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pendiciti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2초

소아 급성 충수돌기염 진단에 지연을 일으키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for Delayed Diagnosis of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 한명기;김경수;박유인;김정호;이정주;김봉성;강혜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2호
    • /
    • pp.158-165
    • /
    • 2002
  • 목 적: 급성 충수돌기염은 소아 환자에게 가장 흔한 외과적인 응급질환이며 최근의 그 발생 빈도가 감소된다는 보고에도 붙구하고 급성 충수돌기염의 천공으로 인한 합병증의 발생은 호전되고 있지 않고 있다. 소아 환아에서는 과거력과 진찰 소견이 매우 다양하고 비전형적인 경우가 흔해 급성 충수돌기염의 진단은 자주 지연될 수 있고 천공과 복막염, 복강 내 농양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임상 경과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저자들은 후향적으로 급성 충수돌기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진단 지연의 발생과 진단 지연을 초래한 요인, 진단 지연이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6년 8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강릉 아산병원에서 급성 충수돌기염으로 진단되어 급성 충수돌기 제거술을 시행 받은 76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조사하였으며, 통상 증상을 호소한지 48시간 이상 경과되어 진단이 이루어진 경우를 진단 지연이라고 하고, 48시간 이내 진단이 이루어진 군,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 조사를 하였다. 대상 환아에 대해서 나이, 성별, 진단까지의 시간, 초기 증상, 최초 환자를 검진한 의사의 진료분야, 입원경로, 최초 진단명, 방사선 검사의 효용성, 합병증 유무, 입원 기간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서는 설사 증상과 복부 X선 검사 상 분변 박힘 (fecalith impaction) 의 존재 여부가 진단 지연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처음 접한 의료진에 의해 집에 귀가하여 관찰한 소아에게서 진단 지연이 많았다. 진단 지연군의 절반이상에서, 초기 진단은 급성 충수돌기염이 아닌 위장관염이었다. 진단 지연군에서의 천공률은 87%로 그렇지 않은 군의 22%보다 높았다. 또한 진단지연군에서 더 많은 수술 합병증 발생과 입원 기간을 보였다. 결 론: 비특이적인 증상을 동반하며 복통을 호소하는 소아과 환자를 위장관염, 감기 등 흔한 질환으로 간단히 진단해선 안되며, 급성 충수돌기염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자세한 병력 청취와 철저한 진찰을 시행하여 급성 충수돌기염의 조기 진단에 노력을 해야 하며, 진단이 부정확한 경우 입원을 권고하고, 조기에 외과적인 의뢰를 시행함과 더불어 복부 초음파 검사, 귀가 후 추적 진찰을 조기에 함으로써 진단의 지연을 줄일 수 있다고 하겠다.

  • PDF

신생아에서 발생한 충수돌기 천공 (Appendiceal Perforation in the Neonate)

  • 박동원;장수일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3권2호
    • /
    • pp.168-171
    • /
    • 1997
  • Appendiceal perforation is uncommon in the neonate. Diess reported the first case in 1908. Approximately 111 additional cases have been reported since that time. However, with exclusion of neonatal appendicitis associated with inguinal or umbilical hernias, necrotizing enterocolitis, meconium plug, and Hirschsprung's disease, there are only 36 cases of primary neonatal appendicitis. We treated a 12 days old boy with perforation of the appendix. The infant was 3000 g at birth and had a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ary at 35 weeks of gestation. The mother was 31-year-old and had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After normal feeding for the first 5 days of life, the infant had emesis of undigested milk, decreased activity and jaundice. The baby was admitted to the Pediatrics. Progressive abdominal distension, fever, decreased activity, and vomitting developed over the next six days. Erect abdominal radiography showed pneumoperitoneum. At exploratory laparotomy, a $0.8{\times}0.6$ cm sized perforation was noted at antime-senteric border of midportion of the appendix. Trasmural inflammation and the presence of ganglion cells were noticed on histology.

  • PDF

횡경막 탈장증 [Morgagni 형]치험 2례 (Diaphragmatic hernia [Morgagni hernia]: 2 cases report)

  • 김은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6권2호
    • /
    • pp.221-225
    • /
    • 1983
  • Morgagni, in 1760, 1st. described the findings of substernal herniation of abdominal contents into the thoracic cavity, based upon 25 postmortem dissections. Herniation through the foramen of Morgagni is the rarest occurrence of the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s and is usually a few symptoms. With the increasing use of routine chest roentgenogram & the nee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a mediastinal neoplasm, most such cases are brought to the attention of a surgeon. We had experienced 2 cases of Morgagni hernia, which one caused a simple mechanical intestinal obstruction & diagnosed as acute appendicitis with perforation & another one was diagnosed as mediastinal lipoma on routine chest X-ray film at arrival due to traffic accident. We had performed left paramedian abdominal incision as misdiagnosis of acute appendicitis with perforation and repair of the defect and returned transverse colon & stomach into abdominal cavity in one patient. And in another patient, we preferred to approach through right thoracotomy incision and then left upper paramedian abdominal incision and returned the omentum into the abdominal cavity. The post-operative courses were in uneventful and we report these cases and review and discuss the literatures.

  • PDF

한국인과 코카시안 충수돌기염 환자에서 비모수적 기대최대치(NPEM) 연산방법에 의한 겐타마이신의 모집단 약물동태학 (Population Pharmacokinetics for Gentamicin in Korean and Caucasian Appendicitis Patients Using Nonparametric Expected Maximum (NPEM) Algorithm)

  • 범진필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4-80
    • /
    • 2011
  • Population pharmacokinetics for gentamicin were compared with 20 Korean patients (14 male and 6 female) and 25 Caucasian appendicitis patients (16 male and 9 female). Two to six blood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all patients at the following times : just before a regularly scheduled infusion and at 0.5 hour after the end of a 0.5 hour infusion. Nonparametric expected maximum(NPEM) algorithm for population modeling was used. The estimated parameters were the elimination rate constant(K), the slope(K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 versus creatinine clearance(Ccr), the apparent volume of distribution (V), the slope(V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 versus weight, gentamicin clearance(CL) and the slope(C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L versus Ccr and the V. The output includes two marginal probability density function(PDF), means, medians, modes, variance, skewness, kurtosis, and CV%. The mean K(KS) were$0.402{\pm}0.129hr^{-1}$ ($0.00486{\pm}0.00197[hr{\cdot}mL/min/1.73m^2]^{-1}$) and $0.425{\pm}0.137hr^{-1}$($0.00432{\pm}0.00168[hr{\cdot}mL/min/1.73m^2]^{-1}$) for Korean and Caucasian populations, respectively. The mean V(VS) were not different at $14.3{\pm}3.69L$($0.241{\pm}0.0511L/kg$) and $15.8{\pm}4.81L$($0.236{\pm}0.0531L/kg$) for Korean and Caucasian populations, respectively (P>0.2). The mean CL(CS) were $5.68{\pm}1.69L/hr$ ($0.0714{\pm}0.0222L/kg[hr{\cdot}mL/min/1.73m^2]$) and $6.29{\pm}1.84L/hr$ ($0.0629{\pm}0.0189L/kg[hr{\cdot}mL/min/1.73m^2]$) for Korean and Caucasian populations, respectively. There are no differences in gentamicin pharmacokinetics between Korean and Caucasian appendicitis patients.

비모수적 기대최대치(NPEM)연산방법에 의한 미국인과 재미동포 충수돌기염 환자에게 겐타마이신의 모집단 약물동태학 (Population Pharmacokinetics for Gentamicin in American and Korean-American Appendicitis Patients Using Nonparametric Expected Maximum(NPEM) Algorithm)

  • 범진필;최준식
    • 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03-112
    • /
    • 1995
  • Population pharmacokinetics for gentamicin were compared with 24 American patients (16 male and 8 female) and 16 Korean-American appendicitis patients(12 male and 4 female). Two to six blood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all patients at the following times: just before a regularly scheduled infusion and at 1/2 hour after the end of a 1/2 hour infusion. Nonparametric expected maximum(NPEM) algorithm for population modeling was used. The estimated parameters were the elimination rate constant(K), the slop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 versus creatinine clearance(KS), the apparent volume of distribution(V), the slop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 versus weight(VS), gentamicin clearance(CL) and the slop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L versus creatinine clearance and the VS(CS). The output includes a 3-dimensional plot of the joint probability density function(PDF), two marginal PDF, means, medians, modes, variance, skewness, kurtosis, and CV%. The mean K(KS) were 0.424$\pm$0.139(0.00429$\pm$0.00164) and 0.411$\pm$0.135 hr$^{-1}$ (0.00475$\pm$0.00180[hr.mL/min/1.73m$^{2}]^{-1}$) for American and Korean-American populations, respectively. The mean V(VS) were not different at 15.6$\pm$4.77(0.233$\pm$0.0526) and 15.1$\pm$3.84L(0.239$\pm$0.0492 L/kg) for American and Korean-American populations, respectively (P>0.2). The mean CL (CS) were 6.28$\pm$1.85(0.0634$\pm$0.0191) and 5.70$\pm$1.77 L/hr(0.0701$\pm$0.0215 L/kg[hr.mL/min/1.73m$^{2}$)] for American and Korean-American populations, respectively. There are no differences in gentamicin pharmacokinetics between American and Korean-American Appendicitis patients.

  • PDF

급성 충수염처럼 보인 복부 방선균증 1예 (Abdominal Actinomycosis Mimicking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a Case Report)

  • 최식경;방윤규;오현식;이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5권3호
    • /
    • pp.170-175
    • /
    • 2018
  • 방선균은 피부, 구강, 위장관 및 하부 여성 생식기에 정상균무리로 존재하며 증식속도가 느린 사상체의 형태를 한 혐기 그람 양성균이다. 방선균증은 방선균 감염에 의한 질환으로 대부분 경부 안면 감염증, 복부, 골반 감염증, 그리고 흉부 감염증의 임상 형태로 나타난다. 저자들은 급성 충수염으로 충수절제술을 받은 건강한 6세 남아에서 수술 후 조직검사에서 복부 방선균증을 진단하고 장기간 항생제 치료한 1예를 경험하고 보고하는 바이다. 복부 방선균증은 소아에서는 드문 질환이고 증상이 비특이적이며 균동정을 위한 배양검사가 까다로운 점이 있어 초기 진단이 잘 되지 않고 주로 임상 검체에서 특징적인 조직소견으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통해 방선균의 특징을 이해하고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정상균무리가 체내로 침입할 수 있는 선행 요인 등을 가진 경우 감별진단에 복부 방선균증도 염두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소아 급성 충수염에서 복부초음파 이후 전산화단층촬영 추적 검사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Follow-up CT after Ultrasonography for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 유성근;문진수;김남희;황종희;남승연;김동욱;이종국;서정욱;허태길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0권1호
    • /
    • pp.36-43
    • /
    • 2007
  • 목 적: 급성 충수염은 가장 흔한 외과적 복부질환으로 나이가 어릴수록 조기에 천공이 발생하고 진단이 어렵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 충수염의 진단에 있어 초음파와 전산화단층촬영(CT) 및 초음파 이후 CT 추적 검사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급성 복증으로 일산백병원 소아과와 외과에 내원한 16세 미만의 환자 중 급성 충수염으로 진단되어 충수절제술을 시행 받은 4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와 CT 각각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치, 음성예측치를 산출하였고, 초음파 후 CT 추적 검사 사이의 시간 간격과 항생제 사용 기간, 입원 기간 등 임상 경과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는 남아가 260명(61.9%), 여아가 159명(38.1%)으로 성비는 1.63:1이었다. 수술 결과로 천공률은 42.4% (167명)이었다. 검사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치, 음성예측치는 초음파의 경우 비천공성 충수염에서 98.7%, 96.8%, 98.1%, 97.8%이었고, 천공성에서 90.8%, 100%, 100%, 81.9%였다. CT의 경우 비천공성에서 96.4%, 100%, 100%, 96.5%였으며, 천공성에서 86.6%, 100%, 100%, 87.5%였다. 초음파 이후 CT를 실시한 경우 비천공성에서 모두 100%, 천공성에서 87.5%, 100%, 100%, 92.0%를 보였다. 초음파 이후 CT를 시행 받은 9명의 천공성 충수염 환자 중 분석 가능한 7명에서 초음파 이후에 CT를 시행하기까지 시간 간격과 항생제 사용 기간(r=0.0472, p=0.019), 총 입원 기간(r=0.0845, p=0.001)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두 검사 간의 간격이 30시간 이내인 경우 검사간의 시간 간격과 총 항생제 사용 기간 및 총 입원경과 사이에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p=0.084, p=0.153). 결 론: 대부분 소아 급성 충수염 경우 초음파 또는 CT 단일 검사로 충분히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며 일부환자에서는 초음파 후 CT 추적 검사가 도움이 된다. 초음파 소견이 임상 소견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초음파 검사 이후 CT를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될 수 있다.

  • PDF

소아의 범발성 복막염을 동반한 천공성 충수염에서 복강경하 충수절제술 후 대량 흔들기 세척법 및 배액술의 역할 (The Role of Massive Shaking Irrigation and Abdominal Drainage After Laparoscopic Appendectomy for Panperitonitis Secondary to Perforated Appendicitis in Children)

  • 김우연;정재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7권1호
    • /
    • pp.51-57
    • /
    • 2011
  • Use of laparoscopic appendectomy (LA) for perforated appendicitis (PA) in children remains controversial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intra-abdominal abscess formation. We developed the irrigation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abscess formation after LA performed for PA in children with severe panperitonitis. We called it 'the shaking irriga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icacy of this irrigation method. All cases of PA with severe panperitonitis in children that underwent LA with massive shaking irrigation and drainage between June 2003 and December 2007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We included only PA with panperitonitis and large amounts of purulent ascites throughout the abdomen as well as an inflamed small bowel with ileus. Thirty-four children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e mean patient age was eight years. The mean amount of irrigation fluid was 8.2 L (range: 4-15 L), The mean operative time was 89.5 min. The mean length of the hospital stay was 5.1 days. There were no postoperative intra-abdominal abscesses. There was no conversion to open surgery. In conclusion, Use of LA in PA with severe panperitonitis in children is safe and effective. Massive shaking irrigation and abdominal drainage appears to prevent intra-abdominal abscesses after LA for PA with panperitonitis.

  • PDF

척도화 향상도에 근거한 처방 선택 (Order selection based on scaled lift)

  • 박철용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2권2호
    • /
    • pp.227-234
    • /
    • 2011
  • 이 논문에서는 척도화 향상도에 근거한 처방 선택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Park과 Kim(2010)에 의해 사용된 향상도가 특정 범위에 국한되지 않아 얼마나 커야 (혹은 작아야) 큰 (혹은 작은) 값인지 알기 힘든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제안된 첫 번째 척도화 향상도는 향상도를 바로 척도화 시켜 0과 1사이의 값을 취하도록 하였으며, 두 번째 척도화 향상도는 향상도-1을 척도화 시켜 -1과 1사의의 값을 취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척도화는 향상도를 척도화만 시킨 형태이고, 두 번째 척도화는 향상도를 중심화와 동시에 척도화 시킨 형태이다. 이 척도화 향상도에 근거한 처방 선택 방법들을 응급실 급성 충수염 환자에 적용하여 향상도에 근거한 처방 선택 결과와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