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급성 충수염에서 복부초음파 이후 전산화단층촬영 추적 검사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Follow-up CT after Ultrasonography for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 유성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소아과) ;
  • 문진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소아과) ;
  • 김남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소아과) ;
  • 황종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소아과) ;
  • 남승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소아과) ;
  • 김동욱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소아과) ;
  • 이종국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소아과) ;
  • 서정욱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영상의학과) ;
  • 허태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외과)
  • Yu, Seong-Keun (Department of Pediatrics,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Moon, Jin-Soo (Department of Pediatrics,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Nam-Hee (Department of Pediatrics,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wang, Jong-Hee (Department of Pediatrics,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Nam, Seung-Yeon (Department of Pediatrics,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Dong-Wook (Department of Pediatrics,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Chong-Guk (Department of Pediatrics,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eo, Jung-Wook (Department of Pediatrics Radiology,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eo, Tae-Gil (Department of Pediatrics Surgery, Il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투고 : 2007.01.30
  • 심사 : 2007.02.28
  • 발행 : 2007.03.30

초록

목 적: 급성 충수염은 가장 흔한 외과적 복부질환으로 나이가 어릴수록 조기에 천공이 발생하고 진단이 어렵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 충수염의 진단에 있어 초음파와 전산화단층촬영(CT) 및 초음파 이후 CT 추적 검사의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급성 복증으로 일산백병원 소아과와 외과에 내원한 16세 미만의 환자 중 급성 충수염으로 진단되어 충수절제술을 시행 받은 4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음파와 CT 각각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치, 음성예측치를 산출하였고, 초음파 후 CT 추적 검사 사이의 시간 간격과 항생제 사용 기간, 입원 기간 등 임상 경과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결 과: 대상 환자는 남아가 260명(61.9%), 여아가 159명(38.1%)으로 성비는 1.63:1이었다. 수술 결과로 천공률은 42.4% (167명)이었다. 검사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치, 음성예측치는 초음파의 경우 비천공성 충수염에서 98.7%, 96.8%, 98.1%, 97.8%이었고, 천공성에서 90.8%, 100%, 100%, 81.9%였다. CT의 경우 비천공성에서 96.4%, 100%, 100%, 96.5%였으며, 천공성에서 86.6%, 100%, 100%, 87.5%였다. 초음파 이후 CT를 실시한 경우 비천공성에서 모두 100%, 천공성에서 87.5%, 100%, 100%, 92.0%를 보였다. 초음파 이후 CT를 시행 받은 9명의 천공성 충수염 환자 중 분석 가능한 7명에서 초음파 이후에 CT를 시행하기까지 시간 간격과 항생제 사용 기간(r=0.0472, p=0.019), 총 입원 기간(r=0.0845, p=0.001)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두 검사 간의 간격이 30시간 이내인 경우 검사간의 시간 간격과 총 항생제 사용 기간 및 총 입원경과 사이에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p=0.084, p=0.153). 결 론: 대부분 소아 급성 충수염 경우 초음파 또는 CT 단일 검사로 충분히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며 일부환자에서는 초음파 후 CT 추적 검사가 도움이 된다. 초음파 소견이 임상 소견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초음파 검사 이후 CT를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진단에 도움이될 수 있다.

Purpose: The ultrasonography (USG) and computed tomography (CT) are popular diagnostic tools for the diagnosis of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but there are many debates about their clinical signific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USG, CT and follow-up CT performed subsequently to USG, especially in perforated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Methods: We have reviewed 419 cases of surgically confirmed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under the age of sixteen, who had been treated in Inje University Ilsan Paik Hospital from March 2002 to February 2006. All the clinical data including the results of USG and C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sults: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USG were 98.7%, 96.8%, 98.1%, 97.8% in non-perforation group and 90.8%, 100%, 100%, 81.9% in perforation group. Those of CT were 96.4%, 100%, 100%, 96.5% and 86.6%, 100%, 100%, 87.5% respectively. Those of follow-up CT after USG were 100%, 100%, 100%, 100% and 87.5%, 100%, 100%, 92.0% respectively. The duration of using antibiotics in seven patient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erval between two imaging studies (r=0.0472, p=0.019).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of correlation when these imaging studies performed within 30 hours together. Conclusion: In most of the cases, single choice between USG and CT would be enough to diagnose the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But, it may be helpful to perform CT as early as possible subsequently to USG when there is discrepancy between initial USG and clinical impression.

키워드