으며 비만 유행은 식이요인과 좌식 생활 방식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현대인에게 발병하기 쉬운 질병이다. 또한 비만은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과 같이 심각한 합병증을 동반하기 때문에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 Liraglutide와 phentermine과 같은 의약품이 식욕억제 및 위장관 운동 지연을 유도해 비만 치료를 하고자 사용되고 있지만 갑상선암, 심혈관계 부작용, 중추 신경계 부작용 등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비만 치료 방법을 탐색하기 위해 백색 지방조직을 갈색조직지방으로 바꾸어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켜 비만을 치료하는 "Fat browning"이라는 방법이 도입되었다. 임상적으로 안전하게 "browning"을 유도하기 위해 효과 있는 천연 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중이며 현재 많은 천연물 소재가 연구되었다. 천연 물질 치료를 통한 "Browning" 유도는 일반적으로 "Browning" 유도 인자의 긍정적인 제어, 백색지방조직으로의 분화 억제, "Browning"과 관련된 메커니즘의 활성화의 세 가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Strawberry, Black raspberry, Cinnamomum cassia, Ecklonia stolonifera와 같은 "Browning" 유도 효과가 알려진 식물 추출물에 대한 연구를 설명한다. 우리는 또한 이러한 추출물이 "Browning"을 유도하고 그들이 매개하는 신호 경로를 통해 지금까지 확인된 메커니즘을 요약한다. 나아가 Browning을 통해 생성된 갈색지방조직이 내분비 기관으로써 심장 질환에 미치는 영향까지 확인해본 후 정리했다.

정서장애 환자의 월경전기변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Premenstrual Changes in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 고영훈;조숙행;서광윤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1호
    • /
    • pp.103-115
    • /
    • 1999
  • 연구목적 : 월경전기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증상 양상, 가족력, 높은 정서장애의 유병율은 이 질환의 정서장애와의 관련성을 시사해 주며 한편, 월경주기에 따른 정서장애 임상경과의 변화도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정신과 외래 통원 치료를 받고 있는 정서장애 환자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여 월경전기변화의 양상과 정도를 비교하고 일상 및 직업 생활에의 영향 및 환자군에서의 월경전기변화에 대한 가능성 있는 위험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본 연구는 정신과 외래 통원 치료를 받고 있는 여성 정서장애 환자 80명과 정상 대조군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월경전기변화는 DSM-IV 월경전기불쾌기분장애의 진단기준 A를 세분화한 4점 척도의 16항목으로 구성된 자기 평가 형식의 설문지를 통해 후향적인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결과 : 1) 월경전기변화의 항목 중 한가지 이상에서 중등도 이상의 변화를 경험하는 월경전기변화군이 정서 장애 환자군은 32.6%. 대조군은 50%로 환자군에서 대상이 적었다. 2) 월경전기변화군에서 대조군은 기분 또는 행동 변화와 신체적인 변화를 호소하는 경우가 비슷한 분포로 나타났으나, 환자군은 기분 또는 행동 변화만을 호소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월경전기변화군에서 대조군은 신체적인 변화인 유방 통증의 빈도가 가장 높았던 반면 환자군에서는 기분이나 행동 변화인 피로감과 무기력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3) 대조군은 기분이나 행동 변화와 신체적인 변화가 많을수록 일상이나 사회 생활에 심한 장애를 경험하는 반면 환자군에서는 기분 또는 행동 변화만이 빈도가 높을수록 심한 일상이나 사회 생활의 장애를 경험하였다. 4) 환자군에서 월경전기변화군은 월경전기변화가 없는 군에 비해 월경통을 보고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그 심각도는 월경전기변화의 빈도와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 정서 장애 환자군의 월경전기변화는 신체적 변화보다 기분 행동 변화가 두드러지는 특성을 보였다. 이들 환자군의 월경전기변화는 기존 질환의 월경전기악화 또는 기존 질환과 동반되는 월경전기증후군의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또한, 환자군에서는 월경전기변화 특히 기분 또는 행동 변화의 빈도가 높을수록 심한 일상 생활의 장애를 경험하였다. 따라서, 정서장애 환자에서의 월경전기변화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이에 대한 적절한 치료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리라 본다.

  • PDF

$17{\beta}$-Estradiol에 의한 생쥐 자궁 내 Nesfatin-1/NUCB2 발현 조절 ($17{\beta}$-Estradiol Regulates the Expression of Nesfatin-1/NUCB2 in Mouse Uterus)

  • 김진희;이경란;김현경;노소현;유혜민;문찬일;양현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4호
    • /
    • pp.349-357
    • /
    • 2011
  •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는 nesfatin-1/NUCB2가 음식물 섭취와 에너지 대사를 조절한다는 것이 보고된 이후로, 최근 생쥐의 난소와 자궁에서도 다량의 nesfatin-1/NUCB2가 발현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그러나 생식기관에서 nesfatin-1/NUCB2 발현이 어떻게 조절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쥐의 생식기관 중 자궁에서 nesfatin-1/NUCB2 발현이 어떠한 경로를 통하여 조절되는지를 알아보고자 난소를 제거한 암컷 생쥐에 성선자극호르몬과 $17{\beta}$-estradiol을 각각 투여한 후 nesfatin-1/NUCB2 발현 정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자궁 내 NUCB2 mRNA 발현을 conventional PCR과 real-time PCR 방법으로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western blot 방법으로 nesfatin-1 단백질의 발현을 관찰하였다. Nesfatin-1 단백질 발현 위치 및 결합 부위를 조사하기 위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수행한 결과, nesfatin-1 단백질은 자궁내막과 자궁샘을 둘러싼 상피세포에서 발현되었으며, nesfatin-1 단백질 결합 부위는 자궁샘을 둘러싼 상피세포와 호중구를 포함하는 특정 과립세포에서 관찰되었다. 난소를 제거한 암컷 생쥐에 성선자극호르몬을 투여한 결과, 자궁 내 NUCB2 mRNA 발현량은 대조군과 성선자극호르몬 투여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같은 방법으로 난소를 제거한 암컷 생쥐에 $17{\beta}$-estradiol을 투여한 결과, 대조군보다 $17{\beta}$-estradiol 투여군에서 NUCB2 mRNA 발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궁 내 nesfatin-1 단백질의 발현량 또한 NUCB2 mRNA 발현 양상과 유사하게 $17{\beta}$-estradiol 투여군에서 발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자궁 내 nesfatin-1/NUCB2 발현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에 의해 조절 받기보다는 난소에서 분비되는 $17{\beta}$-estradiol에 의해 조절 받는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결과는 발정 주기에 따른 혈액 내 $17{\beta}$-estradiol 농도의 변화가 자궁 내 nesfatin-1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nesfatin-1이 자궁내막 발달과 착상을 조절할 수 있는 국부조절인자로 작용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Experimental Pathogenesis of Pullorum Disease with the Local Isolate of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ca subspecies Pullorum in Pullets in Bangladesh

  • Haider, M.G.;Chowdhury, E.H.;Khan, M.A.H.N.A.;Hossain, M.T.;Rahman, M.S.;Song, H.J.;Hossain, M.M.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1-350
    • /
    • 2009
  • 이 실험은 추백리의 병원성을 연구하고자 2006년 2월부터 12월까지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ca subspecies (S.) Pullorum 야외주를 분리한 후, 이를 건강한 닭에 실험적으로 감염시킨 다음 임상증상, 여러 기관의 육안 및 조직병리학적 검색과 아울러 공격주의 재분리와 동정을 시도하였다. S. Pullorum에 혈청학적으로 음성인 12주령의 100수의 암탉을 $A{\sim}E$까지 20수씩 5그룹으로 구분하였다. $A{\sim}DS$. Pullorum을 $10^6\;CFU$, $10^7\;CFU$, $2{\times}10^7\;CFU$, $10^8\;CFU$로 각각 경구 감염시켰고, E는 비감염 대조군으로 삼았다. 실험 방법으로는 부검, 조직병리학적 검사, Salmonella에 대한 세균 배양, 염색,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